[기독교]기독교인에 있어서 정치의 의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정치 사상적 차원에서의 접근
(1) 국가 권력의 기원
(2) 정부의 목적
(3) 국민의 의무

3. 교회와 정치

본문내용

일은 빌어 온 사상에 종교적 광택을 더해 주는 장식물이다. 교회가 비판을 하는 대신 그것을 따르고 있다. (3) 현대 교회의 정치적 공헌은 아마추어적이다. 교회는 참여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이 결여되어 있다. (4) 현대 교회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기대는 천진난만한 것이다. 왜냐하면 교회가 인간의 죄성과 오류성을 잊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네 가지 비판 모두가 기독교회가 정치, 사회적 책임을 지니고 있다는 개념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교회의 특정 행위들을 비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누구의 책임인가? 이것이 우리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질문이다. 이러한 것을 묻고 답하는 데 실패함이 현대 기독교가 정치적 참여에 대하여 혼란을 일으키게 한 주된 원인들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 개개인과 단체 그리고 교회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개별적으로는 성실한 시민으로서 투표에 참여해야 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알고 있어야 하며, 신문에 투고를 하며, 시위운동에 참여한다는 점 등에서는 정치에 능동적이어야 한다. 어떤 특정한 도덕적, 사회적 활동에 참여한 그리스도인들은 문제를 보다 깊은 차원에서 검토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그룹을 형성하거나 참여하도록 고무되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리스도인만의 그룹이 있을 수 있고 때로는 정당, 노동조합 또는 어떤 전문 집단과 같은 혼합 집단에다 그들의 정치적 관점을 제시할 수도 있다. 존 스토트, 박영호 역,「현대 사회 문제와 기독교적 답변」,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28-32.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4.12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8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