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명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필요성
4. 이론적 배경
5. 프로그램 내용
6. 기대 효과
7. 연구 결과
8. 나아가며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필요성
4. 이론적 배경
5. 프로그램 내용
6. 기대 효과
7. 연구 결과
8. 나아가며
본문내용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나 희망감을 심어주고 강화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이에 대해 짜여진 프로그램에서는 인터넷 과다사용의 위험에 이르기 이전 단계에 있는 중학교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단 인터넷 중독의 위험군이나 중독군에 속하는 학생들이 참가해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들을 참가자의 일부로 간주하여 구성하였다. 청소년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인터넷 과다사용 수준에 따른 청소년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인터넷을 아주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과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 그리고 과다 사용하는 청소년 모두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집단에 적용하여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작 되어야 한다. 또 나이와 발달단계들을 고려하여 청소년 집단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터넷 퀴즈나 자가진단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차등적인 요소를 고려하도록 유의하여 제작되었다. 적용대상이 청소년 일반이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 일반에게 인터넷이 ‘좋기만 한’혹은 ‘아무런 위험이 없는’ 대상이 아닌, ‘중독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대상임을 알리고 스스로 자신을 점검하고 돌아보도록 하는 자극이 될 것임에 그 의의를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인터넷의 위험을 알리는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자신의 욕구와 생활환경,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 등을 고찰하는 부가적인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인성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5명 전후의 소그룹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지도자의 운영에 구체적인 지침을 함께 마련하여 교사, 상담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참여자들의 동기를 진작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실제로는 불가능한 대리경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을 과다사용한 학생의 사례를 직접 접하여 평소 인식하지 못했던, 인터넷의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비디오 자료가 배포되어 프로그램 운영자의 변인을 통제할 수 있으며 미숙한 운영자라 할지라도 부담없이 교육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 및 운영자의 판단에 따라 매뉴얼 식으로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의 개념이 인터넷 과다사요의 개념과 결합되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하여 이용자 수칙을 지키는 것을 포함하여 스스로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지침서를 제작’하는 NGO 활동을 전개하는 주체로 개념화하였다. 사고의 변화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인터넷 사용방식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다양한 대안활동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된 예방 프로그램이 지니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 본인 개인이외에도 가족, 부모, 교사, 친구 등 다양한 자원을 예방 프로그램에 포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적용하지 못했다. 4회기라는 짧은 회기로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부분을 적용하기 어려웠고, 본 프로그램의 운영자가 교사 혹은 청소년 상담실의 상담원으로 가정하여 학부모나 친구와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청소년은 다양한 인간 네트워크 속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개인의 힘으로 인터넷 과다사용을 줄이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더욱 가족과 부모 및 또래 친구들의 자원을 활용하는데 프로그램이 할애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짜여진 프로그램에서는 인터넷 과다사용의 위험에 이르기 이전 단계에 있는 중학교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단 인터넷 중독의 위험군이나 중독군에 속하는 학생들이 참가해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들을 참가자의 일부로 간주하여 구성하였다. 청소년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인터넷 과다사용 수준에 따른 청소년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인터넷을 아주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과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 그리고 과다 사용하는 청소년 모두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집단에 적용하여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작 되어야 한다. 또 나이와 발달단계들을 고려하여 청소년 집단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터넷 퀴즈나 자가진단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차등적인 요소를 고려하도록 유의하여 제작되었다. 적용대상이 청소년 일반이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 일반에게 인터넷이 ‘좋기만 한’혹은 ‘아무런 위험이 없는’ 대상이 아닌, ‘중독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대상임을 알리고 스스로 자신을 점검하고 돌아보도록 하는 자극이 될 것임에 그 의의를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인터넷의 위험을 알리는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자신의 욕구와 생활환경,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 등을 고찰하는 부가적인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인성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5명 전후의 소그룹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지도자의 운영에 구체적인 지침을 함께 마련하여 교사, 상담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참여자들의 동기를 진작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실제로는 불가능한 대리경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을 과다사용한 학생의 사례를 직접 접하여 평소 인식하지 못했던, 인터넷의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비디오 자료가 배포되어 프로그램 운영자의 변인을 통제할 수 있으며 미숙한 운영자라 할지라도 부담없이 교육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 및 운영자의 판단에 따라 매뉴얼 식으로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의 개념이 인터넷 과다사요의 개념과 결합되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하여 이용자 수칙을 지키는 것을 포함하여 스스로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지침서를 제작’하는 NGO 활동을 전개하는 주체로 개념화하였다. 사고의 변화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인터넷 사용방식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다양한 대안활동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된 예방 프로그램이 지니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 본인 개인이외에도 가족, 부모, 교사, 친구 등 다양한 자원을 예방 프로그램에 포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적용하지 못했다. 4회기라는 짧은 회기로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부분을 적용하기 어려웠고, 본 프로그램의 운영자가 교사 혹은 청소년 상담실의 상담원으로 가정하여 학부모나 친구와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청소년은 다양한 인간 네트워크 속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개인의 힘으로 인터넷 과다사용을 줄이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더욱 가족과 부모 및 또래 친구들의 자원을 활용하는데 프로그램이 할애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