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가소개
2. 이강백 희곡의 전반적인 특성
1) 정치적ㆍ존재론적 알레고리와 구성의 견고함
2) 비유극과 인물성격에서의 격정의 무시
3) ‘조건’과 딜레마의 극적 세계
3.《파수꾼》분석
1) 줄거리와 인물
2) 위기의식 조장과 권력유지
3) 알레고리와 사회 현실적 의미
Ⅲ. 결론
Ⅱ. 본론
1. 작가소개
2. 이강백 희곡의 전반적인 특성
1) 정치적ㆍ존재론적 알레고리와 구성의 견고함
2) 비유극과 인물성격에서의 격정의 무시
3) ‘조건’과 딜레마의 극적 세계
3.《파수꾼》분석
1) 줄거리와 인물
2) 위기의식 조장과 권력유지
3) 알레고리와 사회 현실적 의미
Ⅲ. 결론
본문내용
성실하게 살아온 늙은 군인을 연상케 한다. 진실을 알리라는 소년 파수꾼의 제의에, 사람들이 자신을 죽일 거라고 엄살을 떠는 촌장의 논리는 마치 진실을 밝히는 것은 폭력 유혈혁명을 촉발하는 것이며, 그것은 엄청난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라는 식의 보수적 논리를 연상케 한다.
이렇게《파수꾼》은 각 대목의 알레고리적 내용이 충실하며 서로 정합하게 잘 맞아떨어진다. 또한 70년대 정권의 체제 유지를 위한 안보 논리에 대한 통렬한 풍자를 보여 준다.이러한 풍자가 우화적인 장치를 통해서 빗대어 표현되고 있는 것이 이강백 초기 희곡의 특징인 것인데, 이러한 특징이야말로 70년대를 살아가는 대표적인 연극적 방식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파수꾼》은 ‘위기의식의 조작에 의한 비민주적 권력의 유지’라는 주제의식으로서는 가장 잘 만들어졌으며, 수용자들이 그러한 알레고리의 의미를 가장 쉽게 간파할 수 있는 작품이다.
Ⅲ. 결론
이 작품의 주제를 소박하게 해석하면,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식의 교훈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작품의 토대가 된 이리와 소년에 대한 우화 동물이나 인간, 신 또는 무정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전개하는 짧은 이야기 형식의 하나. 도덕적인 명제나 인간 행동의 원칙을 예시하는데, 대개의 경우 우화는 보편적인 지혜를 담고 있는 경구(警句)를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이 가르치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 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적인 것이다.
- 국어 국문학 편찬 위원회 편, <국어 국문학 자료 사전> 中 -
(寓話)는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소년은 거짓 소문을 퍼뜨려 마을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골탕 먹인다. 마을 사람들은 정작 이리가 나타났을 때에는 소년의 말을 듣지 않아 큰 피해를 입는다. 이 이솝우화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연극 교본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러나 이강백은 이러한 우화적인 내용을 사회 현상과 연결시켜 독재자들의 위선과 계략을 폭로하는 사회극을 바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강백은 우화를 우리의 현실과 대비시킴으로써, 우리의 억압적인 정치 현실을 암시하는 수법을 사용하며 김만수,「동화, 우화로 고쳐쓰기 - 희곡 창작의 한 사례」,『문학과 교육』봄 제 7호, 1999
, 진실의 왜곡이 가져올 수 있는 엄청난 재앙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의 결말에서는 소년이 촌장의 설득을 받아들여 스스로 거짓 보고에 앞장 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관객들은 이처럼 거짓의 길을 선택한 소년 파수꾼의 처지에 연민과 분노를 느끼고, 진실을 용기 있게 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다.
진실을 말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진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 진실을 말할 수 없는 상황, 진실을 용기 있게 외치는 고통보다는 지배자의 달콤한 유혹을 선택하는 소년의 모습이 극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우화적 기법은 겉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 이상의 깊은 의미나 내용을 상징적으로 함축해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올바른 감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남석,「1970년대 이강백 희곡 연구」,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43, 2001
김만수,「동화, 우화로 고쳐쓰기 - 희곡 창작의 한 사례」,『문학과 교육』봄 제 7호, 1999
김성희,『연극의 세계』, 태학사, 1996
김성희,『한국현대희곡연구』, 태학사, 1998
서연호,『한국대표희곡강론』中《파수꾼》- 양승국, 현대문학북스, 1993
이영미,『이강백 희곡의 세계』, 시공사, 1998
이상섭,『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76
이렇게《파수꾼》은 각 대목의 알레고리적 내용이 충실하며 서로 정합하게 잘 맞아떨어진다. 또한 70년대 정권의 체제 유지를 위한 안보 논리에 대한 통렬한 풍자를 보여 준다.이러한 풍자가 우화적인 장치를 통해서 빗대어 표현되고 있는 것이 이강백 초기 희곡의 특징인 것인데, 이러한 특징이야말로 70년대를 살아가는 대표적인 연극적 방식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파수꾼》은 ‘위기의식의 조작에 의한 비민주적 권력의 유지’라는 주제의식으로서는 가장 잘 만들어졌으며, 수용자들이 그러한 알레고리의 의미를 가장 쉽게 간파할 수 있는 작품이다.
Ⅲ. 결론
이 작품의 주제를 소박하게 해석하면,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식의 교훈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작품의 토대가 된 이리와 소년에 대한 우화 동물이나 인간, 신 또는 무정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전개하는 짧은 이야기 형식의 하나. 도덕적인 명제나 인간 행동의 원칙을 예시하는데, 대개의 경우 우화는 보편적인 지혜를 담고 있는 경구(警句)를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이 가르치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 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적인 것이다.
- 국어 국문학 편찬 위원회 편, <국어 국문학 자료 사전> 中 -
(寓話)는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소년은 거짓 소문을 퍼뜨려 마을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골탕 먹인다. 마을 사람들은 정작 이리가 나타났을 때에는 소년의 말을 듣지 않아 큰 피해를 입는다. 이 이솝우화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연극 교본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러나 이강백은 이러한 우화적인 내용을 사회 현상과 연결시켜 독재자들의 위선과 계략을 폭로하는 사회극을 바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강백은 우화를 우리의 현실과 대비시킴으로써, 우리의 억압적인 정치 현실을 암시하는 수법을 사용하며 김만수,「동화, 우화로 고쳐쓰기 - 희곡 창작의 한 사례」,『문학과 교육』봄 제 7호, 1999
, 진실의 왜곡이 가져올 수 있는 엄청난 재앙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의 결말에서는 소년이 촌장의 설득을 받아들여 스스로 거짓 보고에 앞장 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관객들은 이처럼 거짓의 길을 선택한 소년 파수꾼의 처지에 연민과 분노를 느끼고, 진실을 용기 있게 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다.
진실을 말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진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 진실을 말할 수 없는 상황, 진실을 용기 있게 외치는 고통보다는 지배자의 달콤한 유혹을 선택하는 소년의 모습이 극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우화적 기법은 겉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 이상의 깊은 의미나 내용을 상징적으로 함축해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올바른 감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남석,「1970년대 이강백 희곡 연구」,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43, 2001
김만수,「동화, 우화로 고쳐쓰기 - 희곡 창작의 한 사례」,『문학과 교육』봄 제 7호, 1999
김성희,『연극의 세계』, 태학사, 1996
김성희,『한국현대희곡연구』, 태학사, 1998
서연호,『한국대표희곡강론』中《파수꾼》- 양승국, 현대문학북스, 1993
이영미,『이강백 희곡의 세계』, 시공사, 1998
이상섭,『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