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정비사업 소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4대강 정비사업’의 정의
◇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의 배경
◇ ‘보’, 그 정체를 파헤쳐 보자!
◇ ‘4대강 정비사업’의 기대효과

본문내용

km
539km
금강
백제유산 연계 지역발전
3개
31개
197km
248km
영산강
홍수방어, 수질개선
2개
22개
89km
108km

16개
96개
695km
1411km
보, 그정체를 파헤쳐보자!
4대강에 설치될 16개 보는 주변 경관과 인근 지역의 지리, 역사, 문화적 특색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물놀이 시설과 생태공원 등 지역주민들이 찾을 수 있는 쾌적한 수변공간을 조성해 다목적 기능을 갖춘 보로 설치될 계획입니다. 야간조명, 전망타워등 부대시설의 설치를 통해‘랜드마크’로써해당 지역의 명소로 거듭나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중입니다. 또한 이러한 보에는지역주민들의 자전거 접근이 가능한 공도교가 설치되고, 전망타워 등이 마련되어 이용객들의 편의시설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야간조명 시설의 설치는 물론이며, 16개 보 모두 각기 다른 디자인을 적용해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고, 인근 주변은 생태공원 활용 등으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조성할 계획입니다
4대강에 설치될 16개의 보는 위의 사진 중 우측에 보여지는 가동보로, 보 상류의 퇴적물 배출이 용이하게 설계되었으며 유수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개선을 도모하여 수질악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보 주변에는 다양한 어종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자연형 어도를 설치해 생태계 단절 문제를 해소하고, 여울 및 하중도(河中島)를 설치해 이동어류의 휴식공간도 제공하는 등 친환경성을 가장 중요한 테마로 염두했는데요. 이는 어도 관찰실 및 접근성이 용이한 공도교 등을 통해 생태학습의 장으로도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보에는 저수로 양단에 소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2억7,848만㎾h의 청정에너지 생산으로 47만 배럴의 유류대체 및 15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지니고 있어 친환경녹색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중 입니다.)
역할에 따른 ‘보’의 유형
4대강 살리기-기대효과
-제방보강, 중소규모 댐 조절지 (연 2.7조) 및 복구비(연 4.2조)를 저감
-퇴적구간 정비 및 보 설치와 저수지 재개발로 물그릇을 늘려 가뭄시 비상용수 공급이 가능하며 수질을 개선
-하천 둔치에 수변 조성하고 자전거 길을 설치하여 국민들에게 다양한 여가활동 기회를 제공
-태양광 및 소수력 신재생 생산, 생태습지 및 하천숲 co2를 저감
-신규 취업 19만명 23조원의 생산유발효과 발생 등 한국판 녹색뉴딜 정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0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