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사의 모든것] 구술사의 특징과 국가별 연구동향 및 한계점과 전망(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주요내용
ⅰ. 구술사의 정의 및 구술사의 등장
⑴ 구술사의 정의
⑵ 구술사의 등장
ⅱ. 구술자료의 성격
⑴ 구술성 (orality)
⑵ 주관성과 개인성
⑶ 공동작업
⑷ 구술자료의 분류
ⅲ. 구술사의 나라별 현황
⑴미국
① 연구 배경
② 발전 과정
③ 역사학과 구술사
④ 구술사 연구쟁점
⑵인도
① 서브얼턴 연구내용과 비판
② 서브얼턴 연구의 방법론적 한계
③ 구술사 연구방법 및 인도에서의 연구 경향
- 여성연구
- 농민전쟁
⑶일본
① 연구배경
② 전쟁체험과 구술사 연구
③ 문헌사료와 구술사료
④ 기억, 서술의 문제
⑷한국
① 문제제기
② 왜 구술사인가
③ 구술사 발전과 제도화
④ 전쟁구술사 자료 수집 현황
⑤ 한국전쟁에 대한 구술사 연구의 필요성과 함의
ⅳ. 구술사의 한계

Ⅲ. 나오며

본문내용

과제의 하나이다.
구술사의 방법론 자체가 진보적이거나 민중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가부장적이고 권위주의 화된 문자지식을 갖춘 엘리트들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문자적 지식을 갖추지 못했거나 권력화 되지 못한 다수의 사람들이 역사에서 배제되거나 억압 및 은폐되는 일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들은 역사의 전면에 복원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우리 조에서는 구술사의 연구방향에 관해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겠다. 첫째, 사실 확인을 넘어서는 텍스트 생산으로 무엇보다 듣기로의 자세 전환, 화자의 구술이 존중되는 면담, 구술자의 내면듣기로 심층면접이 되어야 한다. 구술방문에 자주 발생한 것은 서술자의 잊음과 일부러 왜곡이다. 오래된 역사에 대한 기억이 잘 못 하는 경우도 있고 일부러 숨기는 경우도 있다. 왜곡이란 어떤 동기 때문에 일부러 조작하는 경우가 있거나 스스로 경험이 많이 하는 것을 뽐내려고 하거나 심지어 인터뷰를 하는 학자만 맞추는 경우도 있다. 둘째, 구술자료 축적을 넘어 구술사 연구로는 과거의 리얼리티에 접근하는 방식, 구술자와 연구자의 목소리 구분해서 싣기, 작지만 깊은 분석을 얘기 하였고 셋째, 아래로부터의 역사로서 구술사로 역사는 구술사가 단지 사실 확인이 아니라 기록을 남기지 않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려는 것이라 한다면 결국 민중의 평범성과 일상성 속에서 어떻게 지배와 저항이 맞물리고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아래로부터의 역사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것을 얘기한다. 아래로부터의 역사로서 구술사를 자리매김을 한다는 것은 기억을 둘러싼 투쟁에 개입하려는 것이다.
사실 위와 같은 문제가 문헌에서도 존재한다. 옛날에 역사문헌을 쓴 사람이 스스로 유전해야 한 사료만 기록했고, 나쁜 일을 기록하지 않았으며, 일부러 통치 집단을 미화했다. 흑백을 헛갈리었고 역사를 치운 것은 통치자가 백성들을 속일 수 있었던 중요한 수단이었다. 그러므로 구술자의 왜곡은 개인적인 행위지만 역사를 기록한 사람들과 비슷하다. 그리고 구술을 통해서 문헌의 단점에 대한 체험을 깊이 터득한다.
구술과 문헌을 같이 연구하면 구술자의 무의식적으로 한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구술과 문헌을 같이 참고하면 문헌을 기초로 구술자의 꾸며냄을 분해할 수 있다. 구술사에 문헌은 필요한 기초와 참고물이다. 문헌이 없다면 구술연구가 대부분 잘 진행할 수 없다.
구술사의 연구방법을 간단히 말하면 구술사는 거시적인 서술에 대한 배제하고 개인 독특성에 대해 인정하는 것이고 이성적인 서술방식에 대한 의심과 개인 경험에 대한 관심이다.
지금까지 구술사에 대한 연구방법은 주로 인터뷰였다. 그러나 이런 인터넷시대에 특히 블로그가 유행되고 시민들 대부분이 글을 짓는 오늘날에 전통적인 인터뷰가 구술사의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블로그와 같은 것은 구술사의 한 가지 연구방법이 될 수 있을까? 우리는 이에 대해 형식은 문자지만 서술방식은 구술이라고 생각했다. 사건이 발생하자마자 쓰는 글이 시간이 오래 지난 기억보다 더욱 진실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통적인 Face to Face 가 좋은 교류라고 할 수 있겠지만, 새로운 연구형식으로 구술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구술사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억의 부정확성과 기억의 신뢰도 문제, 말과 사물의 일치성, 조사자의 해석이 개입되며 말과 기억의 주관성 때문에 학술 자료로써 비판을 받는 등의 이유로 신뢰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객관적인 기록된 자료도 중요하지만 구술사 또한 역사를 연구할 때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글로 된 기록은 제한적이고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구술사는 그 부분을 보완해 이해를 쉽게 하고 우리는 문서기록과 대조를 통한 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구술사가들이 기억의 사실성 여부보다는 그것의 발달 과정, 신빙성 보다는 기억의 작용 방법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구술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구술사를 단순한 자료가 아닌 현실의 재현으로 인식하려는 노력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
조사를 하면서 자료의 량이라든지 다양성이 아직 많이 부족함을 느꼈는데 아직 구술사에 대한 우리사회의 시각이 그리 넓지 못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술사연구를 통해 역사 이면에 감춰진 진실을 파헤쳐 우리의 편중되고 획일화된 신념을 바로잡아나가고 역사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어 한층 심도 깊은 연구 활동이 이루어 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김봉중. 2001 . “신좌파운동.” 김덕호김연진 엮음. 『현대미국의 사회운동』. 비봉출판사.
이보형. 2000. “미국역사학의 전개 과정.” 『미국 역사학의 역사』. 『미국 역사학의 역사』. 비봉출판사.
조지형. 2000. “국민주의 역사학: 뱅크로프트.” 이보형황혜성 엮음.『미국 역사학의 역사』. 비봉출판사.
최웅. 2000. “혁신주의 역사학: 터너.” 『미국 역사학의 역사』.『미국 역사학의 역사』. 비봉출판사.
김귀옥. 2006.“한국구술사 연구현황,쟁점과 과제”.『사회와 역사』.
함한희. 2000.구술사와 문화연구.
류방란. 1998.구술사 연구의 방법과 활용.
윤택림. 1995. 탈식민 역사쓰기, 한국문화인류학, 27권.
김봉중. 2001. “미국 구술사의 동향과 쟁점." 전남사학 16. 전남사학회.
윤택림. 1994. “기억에서 역사로-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인류학 25. 한국문화인류학회.
Ong, Walter J. 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역. 문예출판사.
Lewis, Oscar. 1997. 산체스네 아이들 123. 박현수 역. 지식공작사.
國場幸太郞. 2001. “1950년대의 오키나와.” 정근식 외 편,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1. 삼인.
高良鐵美. 2001. “오키나와에서 본 일본의 우경화와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 정근식 외 편.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2. 삼인.
참고사이트
http://www.oralhistory.kr
http://solid.or.kr/zbxe/solid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1.11.0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