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기구학 Homework.docx
기구학 Homework#2.docx
염승재_2005311825_HW4.pdf
염승재_2005311825_HW5.pdf
Homework3.zip(8개의 jpg파일)
Theory of Machines and Mechanisms, J.J.Uicker, Jr.,G.R.Pennock and J.E.Shigley Four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위 교제의 연습문제에 대한 풀이 및 과제 입니다.
기구학 Homework#2.docx
염승재_2005311825_HW4.pdf
염승재_2005311825_HW5.pdf
Homework3.zip(8개의 jpg파일)
Theory of Machines and Mechanisms, J.J.Uicker, Jr.,G.R.Pennock and J.E.Shigley Four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위 교제의 연습문제에 대한 풀이 및 과제 입니다.
본문내용
Problem
1.5 그림 P.15에 나타낸 각 기구의 운동성을 구하라.
m=3(n-1)+2f_1-f_2
n=6, f1=7, f2=0
m=1
n=8, f1=10, f2=0
m=1
n=7, f1=9, f2=0
m=0, pure rolling disk는 Kuezbach판별식에 예외이다. 이 기구의 운동성은 사실 m=1이다.
n=4, f1=3, f2=2
m=1
1.11 그림 1.12(b)의 기구로 어떻게 사인파를 만드는지 설명하라.
- 2번링크의 길이를 R, 각도를θ라 하면, 3번 링크의 좌표는 (Rcosθ, Rsinθ)가 되고, 4번 링크의 좌표는 (Rcosθ, 0)가 된다.
Rcosθ=Rsin(θ+π/2)
이므로 4번 기구의 위치를 sin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2.7 어떤 점의 위치가 식 R=(t^2+4)e^(-jπt/10)으로 정의된다. 위치 벡터가 회전하는 방향은 어느 쪽인가? t=0일 때 이 점의 위치는 어디인가? 위치 벡터의 방향이 t=0일 때와 일치할 경우 그 다음 t의 가능한 값은 얼마인가? 이 점의 처음 위치에서 그 다음 위치까지의 변위는 얼마인가?
- R=(t^2+4) e^(-jπt/10)
=(t^2+4)cos π/10 t-j(t^2+4)sin π/10 t
R점의 각도 θ는 -π/10 t 이므로, t가 증가할 때 θ는 감소한다. 회전방향은 CW(Clockwise)이다.
t=0이면, R_(t=0)=4
π/10 t=2π 일때, t=0 일때의 방향과 일치하므로,
t=20일 때, R_(t=20)=404이다.
∆R=R_(t=20)-R_(t=0)=404
1.5 그림 P.15에 나타낸 각 기구의 운동성을 구하라.
m=3(n-1)+2f_1-f_2
n=6, f1=7, f2=0
m=1
n=8, f1=10, f2=0
m=1
n=7, f1=9, f2=0
m=0, pure rolling disk는 Kuezbach판별식에 예외이다. 이 기구의 운동성은 사실 m=1이다.
n=4, f1=3, f2=2
m=1
1.11 그림 1.12(b)의 기구로 어떻게 사인파를 만드는지 설명하라.
- 2번링크의 길이를 R, 각도를θ라 하면, 3번 링크의 좌표는 (Rcosθ, Rsinθ)가 되고, 4번 링크의 좌표는 (Rcosθ, 0)가 된다.
Rcosθ=Rsin(θ+π/2)
이므로 4번 기구의 위치를 sin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2.7 어떤 점의 위치가 식 R=(t^2+4)e^(-jπt/10)으로 정의된다. 위치 벡터가 회전하는 방향은 어느 쪽인가? t=0일 때 이 점의 위치는 어디인가? 위치 벡터의 방향이 t=0일 때와 일치할 경우 그 다음 t의 가능한 값은 얼마인가? 이 점의 처음 위치에서 그 다음 위치까지의 변위는 얼마인가?
- R=(t^2+4) e^(-jπt/10)
=(t^2+4)cos π/10 t-j(t^2+4)sin π/10 t
R점의 각도 θ는 -π/10 t 이므로, t가 증가할 때 θ는 감소한다. 회전방향은 CW(Clockwise)이다.
t=0이면, R_(t=0)=4
π/10 t=2π 일때, t=0 일때의 방향과 일치하므로,
t=20일 때, R_(t=20)=404이다.
∆R=R_(t=20)-R_(t=0)=404
추천자료
오라클중심의sql배움터 연습문제 13장
오라클중심의sql배움터 연습문제 15장
오라클중심의sql배움터 연습문제 16장
공업통계학 연습문제 5장
[창의설계연습문제] 무기의변화 피라미드의 설계와 건설
[기계공학실험]공진주파수측정
[기계공학실험]Critical Velocity
회로이론 연습문제 솔루션(6~11장풀이) -인터비젼-
유체역학 연습문제
[기계공학]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ppt
[기계공학] 유량계측 - 개수로(위어) 실험
[기계공학 실험] 힘 측정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 휘이트스톤 브릿지(Wheastone Bridg...
[기계공학] 로크웰(Rockwell) 경도 실험
[기계공학실험] DC모터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