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민요의 분류][민요의 발생][민요의 계승][민요의 음계][민요의 남도민요][민요의 거제민요]민요의 개념, 민요의 분류, 민요의 발생, 민요의 계승, 민요의 음계, 민요의 남도민요, 민요의 거제민요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민요의 분류][민요의 발생][민요의 계승][민요의 음계][민요의 남도민요][민요의 거제민요]민요의 개념, 민요의 분류, 민요의 발생, 민요의 계승, 민요의 음계, 민요의 남도민요, 민요의 거제민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요의 개념

Ⅲ. 민요의 분류
1. 통속민요와 향토민요
2. 민요권에 따른 분류
1) 경토리권 : 서울, 경기도
2) 서도토리권 : 평안도, 황해도
3) 메나리토리권 : 함경도, 강원도 동부, 경상도
4) 육자배기토리권 : 충청도 서부, 전라도, 경상도 서남부
5) 제주도토리권 : 제주도
3. 기능에 따른 분류
1) 노동요
2) 의식요 : 의식과 관련된 민요
3) 유희요

Ⅳ. 민요의 발생

Ⅴ. 민요의 계승
1. 노래의 신명성과 창조성의 회복
2. 문화 교육
3. 생활 문화의 개선

Ⅵ. 민요의 음계
1. 경(기)토리권 민요의 음계
2. 서도토리권 민요의 음계
3. 육자배기토리권의 민요의 음계
4. 메나리토리권 민요의 음계
5. 제주도토리권의 음계

