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소리 종류][소리 요소][소리 전달][소리 인식원리][소리 음파][소리 음속]소리의 종류, 소리의 요소, 소리의 전달, 소리의 인식원리, 소리의 음파, 소리의 음속 분석(소리 인식원리, 소리 음파, 소리 음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리][소리 종류][소리 요소][소리 전달][소리 인식원리][소리 음파][소리 음속]소리의 종류, 소리의 요소, 소리의 전달, 소리의 인식원리, 소리의 음파, 소리의 음속 분석(소리 인식원리, 소리 음파, 소리 음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소리의 종류
1. 순음(pure tone)
2. 복합음(complex sound)
3. 기본음(fundamental tone)
4. 고조파(harmonic)
5. 단음(single tone)
6. 협화음(consonance)
7. 핑크노이즈(pink noise)
8. 백색잡음(white noise)
9. 잡음(noise)

Ⅲ. 소리의 요소
1. 소리의 높낮이
2. 음의 세기
3. 음색

Ⅳ. 소리의 전달

Ⅴ. 소리의 인식원리

Ⅵ. 소리의 음파

Ⅶ. 소리의 음속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치한다. 이 수를 흔히 소리의 진동수(단위는 Hz)라 하고, 압축부와 압축부 사이의 거리를 그 음파의 파장이라 하며 소리의 전파속도(음속)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음속=파장×주파수, 파장=음속/주파수 예를 들어 피아노의 중앙 건반을 두드렸을 때 나는 C음은 주파수가 261Hz이므로, 공기 속의 음속을 340m라고 하면 파장은 약 1.3m이다.
따라서 수십 cm~수십 m라는 비교적 긴 파장을 가진 파동이라고 할 수 있다. 소리의 물리적 세기는 음파의 통과에 의해서 물체 내의 어떤 점이 받는 압력의 변동값(音壓) 또는 물체의 단위면적을 1초마다 통과하는 에너지의 일률(파워)로 측정한다. 단위는 μb(마이크로바) 및 W/cm2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음원에서 방출되는 가청음(可聽音)의 에너지는 넓은 범위에 걸치는데, 예를 들면 작은 속삭임은 10-8W, 큰 소리가 10-3W 정도이지만,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포르테-포르티시모(최강음 부호 fff)의 소리는 10W, 제트기로부터는 105W나 되는 에너지가 주위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소리의 세기를 비교적 작은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서 보통은 음압과 소리의 파워를 다음과 같이 정한 데시벨(dB) 척도로 나타낸다. 즉,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최저음의 음압 P0 및 파워 I0를 0.0002 μb 및 10-16 W/cm2로 정하고, 어떤 소리의 음압을 p, 파워를 I라고 할 때 10 logp/p0 및 10 log I/I0로 계산되는 수치(L褒,L吠)를 취하며 그 소리의 음압레벨은 L褒 dB, 파워의 레벨은 L吠 dB이라고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사람의 최소 가청음의 음압 및 파워는 0dB이 되며, 10dB은 그 10배, 20 dB은 그 100배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청각을 포함한 일반적인 사람의 감각은 주어진 자극의 물리량이 아니라 그 로그에 비례한다고 하는 베버-페히너의 법칙에 따르므로, 소리의 세기를 dB로 나타내면 두 소리의 dB수의 비가 감각상의 소리의 크기의 비에 가까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Ⅶ. 소리의 음속
소리는 모든 물질을 전파하는데, 그 전파속도(음속)는 밀도에 따라 다르다. 이것은 소리의 파동이 원래 압축(밀도 변화)에 대한 물체의 탄성(彈性)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데, 일반적으로 물질의 부피탄성률을 B, 밀도를 ρ라고 하면, 그 물질 속에서의 음속은 √B/ρ 로 주어진다. 이것을 공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온도에 의한 밀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음속=340+0.6(기온-15)m/s
이다. 예컨대, 0℃의 기압 하에서는 331m/s, 15℃에서는 약 340m/s가 된다. 다만 외기(外氣)에서의 소리의 전도는 대기 그 자체가 끊임없이 변동하므로 균일하지 않고 그 때의 기상조건에 강한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바람이 불고 있을 때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는 소리가 빨리 전도되고,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는 소리의 전도가 늦다. 또 햇살이 강한 낮에는 대기가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고 음속이 작기 때문에 지표면 가까이에 있는 음원에서 나온 소리는 굴절하여 위쪽으로 흩어져 버리지만, 밤 또는 낮이라도 대기 속에 온도의 역전층(逆轉層)이 생기는 조용한 겨울의 이른 아침 등에는 소리가 지표면을 향해 구부러져서 멀리까지 전파한다.
참고문헌
◈ 노동은 외 5명, 음악과 생활, 법문사, 2002
◈ 문영일, 발성과 공명, 서울 : 도서출판청우, 1994
◈ 서우석 저,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1991
◈ 성경희, 음악과 교육, 서울 : 갑을출판사, 1988
◈ 이홍수, 음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찾아 떠나는 음악 여행,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4
◈ 음악춘추사, 성공적인 발성법, 1998

키워드

소리,   음속,   음파,   음색,   주파수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