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관리기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관리기법의 종류
2.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목표관리제)
1) MBO의 성격
2) MBO와 프로그램 관리
3) 사회복지기관의 MBO 모델
3. 간트 도표(Gantt Chart)
4. PERT

본문내용

급자 9,000여개 회사의 방대한 규모
- 입찰자 및 하도급자의 작업진행 상황을 수시로 파악하여 계획된 기일 안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관리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
- 민간경영자문회사의 Booz, Allen & Hamilton에 의해 PERT 탄생
○ 개발 당시에는 시간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이 강했으나, 오늘날에는 시간통제 및 비용통제의 목적으로 사용함
- 작업 진행 중에 시간을 신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산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관리기법으로 활용
2) PERT의 개념
(1) 개념
○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재심사하는 관리기법
○ 기대활동시간 te=
a: 가장 우호적인 상황에서 기대될 수 있는 활동수행시간 예상
m: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활동수행시간에 대한 예상
b: 가장 비우호적인 상황에서 기대될 수 있는 활동수행시간 예상
te: 기대활동시간. 위 세 가지 활동시간 추정치들의 평균
※ 베타분포(β distribution)의 평균과 표준편차
,
○ PERT의 기본구조
○ 간트 차트와 PERT의 유사점
- 시작과 끝이 분명한 프로젝트에만 사용이 가능
- 시간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한 관리기법
- 작업을 단계적으로 구분하고 이 작업 간 연결점을 추적함으로써 작업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기 용이
○ 간트 차트와 PERT의 상이점
- 간트 차트는 단순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나, 작업단계가 복잡하고 작업 간 연결점이 복선적/입체적일 경우에는 적용 곤란
- PERT는 복선적이거나 입체적인 작업단계의 연결점을 추적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 관리 가능
(2) PERT 차트와 주작업선
○ 주작업선(주공정선)의 개념
- critical path: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주작업선(주공정선)
- CPM(critical path method): 주작업선(주공정선)을 찾는 방법
- 여러 통로 가운데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통로
3) PERT 차트의 작성과정
① 작업의 단계적 분류
작업단계
활동내역
작업내용
A
행사 기획
세미나의 내용을 계획
B
연사 섭외
지인과 접촉하여 발제자/토론자로 참여 의사타진
C
장소 섭외
공공기관, 학교 등과 접촉하여 세미나 장소 물색
D
행사 후원자 섭외
민간기업 등 후원자 물색 및 결정
E
진행요원 선발
안내, 장내정리 등에 필요한 진행요원 선발 및 훈련
F
초대장 준비
초대장 제작 및 발송
G
예약 접수
행사 참여자 예약 접수 (회의자료, 식사 준비 등)
H
행사 홍보
언론에 보도자료 배포 등 홍보활동
② 작업별 소요시간의 산정
작업단계
활동내역
소요시간(주)
A
행사 기획
2
B
연사 섭외
1
C
장소 섭외
2
D
행사 후원자 섭외
4
E
진행요원 선발
3
F
초대장 준비
2
G
예약 접수
3
H
행사 홍보
1
③ 작업들 사이의 선후관계 파악
작업단계
활동내역
선행작업
A
행사 기획
없음
B
연사 섭외
A
C
장소 섭외
없음
D
행사 후원자 섭외
A
E
진행요원 선발
없음
F
초대장 준비
B, C, D
G
예약 접수
F
H
행사 홍보
F
④ PERT 차트의 작성
◆ 행사를 마치기 위해 완수하여야 할 모든 작업들의 통로
통로 1: 시작 → 활동A → 활동B → 활동F → 활동G → 종료
통로 2: 시작 → 활동A → 활동B → 활동F → 활동H → 종료
통로 3: 시작 → 활동A → 활동D → 활동F → 활동G → 종료
통로 4: 시작 → 활동A → 활동D → 활동F → 활동H → 종료
통로 5: 시작 → 활동C → 활동F → 활동G → 종료
통로 6: 시작 → 활동C → 활동F → 활동H → 종료
통로 7: 시작 → 활동E → 종료
◆ 임계통로(critical path)의 확인
- 시작에서 종료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통로 가운데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통로
통로 1: (2+1+2+3)=8주
통로 2: (2+1+2+1)=6주
통로 3: (2+4+2+3)=11주 (임계통로)
통로 4: (2+4+2+1)=9주
통로 5: (2+2+3)=9주
통로 6: (2+2+1)=5주
통로 7: (3)=3주
4) PERT 차트와 시간관리
○ 주작업선과 시간관리
- 주작업선에 있는 작업에 차질이 생기면 전체 작업에 차질이 생김
- 관리자는 주작업선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정해진 시간 안에 작업을 마무리하도록 관리하여야 함
○ 주작업선과 여유시간 관리
- 관리자는 주작업선이 아닌 다른 작업선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여유시간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함
- 관리자의 재량에 따라 여유시간 동안에 다른 업무를 부여할 수 있음
5) PERT와 예산관리
○ PERT와 프로그램 예산 분배
- 자금이 확보되어 있는 시점에 맞추어 작업을 시작하여 정해진 기한 내에 끝내는 일은 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관리통제의 한 방법임
- 만약 자금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시작할 경우 외부에서 자금을 차용해야 하므로 예정에 없던 시간과 비용(이자 등)이 요구되는 등 관리상의 비능률이 초래됨
- 유능한 관리자는 자금이 확보될 때 작업을 시작하고, 자금이 확보되지 않으면 시작시점을 최대한 늦춤 (여유시간의 활용)
- PERT 차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예산을 관리할 수 있음 : 초반기와 중반기에 예산을 많이 사용하는 방법과 중반기와 후반기에 예산을 많이 투입하는 방법이 있음
<초반기와 중반기에 예산을 집중 투입하는 방안: 예시>
작업단계
기간
제1주
제2주
제3주
제4주
제5주
제6주
제7주
제8주
제9주
제10주
제11주
A
10
B
10
C
10
D
10
10
E
F
10
10
10
10
10
G
10
10
10
10
H
10
10
10
10
10
합계
20
40
30
20
20
10
10
10
10
10
10
<중반기와 후반기에 예산을 집중 투입하는 방안: 예시>
작업단계
기간
제1주
제2주
제3주
제4주
제5주
제6주
제7주
제8주
제9주
제10주
제11주
A
10
B
10
C
10
D
10
10
E
F
10
10
10
10
10
G
10
10
10
10
H
10
10
10
10
10
합계
10
10
10
10
20
30
30
20
20
20
10
참고
조직행동론(이학종, 박현준) 법문사
1급사회복지사 시험 대비 기본서
사회복지행정론(나눔의 집)
사회복지행정론 장인협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2.03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