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교육]일본교육의 제도, 일본교육의 교과편제, 일본교육의 종합학습시간, 일본교육의 교과서, 일본교육의 교사, 일본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일본교육의 과학기술교육, 일본교육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교육]일본교육의 제도, 일본교육의 교과편제, 일본교육의 종합학습시간, 일본교육의 교과서, 일본교육의 교사, 일본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일본교육의 과학기술교육, 일본교육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본교육의 제도

Ⅲ. 일본교육의 교과편제
1. 초등학교
2. 중학교
3. 고등학교

Ⅳ. 일본교육의 종합학습시간
1. 3.1 종합학습 시간 창설의 배경
2. 3.2 종합학습 시간의 성격

Ⅴ. 일본교육의 교과서
1. 제1차 교과서재판의 내용(高津裁判)
2. 삼본판결의 내용
3. 대야판결의 내용
4. 소결

Ⅵ. 일본교육의 교사

Ⅶ. 일본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1. 프로젝트의 목적
2. 프로젝트 활동
3. 프로젝트 정보통신기술 환경

Ⅷ. 일본교육의 과학기술교육

Ⅸ. 일본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 초등학교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쌓아 온 나름대로의 이질성을 각각 형성해 왔다.
그러나 담당자에 있어서는 개성에 따른 체제, 열린 학교, 활력 있는 현장을 목표로 하는 나름대로의 지도 방안 속에 기술교육의 기초, 기본의 커리큘럼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양면성(지도자 : 학습자)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정리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의 사회활동(직업인)이 되기까지의 발달과정을 고려한 생산적 인간육성은 유, 초, 중, 고의 과정에 맞는 지도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 발달단계를 자연과 연계 지어 본다면 ① 감성(자연)의 수향) ② 지식(이해, 납득. 학습. 숙지, 진로 발달과제) ③ 실천(전이, 창조, 노동, 생존 방식) 순으로 발전한다.
이때 기술과학의 장을 첫째는 놀이, 둘째는 작업 학습 및 근로체험학습, 셋째는 프로젝트법 및 사회생활로서의 설정이다.
기술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① 아동들의 발달과제에 있어서 과제선택과 학습 상대성의 배려
② 과학 기술적 지식의 가치적(의미적)이해를 촉발
③ 관찰력, 연구력, 창조력, 협동(협조)성 등의 육성
④ 생산 활동과 소비생활과의 일원화
⑤ 과거 교과 관에 대한 고정관념 탈피로 「궁극적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교과」관 확립 등이다.
Ⅸ. 일본교육의 방향
일본의 교육은 현재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21세기의 교육과 아동의 생활을 어떻게 편성해 갈 것이며, 21세기 교육사회를 어떻게 재편해 갈 것인가, 그 기로에 서 있다.
그럼, 그 길은 어떻게 갈라져 있는가? 이는 20세기 후반 미국교육이 걸어온 것과 같이, 교육에 시장원리를 도입하고 교육의 개별화, 자유화, 사사화를 추진할 것인가? 아니면 일본적인 존립양식을 모색할 것인가를 갈림길이다. 물론, 이 갈림길은 그리 단순한 것은 아니다. 이는 개인의 선택의 자유를 우선할 것인가, 아니면 생활권으로서의 지역사회와 그 속에서의 아동과 학교의 존립방식을 생각해 갈 것인가, 라는 갈림길이기도 하다. 그리고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우선할 것인가 아니면 생활자,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우선할 것인가라는 차이이기도 하다. 또 한편에서는 아동의 교육을 개개인의 부모 책임사항으로 보고 그 기본적인 결정권을 개개 아동과 부모에게 떠맡기는 방향으로 갈 것인가 아니면 지역공동체나 사회가 책임을 지도록 할 것인가의 차이이기도 하다.
일본에서 이 “기로에 선” 사태는 1980년대 이후의 교육개혁 동향 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984년, 임시교육심의회의(임교심)의 설치에 즈음하여 당시의 수상 나까소넨느 “제3의 교육개혁”을 추진해야 할 때가 왔다고 말하고 있다. 제1개혁에 해당하는 메이지시대의 학교제도의 창설은 근대사회를 향한 첫걸음으로 근대적인 학교화사회를 향한 기반정비였다. 제2개혁인 전후개혁은 교육의 민주화, 대중화, 평등화를 향한 개혁이었다. 이에 비해 1980년대 이후에 시작된 제3의 개혁에서는 국제화와 정보화가 진전되고 소비의 고도화와 생화양식이 다양화되어 가는 가운데 풍부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실현하기 위해 혹은 또 경제사회의 유동화, 국제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의 개성화, 자유화, 국제화를 지향하고 있다.
“제3의 교육개혁”이라는 표현자체는 1971년의 중앙교육심의회의 답신에 대해서 이미 이야기 된 바 있다. 이 답신은 메이지이후 일본 교육의 전개를 분석하고, 고도경제성장기 이후의 일본의 학교교육 전반에 걸친 기본구상과 그 확충정비를 위한 기본적 시책을 나타낸 것으로 주목되었다. 그 기조는 경제사회의 변화에 대응해서 “학교교육의 종합적인 확충정비”를 진행시킨다는 것이며, 확대와 합리적 계획이라는 사상으로 일관되어 있다. 따라서 일본 교육의 존립방식을 근본적으로 재편한다는 성질의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1980년대 이후의 개혁방향은 교육의 “재구조화”를 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학원이나 생애학습 분야를 제외하면 이미 양적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점도 있으며, 확대라기보다는 기성의 틀을 재편한다는 것으로 과제로 바뀌고 있다. “여우 ゆとり”나 “개성화”라는 슬로건에도 나타나 있듯이 사회적 합리성을 기준으로 한 시스템의 확충정비가 아니라 다양한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한 요구에 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다시 만드는 일로 관심이 바뀌어 가고 있다.
이 변화는 70년대에 건축세계에서 일어난 변화와 흡사하다. 고도경제성장기까지의 근대건축이라 불리던 건축양식은 기능성과 합리성을 추구해 왔다. 하지만 70년대 이후 그것은 재미없고 인간미 없는 생활공간을 만들어냈다고 비판되기 시작하면서 맘의 여유를 중시하고 쾌적사를 추구하게 되었다. 여유나 음영이 있는 공간, 사람들이 그곳에서 스스로의 생활을 연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일이 중시되게 되었다. 포스트모던 건축이라는 것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이러한 모던에서 포스트모던으로서의 이행은 건축의 세계뿐만 아니라, 복장, 음악, 혹은 문학이나 철학의 세계, 사회과학의 세계에서도 일어났다. 그 변화는 사상적으로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실질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부터이다. 그 점에서 교육 세계도 예외일 수는 없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free school 성행하게 되고 open school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탈학교론”이라는 논의가 유행하게 되었다. 그 의미에서 “제3의 교육개혁”이라 부를 수 있는 80년대 이후의 일본 개혁동향은 그러한 포스트모던의 흐름 속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ⅰ.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통계로 본 일본교육, 서울 : 방문사, 1997
ⅱ. 고전, 일본교육사 흑·백서, 학지사, 2003
ⅲ. 국민일보특별취재반 편, 일본의 힘 교육에서 나온다, 청한문화사, 1993
ⅳ. 이광형 외, 일본 교육정보, 주일 대한민국 대사관 교육관실, 2002
ⅴ. 한국교육재단, 2005 일본의 주요 교육정책, 2006
ⅵ. Iwata Kazumasa, 암전일정, 1920년대 일본교사문화의 한단면,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주최로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 관에서 열렸던 ‘한일교육학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미간행 논문, 2003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