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공중 보건학 완벽 요점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추)공중 보건학 완벽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hapter 1. 공중 보건
Chapter 2. 역학 및 질병 관리
Chapter 3. 전염병
Chapter 4. 기생충 질환 관리
Chapter 5. 환경 위생
Chapter 6. 환경 오염
Chapter 7. 식품 위생
Chapter 8. 산업 보건
Chapter 9. 보건 행정 및 사회 보장
Chapter 10. 인구․가족계획 및 모자 보건
Chapter 11. 성인병 및 노인 보건
Chapter 12. 정신 보건
Chapter 13. 보건 영양
Chapter 14. 사고와 응급 처치
Chapter 15. 보건 교육 및 학교 보건
Chapter 16. 보건 통계

본문내용

자, 질병의 예방과 관리, 건강진단, 양호실 업무
⑷ 담임교사의 책무 : 초등학교 보건 교육에 가장 영향력, 반 학생들의 건강증진 및 사고 예방
☞ 가장 효율적인 보건교육 담당자 - 담임선생
☞ 양호교사 할 수 있는 건강진단 - 청력, 시력검사, 신장, 체중 측정
④ 학교 보건사업의 계획 및 평가
⑴계획 : 자료수집 → 자료 분석 → 사업 계획 수립
⑵ 평가 : 계획평가, 진행평가, 결과평가
⑤ 건강평가
- 정기건강평가(매년 1회 실시), 체력검사, 체질검사(시력, 청력), 체능검사, 결핵 검사, 영양 평가, 기생충검사(년2회 실시, 도시지역 제외), 치아이상검사, 수시건강평가(학부형 요구, 전염병 유행)
⑥ 학교 급식 - 영양개선, 체위향상, 편식교정, 비만예방, 올바른 식습관의 생활화
⑦ 학교 환경위생
⑧ 절대정화구역 - 교문에서 50m 이내
상대정화구역 - 학교경계 주위에서 200m
Chapter 16. 보건 통계
1. 보건 통계
① 보건에 대한 자료의 수집, 정리, 분석 인구특성(출생 ,사망, 질병, 인구변동), 보건에 대한 현상 및 특성 대상률(생명, 건강, 질병, 의료 등)의 측정
② 활용 -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상태 평가, 보건사업의 필요성 강조, 보건입법 및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 지원을 촉구, 보건사업 우선순위 결정, 보건사업 기술발전에 기여, 보건사업의 행정 활동에 지침, 보건사업 성패의 결정 자료, 보건사업의 기초자료
③ 통계조사의 내용 - 조사목적, 대상, 사항, 범위, 정소, 시기, 방법, 조사자
④ 평균과 편차
⑴ 산술 평균 : 측정치의 전체 합을 총 개수로 나눈 것
⑵ 기하 평균 : 측정치 곱의 제곱근
⑶ 조화 평균 : 측정치의 역수에 대한 산술 평균
⑷ 중앙치 : 크기의 순서대로 했을 때 중앙에 오는 위치적 대푯값
⑸ 최빈치 : 최당의 빈도를 나타내는 측정치
⑹ 모집단 - 어느 집단의 관측조사대상
⑺ 전체 표본 : 조사 대상의 일부
⑻ 변량 : 자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개개인의 측정치
⑼ 산포도 : 한 집단 변수의 값들이 분포상태(분산정도)를 나타내는 측정치
☞ 대푯값 밀집은 개체개인차가 적음을, 대푯값 분산은 개체개인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
⑽ 표준편차 : 산술평균에 대한 편차, 분산(편차의 제곱의 평균)에 대한 제곱근
⑾ 평균편차: 편차의 절대치의 평균
⑿ 분산 : 통계치의 흩어짐의 정도
⒀ 범위 : 측정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
⒁ 변이 계수 :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
⑤ 정확도
⑴민감도 : 측정 도구가 확진된 질병을 질병이 있다고 판단해 주는 능력
⑵특이도 : 측정 도구가 질병이 아닌 자를 질병이 없다고 판단해주는 능력
⑶양성예측도 : 측정 도구가 질병이라고 판단한 사람 중 실제 질병을 가진 사람의 비율
⑷음성예측도 : 측정 도구가 질병이라고 판단한 사람 중 실제 질병이 없는 사람의 비율
⑥ 정규분포의 특징
⑴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며 종 모양이다.
⑵ 정규곡선의 모양과 위치는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하여 결정된다.
⑶ 정규곡선 아래의 면적은 1이다.
☞ 1SD: 68.26, 2SD: 95.44, 3SD: 99.73
⑦ 출산 통계
⑴ 인구 증가율 = 조출생률 - 조사망률(인구 이동이 무시될 경우)
⑵조출생률 = 연간 출생아수 ÷ 인구 × 1,000
☞ 사산은 출생에 포함되지 않으나, 출산에는 포함된다.
⑶일반 출생률: 가임 여자인구의 출생률 = (연간 출생아 수 ÷ 15~49세의 가임 여자 인구) × 1,000
⑷연령별출생률 = (해당 연령의 여자에 의한 출생아수 ÷ 해당 연령의 여자 인구) × 1,000
⑧ 인구 재생산 통계
⑴합계 생산율 : 한 여성이 일생동안 낳는 출산율의 합
⑵총 재생산율 : 한 여성이 일생동안 낳는 여아 출생율의 합
⑶순재생산율 : 연령별 출산율에 있어서 분모인 여자 인구의 생산을 계산한 이들의 합(사망률 고려)
⑨ 사망 통계
⑴조사망률 = (연간 사망수 ÷ 인구) × 1,000
⑵영아 사망률 = 연간 영아 사망수 ÷ 연간 출생아 수 × 1,000 (지역사회의 보건수준의 대표적 지표)
⑶신생아사망률 = (생후 28일 미만의 사망자수 ÷ 연간 출생아 수) × 1,000
⑷α-Index = 영아 사망수 ÷ 신생아 사망수 (1보다 크며 1에 가까울수록 건강수준이 높다.)
⑸ 유아사망률 = (연간 1~4세 사망 ÷ 1 ~ 4세 인구) × 1,000
⑹모성사망률 = (연간 모성 사망수 ÷ 연간 출생아수) × 10,000
☞ 임신분만산욕과 관계 또는 합병증으로 사망
주산기 사망률=
임신 28주 이후 사산 + 출생 1주 미만의 사망자 수
× 1,000
연간 출생 수 + 연간 28주 이후의 태아 사망

