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tilator 적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Ventilator 정의와 목적

2. Ventilator 의 종류

3. Ventilator mode와 setting.

4. Ventilator 적용기준.

5. Ventilator 적용 대상자 간호.

6.Ventilator(인공호흡기)합병증

7. Ventilator 제거기준

본문내용

Force (흡입력)
< -30mmHg
-75~-100mmHg
가 스 교 환
PaO2
< 55mmHg
60~100mmHg
PaCO2
> 50mmHg
35~45mmHg
P(A-a)DO2 (폐포/동맥 산소압력의 차이) with 100% O2
> 450mmHg
25~65mmHg
Vd/Vt (사강율)
> 0.6
0.25~0.40
5. Ventilator 적용 대상자 간호.
1. 기도 관리
- 장기간 기관내 삽관을 유지하고자 하면 매 시간마다 3-5분동안 cuff내의 공기를 제거한 다음 다시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도 점막의 압박손상을 줄일수 있음.
- 튜브의 위치가 항상 정위치에 잘 있나 항상 확인 : carina에서 5-7cm위에 위치
- 기관내 삽관은 3-4주이상 유지할 경우 기관절개술을 시행함.
- 2-3일에 한 번정도 tube change고려
- 기관내 분비물을 흡인해냄.
- 멸균된 카테터에 윤활유를 발라 suction을 켜지 않은 상태로 기도내로 20-30cm삽입한 다음, 환자가 기침을 하면 suction을 가동해서 흡인해냄.
- 딱딱한 기도내 분비물은 Normal saline 2-3ml나 Mucolytics 2-3ml를 기도내로 주입후 suction해냄.
- 폐기능이 충분치 못한 환자들은 suction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산소를 준 다음, 재흡인할때까지 최소한 3분이상은 기다려야 함.
- Pulse Oximeter를 사용하며 suction을 하기도 함.
- Percussion, 진동마사지를 병행하기도 함.
- 기도청소관(카테터)은 매번 교환해서 사용함
- 기도청소(suction)후 분비물에 대하여 포도당을 검사하여 수치가 높은 위액의 기도흡인(aspiration)을 의미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조치가 필요함.
2. 가습
3. 진정
-인공호흡기는 대상자와 가족에게 불안을 초래하므로 간호사는 인공호흡기의 목적을 설명하고 신체적, 정신적 도움과 지지를 제공해준다. 응급 시에는 응급상황이 조절된 후 설명해 준다.
★간호
*매 근무교대마다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1회호흡량, PEEP, 호흡수, FiO2 등)
*대상자 상태에 맞게 경보를 설정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튜브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흉곽의 움직임, 호흡곤란,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의 색, 청진 시 나음, 천식음, 호흡음, 맥박산소 측정기(Pulse oximetry), ABGA결과, 두통, 불안, 혼돈, 기면, 빈맥, 부정맥등)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인공기도의 cuff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20mmHg)
*필요시 무균법을 이용하여 흡인한다.
*기관내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적절할 때의 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기관내관 또는 기관절개관 주의는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재고정시킨다.
*기관내관은 매 24시간마다 구강의 반대편 쪽으로 고정시켜 궤양을 예방한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폐 감염증상, 징후를 관찰한다.
*통증이나 불안을 감소시킨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한다.
*인공호흡기, 가습기, 필터를 규칙적으로 소독하여 교환한다.(매 5일마다.)
*인공호흡기 기계는 매일 소독제로 닦아 청결을 유지한다.
*합병증을 관찰한다.(혈액학적 불안정, 폐손상, 무기폐, 기관내관이탈, 병원감염, 산 염기 장애, 체액과다, 위장관 출혈, 황달, 영양결핍, 기관지손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제)
*소생백, 산소마스크, 구강기도 등을 침상가에 늘 준비한다.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6.Ventilator(인공호흡기)합병증
1. 심혈관계
폐내 압력의 증가로 전신 귀환 혈액량이 감소되고 심박출량 저하 및 저혈압 초래.
- PEEP환기방식 사용 시 더욱 고려해야 하며 적절한 혈액량 유지와 수액요법 시 행해야함
- 저혈량이나 PEEP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저혈압이 심해질 수 있음
(간호사는 주의깊게 혈압을 측정하고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등 측정)
2. 호흡기계
- 압력으로 인한 폐손상 - 폐포 저환기 - 폐포 과환기 - 감염
- 용량-압력으로 인한 폐손상 - 인공호흡기의 기능 이상 - 기관튜브 합병증
7. Ventilator 제거기준
- 삽관의 적응증이 해결되었을 때 관을 제거.
- 제거하기 전 간호사는 처치법을 설명한다.
- 처방된 산소전달 시스템을 침대 옆에 설치하고, 응급 재삽관법을 위해 기구를 준비.
- 대상자에게 산소를 주고, E-Tube관과 구강을 철저히 흡인한다.
- E-Tube관의 커프에서 빠르게 공기를 빼고, 흡기정점에서 관을 제거후. 대상자 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한다.
- 발관 이후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다. 처음 매시간 활력징후를 모니터, 환기양상 및 호흡곤란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
- 대상자에게 semi-Fowler 자세를 취하게 하고, 30분마다 심호흡을 하고 2시간 간격으로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하며 발관 직후에는 말하는 것을 삼가도 록 교육.
---->조기징후는 가벼운 호흡곤란과 기침,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 등이다. 특히, 협착음으로 진행하는지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협착음은 후두경련이나 부종으로 인해 성문 위 또는 아래에서 흡기동안에 들리는데, 높은 음으로 우는 잡음이다. 에피네프린을 투여하고, 재삽관 할 수도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2.0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