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신학(슐라이어마흐 리츨 아돌프 하르낙 월터 라우셴부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 슐라이어마흐
제1장 서론
제2장 슐라이어마흐의 삶과 그의 경력
제3장 계몽주의에 대한 슐라이어마흐의 반응
제4장 신학적 방법
제5장 교리적 헌신
제6장 평가 및 결론

◎제2부 : 리츨
제1장 서론
제2장 고전적 자유주의
제3장 알브레히트 리츨의 삶과 경력
제4장 리츨의 신학적 방법
제5장 평가

◎제3부 : 아돌프 하르낙

◎제4부 : 월터 라우셴부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그 이유는, 이미 확인한 바대로, 그가 부당하고 비일관적인 방법으로 존재론을 거부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또한 사물의 외양과 결과 (또는 영향) 이면에 있는 본질 혹은 존재에 관한 논의에 관여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H. R. 매킨토쉬 저, op. cit., p. 156.
철학안에서 신학의 기반을 발견하려는 이상주의적 합리주의 주장에 반대하여 리츨은 특별히 그리스도교적인 하나님 지식은 계시에 의하여 환기된 가치 판단 안에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모든 본질적인 교의학적 확인은 '가치 판단' 위에 서 있다는 이 신념 대한 긍지가 리츨 학파들을 오래동안 전체적으로 통합하게 하였으며 또한 뚜렷한 비판의 대상으로 되게 한 것이다.
20세기의 바르트를 위시한 그 밖의 자유주의 비평가들은 리츨에 대하여 '문화적 개신교'라고 하는 다소 혹독하지만 그렇게 불려 마땅한 꼬리표를 붙여 주었다.
그의 견해를 거부하는 모든 사람들의 견해에도 불구하고, 그는 예수를 인간의 종교적, 윤리적, 이상으로 환원시켰다.
) 폴 틸리히 저, op. cit., p. 267.
종교의 전체적인 메시지, 다시말해서 역사적 사건으로서 기술되어야 했던 예수의 메시지는 인간의 안팎의 자연의 압력으로부터 인격을 해방시키는 메시지다. 구원의 기능은 자연에 대한 情神의 승리이다.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에 의한 설명들이 그러하듯이,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리츨의 설명은, 신약 성경 자체로 소급되는 바, 교회의 성육신을 중요하게 보는 기독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이다.
제3부 아돌프 하르낙
리츨 학파에서 두 사람이 각별히 드러나는데, 그것은 그들이 그가 제시한 신학적 기초를 바탕으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그들 나름의 신학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들은 독일의 학자 아돌프 하르낙과 독일계 미국인 교수 월터 라우셴부시이다.
아돌프 하르낙은 금세기 초 개신교적 자유주의 신학의 가장 뛰어난 대중적 대변자였을 것이다. 그는 1888년부터 퇴임한 1921년까지 베를린대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쳤던 교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의 시작을 독일 국민에게 선포하는 빌헬름의 대국민 포고문을 썼던 하르낙은, 황제의 전쟁 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그는 1930년 죽었다.
하르낙이 가장 폭넓은 영향력을 갖게 된 것은 1899년부터 1900년의 기간 동안 베를린대학교에서 행한 일련의 강연이 출간되었기 때문이었다. 1901년에 이 강의는 미국에서 『기독교는 무엇인가?』(What is Christianity?)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열여섯 번의 강의에서 하르낙은 진정한 기독교의 중심적 알맹이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는 이것을 '복음'이라고 부르면서, 신약 성경과 기독교 세계의 역사적 전통 안에서 그것이 전달될 때 문화적 껍데기에 싸여 전해졌다고 보고 그 껍데기로부터 그것을 분리해 내려고 했다.
교회사 전체를 통하여, 교회는 희랍적 개념인 로고스를 그리스도와 동일시 하는 등의 낯선 철학적 개념과 같은 껍데기로 씌어져 있었다.
제4부 월터 라우셴부시
하르낙은 하나님 나라의 이상을 구체적인 정치적 사안에 적용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월터 라우셴부시는 이와 대조적으로 바로 그러한 일을 하는 신학자로서 그가 가진 거의 대부분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그 일을 위하여 썼다.
라우셴부시는 독일의 루터교 목사의 아들이었는데 그의 아버지는 미국으로 이민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침례교 목사가 되었다. 그는 뉴욕에 있는 로체스터(Rochester)신학교에 다녔는데, 그의 부친은 독어로 강의하는 반의 교수였다.
1891년 라우셴부시는 독일에서 몇 달 간 신약학을 공부하게 되었는데 거기서 윤리적 하나님의 나라가 복음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는 리츨 학파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897년에 그는 로체스터신학교의 교회사 교수가 되었고, 그의 저술과 강의들을 통하여 1918년에 그가 죽을 때까지 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개혁을 촉진시켰다. 가장 영향력을 크게 끼친 책이면서 그로 하여금 대중적 각광을 받도록 했던 것은 1907년에 출간된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Christianity and Social Crisis)라는 책이었다.
그는 그리스도인의 본질적인 과업은 술취함이나 간통과 같은 죄악을 없애는 것이기보다는 "모든 인간 관계들을 새롭게 바꾸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화해시킴으로써 인간 사회를 하나님의 나라로 변혁시키는 것"이라고 썼다. 1912년에 라우셴부시는 그의 두 번째 주요 저서인 『사회 질서의 기독교화』(Christanizing the Social Order)를 펴냈다.
라우셴부시는 구원을 '영혼의 자발적인 사회화'라고 정의하였다. 미국의 사회 복음 운동은 고전적 자유주의 신학을 가장 실천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보여 준 것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은 고전적 자유주의 신학을 그 사회 복음과 함께 크게 휩쓸고 지나갔다. 그 이후의 몇 십 년 간은 새로운 형태의 개신교 신학인 신정통주의(neo-orthodoxy)가 지배하게 된다.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그 외의 모든 불만의 근저에는 하나님 나라가 역사 안에 내재한다고 하는 그들의 강조가 하나님을 이 세상 속에 해체시켜 버리고 말것이라는 신정통주의자들의 두려움이 있었다.
구(舊)자유주의의 이러한 내재주의적 충격에 대한 신정통주의의 반응으로 20세기 신학은 시작된다.
참고문헌
1. 스탠리 그렌츠, 로저 올슨 저, 신재구 역, 『20세기 신학』, IVP, 1997.
2. 목창균 저, 『현대신학논쟁』, 두란노, 1995.
3. 이정배 저, 『현대 자유주의 신학사조』, 감리교신학대학출판부, 1992.
4. 맹용길 編, 『現代神學思想 Ⅰ』, 성광문화사, 1986.
5. 마르틴 레데커 저, 주재용 옮김, 『슐라이에르마허 생애와 사상』,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6. 폴 틸리히 저, 宋基得 譯,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 한국신학연구소, 1989.
7. H. R. 매킨토쉬 저, 金在俊 譯, 『현대신학의 선구자들』, 대한기독교서회, 1988.
8. 목창균 저, 『슐라이에르마허의 신학사상』, 한국신학연구소, 1993.
9. 바나드 램 저, 최기서 역, 『현대신학의 용어해설』, 보이스사, 199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