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쇼핑몰] 인터넷쇼핑몰의 개념과 분류, 특성, 거래절차 및 구축과정과 관리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인터넷 쇼핑몰

Ⅰ. 인터넷 쇼핑몰

1. 인터넷 쇼핑몰의 개요
2. 인터넷 쇼핑몰 분류
3.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
4. 인터넷 쇼핑몰 거래절차

Ⅱ. 인터넷 쇼핑몰 구축 과정

1. 아이템 선정
2. 쇼핑몰 기획 및 도메인 등록
3. 사업자 등록과 통신판매업 신고
4. 쇼핑몰 설계 및 제작
5. 홈페이지 등록
6. 홍보 마케팅
7. 분석과 갱신

Ⅲ. 인터넷 쇼핑몰 관리

1. 사이트 모니터링
1) 사이트 모니터링의개요
2) 사이트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원칙
2. 백오피스
1) 백오피스의 개념
2) 백오피스의 필요성
3) 백오피스 관리
(1) 고개관리
(2) 트래픽관리
(3) 거래관리
(4) 광고관리
3. 사이트 관리
1) 콘텐츠 관리
(1) 택스트관리
(2) 그래픽관리
(3) 메인페이지 관리
2) DB관리
(1) 상품관리 DB
1> 상품관리
2> 상품 속성
3> 상품 분류
(2) 고개관리 DB
(3) 주문처리 DB

본문내용

과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광고료도 트래픽을 토대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트래픽 정보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객들의 관심대상이 된다.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무엇인가를 판단하는 데이터로 활용되면서 효과적인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3) 거래관리
백오피스 시스템에서 거래 처리를 지원해야 하는 시스템은 주문시스템, 결제시스템, 배송시스템, 재고관리시스템 있다.
(4) 광고관리
광고관리에서는 사이트 방문건수(hits), 사이트 방문자의 수(web visit), 광고에 노출된 사람의 수(impression), 배너광고에 클릭한 사람의 수(click-through), 구매의사를 표명한 사람의 수(leads), 실제로 제품을 구매한 사람의 수(sales) 등이 있다.
3. 사이트 관리
1) 콘텐츠 관리
콘텐츠는 웹상에서 구현되는 사이트를 구성하는 내용이나 목록 등을 지칭한다. 그러므로 특히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 콘텐츠의 구성에 따라 방문자 수나 매출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콘텐츠를 분류하면 정보(information)중심형,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중심형, 커뮤니티(community)중심형,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중심형, 전자상거래(e-commerce)중심형 등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등에 대한 관리는 크게 텍스트(text)관리, 그래픽(graphic)관리, 메인페이지(main page)관리로 나누어진다.
(1) 텍스트관리
첫째, 전자상거래는 접속시간과의 문제이므로 중요한 내용을 전면 배치해야 한다. 둘째, 가능한 중요한 단어의 경우는 링크가 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장을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장에 대한 의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한다. 넷째, 고객에게 수많은 정보를 제공하려는 과욕을 부리지 말고 링크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유행이 지나간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즉, 고객들은 유행 및 추세에 민감하므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고 양적인 것보다 질적인 측면의 내용 갱신이 요구된다.
(2) 그래픽관리
첫째, 과도한 그래픽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그래픽 사용의 과다로 고객이 접속할 경우 문제를 유발시켜 방문자 수와 매출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그래픽 사용 시 부가적인 문자 설명이 필요하다. 고객이 그래픽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덧붙여 이해를 도울 필요가 있다.
셋째,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즉,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시스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사용자 입장에서 설계되어야한다. 넷째, 웹사이트의 여백의 미를 살려야 한다. 특히 메인 페이지에 한꺼번에 수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여백도 없이 구축되면 메인 페이지 접속 시 문제가 유발 될 수 있다.
(3) 메인페이지 관리
메인페이지는 고객이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출입문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메인페이지에 구성될 내용에 심사숙고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타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메인페이지에 포함될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웹사이트의 공통된 내용은 업체명, 업종, 영업방침, 사이트의 기타분야 등이 있다.
2) DB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모아 놓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고객DB, 학교의 학생DB, 도서관의 도서관련 DB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되면서 변경되고 사용자가 적절하게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정의한 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여러 사용자 또는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1) 상품관리 DB
1> 상품관리
인터넷 쇼핑몰의 留 카탈로그를 만들기 전에 각 페이지에 전시될 상품에 대해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인터넷쇼핑몰의 경우 오프라인 매체와 달리 상품의 수량에 관계없이 전시가 가능하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2> 상품 속성
상품속성은 쇼핑몰 전자 카탈로그를 만드는 기본 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대개의 경우 거의 모든 업체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국내 쇼핑몰 업체 간에 표준으로 정해 놓은 것은 없다. 아울러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할 상품에 대해 판매가격, 제조업체, 상품정보, 상품명을 표시해야 한다.
3> 상품 분류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을 모를 경우 상품검색 방법은 상품분류에 따라 상품목록을 확인한 후 상세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인터넷 쇼핑몰 업체마다 상품분류가 상이하므로 자사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2) 고객관리 DB
고객관리정보란 특정회원이 쇼핑몰 이용하는 형태를 쇼핑몰 시스템에서 검색하여 회원의 쇼핑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쇼핑몰 접속 횟수, 쇼핑몰에서 검색하는 상품형태, 구매한 총액 등이 있다. 따라서 고객관리정보는 회원분류, 마일리지, 회원구매 이력 등으로 구분해 관리한다.
(3) 주문처리 DB
주문관리는 고객으로부터 주문 받는 접수단계와 상품배달, 환불, 교환 등에 관련된 주문관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주문접수 단계는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배달정보와 결제를 할 지불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아서 쇼핑몰 시스템에 주문거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인터넷 쇼핑몰의 주문정보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정보, 고객이 구매한 상품정보, 상품배달이 필요한 경우의 상품배송 정보, 상품대금 지불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구매자 정보는 쇼핑몰의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회원관리를 하는 쇼핑몰에서 구매자 정보관리와 회원관리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상품 배달정보란 상품을 누구에게 보낼 것인가 하는 것과 배달 수단 등에 관한 것이다. 지불정보란 상품대금에 관련된 것으로 결제를 카드로 할 경우 카드번호 등을 입력하고 현금인 경우 입금할 은행명과 입금일 등을 입력하게 된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