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현대건축][건축기준성립][한국건축의 미래]한국건축의 위치인식, 한국건축의 구조기술, 한국건축의 현대건축, 한국건축의 건축기준성립, 한국건축의 문제점, 한국건축의 미래, 한국건축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현대건축][건축기준성립][한국건축의 미래]한국건축의 위치인식, 한국건축의 구조기술, 한국건축의 현대건축, 한국건축의 건축기준성립, 한국건축의 문제점, 한국건축의 미래, 한국건축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건축의 위치인식

Ⅲ. 한국건축의 구조기술

Ⅳ. 한국건축의 현대건축

Ⅴ. 한국건축의 건축기준성립

Ⅵ. 한국건축의 문제점

Ⅶ. 한국건축의 미래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그러면서도 90년대는 해체주의적 경향과 하이테크의 변형된 건축이 우리의 건축계를 혼란스럽게 한다.
Ⅶ. 한국건축의 미래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이는 \"현재적인 현대\"를 어떤 각도로 보느냐 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적 의미에서는 인간중심의 질서 속에서 인간 및 세계를 파악하고 그것에 따른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그 자체가 바로 현대의 산물이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양식과 사회구조를 결정짓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예술적 측면에서는 앞 장에서 열거한 여러 가지 현대의 새로운 미적 감정과 이것을 표현하는 형식을 만들어 내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현대의 다양한 현상을 긍정적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부정할 것인가? 또는 옹호 나 비판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에 대한 이러한 흐름 을 송두율씨는 \"21세기와의 대화\"라는 저술에서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그 하나는 하버마스의 주 장처럼 현대성의 기획은 전통에 대한 비판적인 기억이나 철학, 과학, 예술을 매개로 한 자기 정체성과 연관된 체험을 떠날 수 없기 때문에 넓은 의미의 \"현대\"는 \"미완의 기획\"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보는 입장과 둘째, 현대에 대해서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는 전통적인 보수주의자 입장으로 현대의 학문, 도덕, 예술의 분화에서 현대가 맞고 있는 위기적 상황의 근본요인을 찾고 전체적이 고 통합적인 윤리적 질서의 회복을 통해 안정을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류와(C,Schmitt, Joachim Ritter, Daniel Bell) 심미적, 감성적 체험으로부터 새로운 윤리를 정립하려한 푸코(M, Foucault)와 바타유(G, Bataille), 무주의적 윤리를 정립하려한 보러(K.H. Bohrer)는 기독교문화 이 전에 있었던 본원적인 인간의 자유를 회복하고자 하는 동경이 바탕에 깔려있는 흐름이 있다. 이 와같이 두 가지의 양립된 사고의 세계적인 흐름이 한국사회에도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한동안은 서구사조를 인용하는 방법론이 지속할 것이나 그러면서도 우리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서구의 기술과 한국의 정신을 결합하는 소위 동도서기(東導西器) 또는 Cross Over) 적인 새로운 장르가 확대될 것이다. 단순히 기술과 정신이 결합되는 것 보다는 완전 히 통합할 수 있는 도기합일의 예술이 탄생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미 음악가 윤이상씨나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씨 미술부분의 이응로씨의 경우와 같이 이성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양 의 정신을 합일시키는 작품이 나타날 것이며 한편 대중예술에서는 Cross Over적 음악과 미술이 보편화 될 것이다. 특히 건축에서는 동서양이 하나가 되는 도기합일의 작품은 물론 보다 더 근원 적인 문제로 접근해 지금까지 현대사상이 지니고 있었던 인간과 자연에 대한 관계, 즉 인간의 자 연에 대한 지배적 관계에서 공생의 개념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생태개념의 건축이 보편적 언어로 등장할 것이다. 방법론적으로는 생태적 유형론을 주장하기도 할 것이고 미니멀한 관점에 자연주의적 방법을 결합 한 \"탈인본주의\"적 사조가 팽배할 것이다.
Ⅷ. 결론 및 제언
60년대 말부터 불기 시작한 전통에 관한 것들은 \"韓國學\"이란 하나의 분야를 정립시키기 이르렀는데 전통건축에서 현대건축에로의 도입은 건축가 혼자만의 일이 아니며 모두가 한번쯤 생각해봐야할 문제라고 생각되며 생활관습으로 이어온 전통을 바탕으로 시대의 변천에 순응할 수 있는 融通性도 지녀야하며, 따뜻한 정담이 오갈 수 있는 편안한 안식처로서 구석구석 소박미가 흐를 수 있는 공간창조와 \"전통을 계승한건축이 바로 이것이다\",\"그것의 패턴은 이런저런 것이다\"라고 누구도 완벽한 정의를 내릴 단계는 아니지만 나무서까래를 콘크리트로 만들고 한국의 기와지붕을 잇는 답습과 모방이 아니라 그런 것이 없더라도 그것을 볼 때나 사용할 때 이것이 한국적인 것이구나를 은연중에 느낄 수 있는 건축에서 우리가 전통건축에서 창조하고 발전시켜야 할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 건강하고 잘생긴 건물의 구조, 기문당
◈ 마크 겔런터 저, 최아사 역(2007), 보이는 건축 보이지 않는 생각(건축 디자인이론의 비판적 역사), 한길사
◈ 신영훈 외(2001), 우리건축 100년, 현암사
◈ 장기인(1985), 건축구조학
◈ 현대건축사, 세진사
◈ 한국 건축가 협회, 한국 현대 건축 총람(2) - 한국의 현대 건축·건축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