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적 욕망의 반수면적 공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무진의 의미

3. 다중적 욕망과 욕망의 간접화

4. 언어의 조형성과 반짝임

5. 결론

본문내용

훨씬 높은 옥타브의 절규를 포함하고 있었고, 그 양식에는 머리를 풀어헤친 광녀의 냉소가 스며 있었고 무엇보다도 시체가 썩어가는듯한 무진의 그 냄새가 스며 있었다.
시골 세무서 직원들이 손가락으로 술상을 두들겨 주는 장단에 맞춰 유행가를 부르는 하인숙에 대한 묘사이다. 여기서 윤희중의 과거의 편린이라고 할 수 있는 역 앞에서의 미친 여자와, 자신의 생애 속에 끼어 든 것을 느꼈던 하인숙과, 바다로 뻗은 긴 방죽에서 본 아프긴 하지만 아끼지 않으면 안 될 내 몸의 일부처럼 느껴진 술집 여자의 시체가 하나의 이미지로 뭉뚱그려져 있음을 볼 수 있다. 각각 따로 떨어져 윤희중이 맞닥뜨렸던 세 여자가, 사실은 타인이지만 타인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상관성과 윤희중의 의식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이외에 여인의 욕망과 적극성에 의한 성적 결합을 가리켜 ‘조바심을 빼앗아 주었다’고 표현한다든가 무진의 안개에 대한 묘사, 개구리 울음소리를 반짝이는 별들이라고 환치시키는 감각적 표현 등 이미 여러 차례 다른 논문에서 언급된 부분들까지 포함하여 작가의 섬세하고 예민한, 탁월한 언어의 조형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얼핏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인물 사건 등 구성의 문제에까지 작용하여, 문체의 반짝임은 스토리까지도 강조해 주고 있다.
5. 결론
1960년대의 대표적인 문제소설인 <무진기행>은 작품을 읽을 때마다 현대소설의 이론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세계와 화해하기보다는 갈등에 머물러 있는 주인공의 상황과 소설의 마지막부터 우리가 생각해야 할 바가 시작되는 열린 소설이라는 점 외에도 앞에서 이미 살펴 본 바와 같은 수미쌍관 구조의 여로형 소설이라든가 문제적 주인공, 인간 행동의 동기를 부여하는 욕망의 간접화 등 현대소설의 이론에 적합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인공인 윤희중과 하인숙 그 외의 등장인물들이 안개와 졸음의 공간에서 드러나지는 않지만 절실하고 다양한 욕망에 의해 움직이고 있음에 초점을 맞추면서, 특별히 쓸모가 없어서 사람들이 그럭저럭 살아갈 수밖에 없는 곳, 죽은 공간 무진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무진은 반 수면의 상태로, 무엇 하나 뚜렷하지는 않지만 안개와 수군거림이 욕망과 본능의 적나라한 표출을 가리고 있고, 책임도 무책임도 없으면서 또 다른 욕망을 위한 무책임한 배반도 가능한 곳이다. 그 곳은 주인공으로 하여금 다른 어떤 곳에서도 하지 못하는 엉뚱한 생각을 하게 하는 곳이어서 주인공의 감추어져 있던 의식이나 불만도 쉽게 드러나고 엉뚱한 욕망에도 휩싸이게 되는 곳이다. 특히 윤희중과 하인숙, 친구 조의 관계에서 욕망의 간접화에 의한 심리구조와 행동 양상을 볼 수 있다. 자신의 서울 생활과 출세에 대해 은근히 부끄러워하던 윤희중은 서울을 미치도록 가고 싶어하는 하인숙과 처가 쪽 배경을 따지며 결혼을 늦추는 친구 조를 보면서 자신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자기가 부끄러워하고 부담스러워 하는 것을 너무나 부러워하는 그들을 통해서 자신의 욕망이 충족되고 정당화되는 것이다. 하인숙의 서울에 가고 싶어하는 욕망이 두 번째의 만남에서 윤희중과 성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동인이 되었음은 앞에서 살펴 본 바이다. 세무서장으로 출세한 친구 조는 아마도 윤희중을 통해 자신의 꿈이 실현 가능한 것임을 확신하면서 더욱 그 방향으로 가속 페달을 밟을 것이다. 이렇게 무진에 사는 사람들은 속물들이고 그만큼 욕망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데 사실은 그러한 속물스러움이 우리 모두의 모습이라는 데에 이 작품의 문제성이 있다. 서울에서의 출세한 삶 속에서도 그 성공이 자신이 노력한 결과가 아닌데 대해 부끄러움과 불만을 갖는 윤희중의 모습도 우리의 자화상이고, 결국 그 삶을 외면하지 못하고 다시 돌아가는 데서도 우리들의 모습을 본다. 서울행을 꿈꾸는 하인숙, 세무서장으로 출세했지만 더 큰 출세를 꿈꾸는 친구 조, 그 사이에서 주눅들어 있는 후배 박 등, 모두 60년대뿐만 아니라 점점 더 욕망에 눈이 어두워가는 오늘날 우리들의 모습이다. 이 작품은 이러한 인간들의 다양한 욕망과 그것의 간접화에 의해 때로는 비겁하게, 자기 본위로 무책임한 행동도 서슴지 않는 현대인의 자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작품 말미, 심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주인공의 그 부끄러움에서 욕망으로 치닫다가 멈칫하게 만드는 제동장치를 찾아낸다. 그것이 아마 희망일 수 있으리라.
1. 서론
2. 무진의 의미
3. 다중적 욕망과 욕망의 간접화
4. 언어의 조형성과 반짝임5. 결론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01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