⑻사산율 = {연간 사산 수 ÷ 연간 출산수(사산수 + 출생수)} × 1,000
⑼사인별 사망률 = (어떤 사인군의 연간 사망 수 ÷ 인구) × 1,000
⑽비례사망지수(PMI) = (50세 이상의 사망 수 ÷ 총 사망수) × 100
☞ 연간 인구의 사망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수
⑩ 질병 통계
⑴발생률(이환율) = (어느 기간의 환자 발생수 ÷ 그 지역의 인구) × 10x
☞ 일정기간 중에 발생한 새로운 환자수가 분자
⑵ 발병률 = (연간 발생자수 ÷ 위험에 폭로된 인구) × 1,000
⑶2차 발병률(100분율로 계산) = (발병자수 ÷ 위험의 접촉자 수) × 100
⑷유병율 = {어느 시점(기간)에 있어서의 환자 수 ÷ 어느 시점(기간)인구} × 10x
☞ 발생 시기와 관계없이 현존하는 환자 전원이 대상
⑸치명율 = (연 내 어떤 질병에 의한 사망 수 ÷ 어느 질병의 환자 수) × 100
☞ 높은 치명율 : 병원체의 독성이 높다. 그 질병에 대한 저항력면역력이 낮다.
인구 집단의 건강도가 낮다
⑪ 기대 수명 - 동일 출생 인구 집단의 각 연령이 앞으로의 생존을 추정하는 것, 평균 여명
0세 평균 여명 → 평균 수명
⑫ 부양비 = {비생산층 인구(15세 미만 + 65세 이상) ÷ 생산 총 인구(15~64세)} × 100
⑬ 평균비교
⑴ 두 그룹 간 평균 비교 : Group T-test
⑵ 실험 처치 전후 비교 : Paired T-test
⑶ 세 그룹 이상 평균 비교 : One-way ANOVA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1.11.25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