Ⅶ. 민요의 남도민요
1. 육자백이
2. 자진 육자백이
3. 삼산은 반락
4. 개고리 타령

Ⅷ. 민요의 거제민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도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를 가리킨다. 흔히 남도민요라 하는 것이다
음계는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또는 흘리는 목)’의 주로 3음이 많이 쓰인다. ‘떠는 목’과 ‘평으로 내는 목’ 사이의 음정은 4도이고, ‘평으로 내는 목’과 ‘꺾는 목’ 사이는 장 2도보다 조금 좁다. 꺾는다는 말은 먼저 앞꾸밈음을 강하게 내야 하므로 마치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받기 때문이다. 서도소리가 구성음의 중간음인 ‘라’를 목을 눌러 내는 소리를 쓰고 있다는 점이 다른 지역의 민요와 다르다. 남도민요는 구성지고 처연한 한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대표적인 민요로는 <육자배기>, <진도아리랑>, <강강술래>, <흥타령>, <농부가> 등을 들 수 있다.
4. 메나리토리권 민요의 음계
메나리토리권의 민요란 강원도 동해안, 함경도, 경상도 지역에서 불리는 민요를 말한다. 이 지역 대부분의 노동요들이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제일 두드러지는 것이 <정자소리>, <메나리>, <어산용>, <아라리>, <목도소리>, <노젓는 소리> 등이다.
‘미, 솔, 라, 도, 레’의 5음 중 ‘솔’은 경과음으로 쓰이고 ‘레’는 ‘도’로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지방 민요의 음계는 ‘미-라-도’의 3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향토민요 중 메나리토리에 속하는 노래는 <쾌지나칭칭나네>,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한 오백년> 등이 있다.
5. 제주도토리권의 음계
제주도 민요는 주로 ‘솔, 라, 도, 레, 미’의 5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토리의 민요와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독립된 민요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선율진행도 도약적인 것보다는 2도나 3도의 순차 진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장식음 사용도 비교적 적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이 제주도의 방언과 결합되어 다른 지방 민요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느낌을 주고 있다.
Ⅶ. 민요의 남도민요
민요란 그 나라의 국민들이 오랜 생활을 해오는 동안 자연스럽게 발생한 생활음악으로서 매우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노래이다. 이 중 경기민요는 맑고 깨끗한 창법으로 경쾌하고 유창한 것이 특징인데 반하여 남도민요는 그 분위기가 느리고 구슬프거나, 흥겹게 흐늘거리는 노래들도 있다.
1. 육자백이
(1) 꿈아 꿈아 무정한 꿈아 오시는 님을 보내는 꿈아
오시는 님을 보내지를 말고 잠든 나를 깨워주지
언제나 알뜰한 님을 만나 만단정회를 풀어볼거나 헤
(2) 인연이 있고도 이러는거나 연분이 안될라고 이 지경이 되느냐
전생하생 무슨 죄로 우리 둘이 삼겨를 나서
이 지경이 왠일이란 말이냐 아이고 답답헌 이내 심정
어느 장부가 알거나 헤
2. 자진 육자백이
(1) 나는 그대를 생각허기를 하루도 엷낵번이나 생각허느되
그대는 나를 생각헌줄 알 수 없네
(2) 새야 너무 우지짖지를 말어라 나도 지척에다가 정든님 두고 마음
이 심숭생숭 산란헌듸 너마저 내 창전에 와서 설리 울고 갈거나
3. 삼산은 반락
*삼산은 반락 청천외요 이 수중분은 백로주로구나
(1) 갔냐 못 갔냐 얼마나 울어서 정거장 마당이 한강수가 되었네
(2) 저기 떳는 저 구름은 무슨 비바람을 품었느냐
(3) 춘풍돌이 화계야의 꽃만 피어도 님의 생각
(4) 정이라 허는 것은 안 잊을려고 허였는디
우연히 가는 정은 어쩔 수 없네
(5) 치어다 보느냐 만학은 천봉이요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4. 개고리 타령
(1) 새벽바람에 연초록 댕기 끝에 진주시 옷고름에 미라주 언덕밑에
귀남이 아니냐 설설 기여라 어허 둥둥 내 딸이야
(2) 달아 달아 밝은달 이태백이 노든 달 저 달이 우연히 밝아
장부 간장을 다 녹여
(3) 아이고 여보 마누라 마누라 마누라 마누라 마누라
마누라가 이게 왠일이요 마누라가 이리 설리 울면
동네사람이 남이 부끄럽네 울지말고 이리오소 이리 오라면 이리와
(4) 내 사랑이지 암은 그리여 둥둥둥둥 어허 둥둥 내사랑
(5) 여보 도련님 참으로 가요 내 목을 땡그렁 베어 한강수 깊은 물에
풍덩실 들이쳐 이별인가 허노메라 노든 봉화의
저 두견 짝을 잃고 우노메라 춘풍에 놀랜 봉접 깨닯도록
돌쳐나니 다려 갈라면 다려가
*서울 삼각산아 말 물어보자 너는 이곳 오래있어
지혜많은 제자들을 얼마나 내고 보냈느냐
지금도 진멋있는 풍류남아 장안에 가득 찼으니
어찌 아니 좋을손가 얼씨구 얼씨구 절씨구 얼씨구나
아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얼씨구나 절씨구
Ⅷ. 민요의 거제민요
거제도지방의 노래는 구전(口傳)에 의해 육지로부터 전해 온 것들이 많다. 둔덕사등거제동부남부지역은 호남지역의 판소리가 많이 유입되었고, 고현연초하청장목장승포지역은 내륙의 농요가 흘러들어 왔다. 이러한 농요가 거제에서 거제의 노래로 다시 태어났는데, 뱃노래나 귀양살이 노래 등이 대표적이다.
거제민요의 특징은 첫째, 노동요가 풍부하게 전승되어 있다. 거제민요가 수록된 거제도민요집을 참고로 하면 농업노동요에는 ‘상사디 소리’‘모찌는 소리’ 등이 있고, 토목노동요에는 ‘달구질 소리’ 등, 방적노동요에는 ‘베틀노래’ 등과 어업노동요에는 ‘뱃노래’ 등이 있다. 둘째, 유희요로 쾌지나칭칭이 많이 불려진다. 또한 강강술래가 불려지는데 강강술래는 호남지역에서만 불려지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거제도도 그 분포지역에 넣어야 한다. 셋째, 의식요인 지신밟기노래와 상여소리가 많다. 넷째, 뱃노래배선왕노래는 선박을 소재로 한 것이지만 떡타령까지 떡으로 배를 모아 목젖섬으로 넘기자고 하여 선박을 연상하여 부른 것은 도서지방 민요의 특징이다. 다섯째, 거제지명과 특징이 반영된 민요가 많이 불려지고 있다. 그래서 따로 거제도요(巨濟島謠)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이며 이것은 거제의 지역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배수임,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통음악 내용영역의 분석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제19집, 2002
안종법, 한국 민요에 나타난 죽음 의식
이승철, 거제도민요집, 거제 : 거제향토사연구소, 1997
이재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민요 지도에 관한 연구, 강릉 :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조영배, 제주도 민속음악 통속민요편, 신아문화사, 1991
황병익, 전통 음악과 현대 음악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