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폐렴 (Pneumonia)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폐렴; Pneumonia]
1) 폐의 구조와 역할
2) 정 의
3) 원 인
4) 병태생리
5) 폐렴의 분류
6) 증상과 징후
7) 진 단
8) 치 료
9) 예 후

Ⅱ. 본 론
1. 자료 수집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3)-1 사회력
4) 가족력
5) 호흡기계 신체검진 - 흉곽과 폐의 사정
6) 영 양
7) 진단검사
7) 내과적 치료요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1. 기관지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 개방 유지 불능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 영양부족

※ 참고문헌

본문내용

.
4-③ 체위배액과 흉부 타진법의 시범을 보여주고 체위배액은 식전 15분간, 흉부타진은 가래 배출시 실시하도록 교육하였다.
4-④ 처방에 따른 진해거담제를 투여했다.
1. 활력징후를 통해 신체적 이상반응을 알수 있다.
2. 동맥혈 내 산소 포화도를 통해 호흡
3. 기계적 산화를 통해 부족한 산소를 조직에 공급하고 호흡을 원활히 할
수 있다.
4-① 적절한 수분 섭취와 습도 유지는객담을 묽게 만들어
객담배출을 쉽게 한다.
4-② 효과적인 기침과 심호흡은 기관지 내의 객담배출에 효과적이다.
4-③ 체위배액과 흉부 타진법은 기관지내의 객담을 이동시켜 객담배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4-④ 객담을 묽게 만들어주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1.B.P:110/70, T:38.5℃, P:104,
R:28회
청진시 그렁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2. PH:7.49
PCO₂: 28mmHg PO₂: 79mmHg
HCO3: 21.3mmol
3.SpO₂: 89%
→95%로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4-①② 객담배출이 쉬워져 객담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불편감 호소가 줄어들었다.
4-③ 호흡이 어렵다며 체위 배액은 거부하셨고, 간호학생이 시행하는 흉부 타진법은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셨다.
#1. 기관지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 개방 유지 불능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몸이 뜨거워요.”
“일주일 전부터 열이 많이 나서 힘들었어요.”
·T : 38. 5℃
·WBC :
19.2x103/㎕7
·Lymphocyte: 3.7%
·Neutrophil :
92.8 %
피부색이 홍조 빛을 띔
피부가 축축함
진단명 :
pneumonia
<단기 목표>
대상자는 24시간 이내로 체온을 37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 범위 내에 있다.
1. 1시간 마다 v/s 을 측정한다.
2. 요 배양검사를 실시한다.
3. 대상자에게 냉요법을 실시한다.
4.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휴식을 제공한다.
5. 구강으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1. 1시간 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했다.
2-① 요 배양검사를 실시했다.
2-②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를 투약했다.
3. 커버를 씌운 ice bag 2개를 양팔 사이에 끼워줬다.
4. TV볼륨을 낮추고 실내조명을 끄는 등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5. 수분을 많이 섭취 하도록 가족들과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격려했다.
1. 갑작스런 체온상승을 예방하고 지속적인 관찰을 위함이다.
2-① 요 배양검사 결과로 백혈구 및 세균수와 원인이 되는 균을 발견할 수 있다.
2-② 원인균의 감수성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 처방이 치료기간을 단축 시킨다.
3. 고체온일 때 냉 요법을 하는 이유는 열소실의 4가지 방법 중 ‘전도’로 얼음주머니를 고열 환자와 접촉을 통해 열을 하강시키는 방법이다.
4. 강한 불빛이나 소음에 의해 자극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한다.
5.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땀이나 소변으로 열을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열로 인한 발한으로 수분을 상실했을 때는 보충해 주어야 한다.
1. 24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이 36.8℃로 유지되었다.
2-,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 영양부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우리 집도 아니고 열도 나고 하니까 입맛이 없네요”
“병원 오기 전부터 감기 때문에 잘 못먹어 냈어요”- 배우자 曰
체중감소 확인
(58kg→54kg, -4kg loss)
chart상 1/2공기 식사량 기재
대상자의 얼굴 사정 시 볼과 눈이 움푹 꺼진 모습 관찰
<단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매끼 식사량이 1/2공기에서 1공기로 섭취량이 증가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표준 정상체중을 유지한다.
1. 식사 양상 및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2. 충분한 영양식이(고단백, 고칼로리 등)를 제공한다.
3.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4. 식사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5. 비경구적으로 수액(영양제)을 주입한다.
1. 식사 시간을 이용해 식사량을 관찰하였고 매일 아침 동일한 시간에 B·W를 측정하였다.
2. 영양사와 연결하여 대상자의 영양 상태에 맞는 식이를 준비하도록 하였다.
3- 좋아하는 음식(야채, 과일 등)을 적은 양으로 자주 먹도록 교육하였다.
3- 문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집에서 먹던 음식을 준비해 드시도록 하였다.
4. 식사를 방해하는 주위 자극(bed macking, 배액관, Foley catheter 양 측정 등)을 제거하였다.
5. 영양제를 정맥으로 주입하였다.
1. 정확한 식사량 확인, 동일한 시간체중 측정을 통해 영양장애가 있는지 사정 가능하다.
2. 대상자의 영양 상태에 맞는 식이는 최적의 영양을 공급한다.
3-, 집에서 먹던 음식은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고 좋아하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함으로써 영양장애를 최소화 한다.
4. 산만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은 식욕을 떨어뜨리고 거부감을 일으키게 된다.
5. 경구적인 섭취 감소 시 비경구적 방법인 영양제를 보조적으로 주입하여 영양장애를 감소시킨다.
1. 식사량 : 1/2공기, 체중은 58kg→54kg, -4kg loss 되었다.
2. 현재 제공되는 식이가 적절하다는것을 담당 간호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3. 식사 시 집에서 준비한 나물 위주의 음식과 함께 드시며 2/3가량 식사량이 늘었고 틈틈이 과일을 드시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4. 식사 전이나 식후로 output 측정, bed macking을 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5. 보호자분께서 간호사실로 오셔서 영양제를 언급, iv로 주입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참고문헌
이향련 外 7명(2007), 성인간호학 下, 수문사
전시자 外 9명(2010), 성인간호학 下, 현문사
송경애 外(2008), 기본간호중재의 적용, 수문사
송경애 外(2008),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저(1998.07.20),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http://www.kimsonline.co.kr

키워드

성인 ,   호흡기계,   ,   기관지,   내과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1.27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