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경제• 산업동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요 약 > 1

1.해외경제 4

2.실물경제 8

3.국내금융 10

4.산업별 동향 12

5.고용 15

6.수출입 16

< 부 록 >

1.2008년 하반기 세계경제 진단 및 국내경제 전망 19

2.최근 일본 설비투자의 동향과 시사점 21

본문내용

2
10.1
31.0
29.0
17.5
41.5
38.8
36.4
일반기계
28.6
17.8
23.2
29.1
47.2
33.5
32.5
28.7
46.6
21.4
철강
18.5
36.2
22.7
13.0
7.0
13.7
15.6
8.3
31.1
33.3
석유화학
19.6
22.9
21.5
14.8
20.0
22.5
22.9
27.7
20.6
18.5
석유제품
17.5
20.8
9.6
-8.1
59.1
64.0
43.6
62.3
57.9
118.0
선박
25.5
30.5
40.7
5.3
19.9
20.2
58.7
13.0
48.1
56.0
컴퓨터
9.8
-4.5
12.3
18.3
13.9
5.4
4.8
-3.0
0.5
-11.6
가전
-7.7
-8.7
-11.9
-14.3
5.9
4.9
12.1
3.3
13.7
13.5
섬유류
1.6
1.4
3.9
-4.8
6.2
1.4
4.6
2.4
8.1
4.3
자료: 한국무역협회.
주: 5월은 잠정치.
○ 섬유류 : 환율상승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회복으로 화섬사 및 편직물 등의 주력제품을 중심으로 소폭의 수출증가세
○ 컴퓨터 : 휴대용컴퓨터를 제외하고 모니터, 프린터, 보조기억장치, 주변기기 등을 중심으로 전체 수출이 감소세
부록 1
2008년 하반기 세계경제 진단 및 국내경제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008.5.29)
○ 2008년 1/4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7%에 그치는 등 지난해 이후 지속되던 경기 상승세가 마무리 되는 양상
- 당초 예상을 상회하는 수출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위축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
- 유가를 비롯하여 치솟는 원자재가격으로 물가오름세는 통화당국의 물가안정 목표를 넘어서고 있고, 경상수지는 적자를 기록
○ 2008년 경제성장률은 당초 전망치 4.7%를 유지하지만, 상반기 성장률은 4.9%에서 5.5%로 상향조정한 반면, 하반기는 4.4%에서 3.8%로 하향조정
- 당초 예상보다 내수경기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에는 수출신장세도 약화될 것으로 보여 경기하강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
- 유가불안 등을 감안하여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당초 3.3%에서 3.9%로 수정하였으며, 특히 3/4분기까지는 4%대의 물가상승세 예상
- 경상수지 적자 폭도 당초 59억 달러에서 91억 달러로 확대됨에 따라 2008년은 외환위기 후 처음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08년 하반기는 경기하강, 물가상승, 경상수지 적자 등으로 경기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물가불안을 확대시키지 않는 전제 하에서 경기를 활성화시킬 정책조합 설정이 필요
- 경기활성화가 자칫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하지 않도록 하는 재정과 금리 및 환율정책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
- 내수 활성화와 고용촉진을 위해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 차세대 성장산업 발굴 육성을 위해 R&D와 기술 및 생산인력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
<표> 2008 경제지표전망
단위
2007
2008
1/4
2/4
상반기
3/4
4/4
하반기
연간
경제성장률
%
5.0
5.7
5.3
5.5
4.0
3.6
3.8
4.7
소비증가율
고정투자증가율
설비투자
건설투자
%
4.5
4.0
7.6
1.2
3.5
0.9
1.7
-0.7
3.4
2.3
3.5
1.1
3.5
1.7
2.6
0.3
3.1
5.9
8.9
3.6
3.4
5.1
6.3
4.0
3.2
5.4
7.5
3.8
3.3
3.7
5.1
2.3
경상수지
억불
59
-52
-34
-86
14
-19
-5
-91
무역수지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억불
%
%
146
14.1
15.3
-59
17.5
28.2
14
18.6
23.7
-45
18.0
25.9
70
14.3
12.1
31
7.5
7.2
101
10.7
9.5
56
14.2
17.3
자료 : 삼성경제연구소, (전년동기대비)
부록 2
최근 일본 설비투자의 동향과 시사점
산은경제연구소 (2008.6.3)
○ 일본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수출호조와 설비투자 증가를 배경으로 10여년의 경기침체기를 벗어나 경기 회복세에 진입하는 상황
- 일본의 점진적 경기회복 조짐의 배후로 자리 잡은 설비투자는 2003년 이후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설비투자는 두 자리 수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해 과거의 침체국면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
○ 제조업 중심의 투자 회복, 대기업 투자 호조세의 중소기업으로의 연계, IT와 자동차, 화학산업 중심의 투자 견인 등이 일본 설비투자의 특징
- 일본 기업들은 경기침체기를 거치면서 어떤 경제상황 아래에서도 대응할 수 있는 체질 강화에 주력하였고, 수출호조를 바탕으로 과거 호황기를 상회할 만큼 수익성이 개선
- 또한, 기업들의 국내투자에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그리고 서비스산업에 대한 경쟁력 제고와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배가 됐다는 점 등이 최근 일본 설비투자의 회복 요인
- 일본정부의 정책적 설비투자 촉진책은 현재 진행형으로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되나, 이러한 노력이 향후 일본 설비투자의 지속적 상승에 기여할 가능성은 높게 평가
○ 일본 설비투자의 점진적 회복은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의 장기 침체로 성장잠재력 훼손이 우려되고 있는 우리나라가 주목할 필요
- 기업의 투자심리 회복을 위한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발전을 위한 노력 필요
- 또한, 연구개발 투자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와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서비스 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 필요
<표> 한일 양국의 설비투자율 및 설비투자 기여도의 기간평균 추이
(단위 : %)
1980년대
1990~1996
1997~2007
전기간
한국
설비투자율
9.8
18.7
14.5
11.3
기여도
1.1
1.6
0.3
0.9
경제성장률
8.7
7.7
4.3
6.7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전기간
일본
설비투자율
8.1
9.6
10.2
9.2
기여도
0.6
0.2
0.4
0.4
경제성장률
3.8
0.7
1.5
2.3
자료: OECD, OECDStatExtracs, 한국은행, Ecos data
주: 설비투자율 및 기여도는 산술평균, 경제성장률은 기하평균임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