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동물에 속하는가에 대한 팀토론 - 입론서, 1차 반론서, 최종반론서, 토론 흐름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간은 동물에 속하는가에 대한 팀토론] <표 지>
<팀 구성원의 역할별 준비사항>
<입론서>
<1차 반론서>
<최종 반론서>
<토론 흐름표> 양식

본문내용

는 크게 생물과 무생물로 나뉘어져있는데 인간은 생명이 있는 존재이기에 생물에 속하고 생물은 크게 식물과 동물로 나눠져 있습니다.
주요 개념들의 정의:
동물은 반응 및 운동과 관련하여 감각기관 운동기관 신경계를 가지며, 동물의 세포는 섬유소질을 포함하는 두꺼운 막을 가지지 않습니다.
핵심 쟁점들:
인간이 우월하다하여도 결국 배고픔을 느끼고 피곤함을 느끼는 동물적 본능을 벗어날 수 없으며 죽고 나면 다른 동물들과 같이 썩고 자연에 동화되는 순리를 따르게 됩니다.
예상한
생물학적으로 볼 때 인간은 동물적 본능은 결국 벗어나지 못하며 인간도 결국 자연의 순리를 따른다는 말씀이시죠?
내용으로서
인간은 문화가 있고 높은 정신수준(의식)이 있습니다. 도구와 언어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월등히 높은 지능, 종교와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전에
인간에겐 문화가 있고 다양한 도구의 사용, 월등한 지능과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말씀이시죠?
기록해옴
인간 뿐 만 아니라 동물 중에서도 문화가 존재합니다. 도구와 언어를 사용하는 동물 역시 존재합니다. 그리고 월등한 지능과 의식수준은 결국 삶의 적응을 위한 진화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결국 동물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인 목적은 같습니다.
토론시
새로운
내용만
기록함
<카드 2>
입론
상대측 예상 확인질문
상대측 예상 반론/
상대측 입론
우리측
확인질문
우리측 반론
논거1
주장:
생명이 있고 식물이 아니므로 동물이다.
근거(논리적 근거, 증거, 증언 등):
일반적으로 식물이라고 할 때는 세포막의 바깥쪽에 세포벽이 있고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하므로 독립영양생활을 하며, 이동운동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식별이 가능합니다. 한편 동물은 반응 및 운동과 관련하여 감각기관 운동기관 신경계를 가지며, 동물의 세포는 섬유소질을 포함하는 두꺼운 막을 가지지 않습니다. 식물의 체제는 표면적으로 넓게 갈라지는 경향이 있어 외견상 복잡하게 보이나 대부분의 다세포동물은 운동과 관련하여 표면적은 작으나 내부적으로는 세포 조직 기관의 분화정도가 높아 내부체제가 복잡하게 되어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은 생물학적 정의로 볼 때 동물에 포함됩니다.
예상한
사람이 생명이 있고 독립영양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동물이라는 말씀이시죠?
내용으로서
인간은 동물이 가지고 있지 않은 의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사전에
인간은 의식이 있다는 말씀입니까?
기록해옴
원숭이에게 모성애가 있듯이 동물도 의식이 있는 동물이 있습니다.
토론시
새로운
내용만
기록함
입론
상대측 예상 확인질문
상대측 예상 반론/
상대측 입론
우리측
확인질문
우리측 반론
논거2
주장:
결국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하나 동물적 본능을 벗어나지 못한다.
근거(논리적 근거, 증거, 증언 등):
인간의 높은 수준의 의식은 자신이 인간에 대한 고찰과 미래에 대한 계획 등의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에게도 배고픔을 느끼고 피곤함을 느낍니다. 그리고 이러한 에고(ego)를 조절하지 못해 의식 수준에 따르지 못한 행동들을 합니다. 결국 인간의 우월함과 높은 의식 수준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적응하는 과정과 발전이고 단지 다른 동물들의 삶의 적응 방식과 방법이 다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인간이 어느 정도 우월할 뿐 삶의 적응이라는 본질적인 목적은 같다고 봅니다.
예상한
인간이 우월하기는 하나 동물적 본능은 벗어날 수 없다는 말씀이시죠?
내용으로서
그렇지만 인간은 높은 의식수준을 지니고 있어 다른 동물보다 우월합니다.
사전에
인간은 높은 의식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말씀이시죠?
기록해옴
인간이 높은 의식수준을 가지고 있다면 범죄, 비도덕적인 사건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토론시
새로운
내용만
기록함
입론
상대측 예상 확인질문
상대측 예상 반론/
상대측 입론
우리측
확인질문
우리측 반론
논거3
주장:
인간은 죽고 나면 결국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미미한 존재다.
근거(논리적 근거, 증거, 증언 등):
인간이든 혹은 다른 동식물이든 모두 죽으면 썩고 다시 자연으로 동화됩니다. 오늘날 인간은 장기를 기증하고 또는 김일성처럼 미이라로 만든다 해도 결국 썩거나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러한 것은 철학적으로 보면 오랜 세월 중에 지극히 작은 존재일 뿐이므로 결국 다른 동물과 같이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미미한 존재입니다.
예상한
인간 또한 죽고 나면 썩게되고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말씀이시죠?
내용으로서
인간은 종교를 지니고 있는데 이 종교에서는 사후세계가 있다고 믿습니다.
사전에
인간이 종교를 지니고 있다는 말씀이시죠?
기록해옴
원시 시대의 인간은 철학과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 시대의 인간이 철학과 종교가 없다고 하여 인간이 아닌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토론시
새로운
내용만
기록함
※ 토론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은 이와 같은 카드들만을 들고 나와 토론을 하게 된다.
※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논거2>, <논거3>, <논거4>에 대해서도 <토론 흐름표> 카드를 작성할 수 있다.
※ 준비할 논거의 수가 더 많을 때는 <토론 흐름표> 카드도 더 많아지게 된다.
※ 논거의 수가 많을 경우는 적절히 분류하여 수를 줄여야 한다. 배부용 입론서에 기록된 논거 외에는 새로운 논거가 제시될 수 없다.
※ <토론 흐름표> 카드 양식은 편의적인 것이므로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입론을 맡은 갑은 <토론 흐름표> 카드 중 <입론> 부분을 크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작게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작게 한 부분에서는 간단히 요지만 기록해야 한다. 1차 반론을 맡은 병은 <상대팀 예상 입론서> 부분과 <1차 반론> 부분을 크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작게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2차 반론을 맡은 을은 <상대팀 예상 입론서> 부분과 <1차 반론>을 <2차 반론> 이전에 포함시켜 작성해야 할 것이다.
※ 하나의 논거마다 서로 다른 색의 견출지를 붙여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 좋다.
※ 한 논거에 카드를 두 장 이상 만들 경우 같은 논거와 관련된 카드는 같은 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 조원 각각은 자기가 사용할 카드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7.05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