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조사와 띄어쓰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조사와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의 띄어쓰기

2. 1. 조사와 의존 명사
2. 2. 조사와 단어
2. 1. 1. 조사와 부사
2. 1. 2. 조사와 용언의 활용형
2. 2. 단어로 혼동하기 쉬운 조사

Ⅲ. 맺음말

<표 1> 한글 맞춤법에서의 띄어쓰기 조항

<표 2> 국어 조사의 띄어쓰기

본문내용

냥 졌다마는 다음에 꼭 이긴다.
ㄷ. 봉오리만은 꺾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ㄹ. 얼마나 되겠느냐마는 살림에 보태자.
또한 보조사 ‘-커녕’도 단어로 착각하기 쉽다. ‘-커녕’은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덜하거나 못한 것까지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거나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리어’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이와 비슷한 형태로 ‘-ㄴ/-는/-은커녕’이 있다. ‘-ㄴ/는커녕’은 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로 보조사 ‘-ㄴ’ 또는 ‘-는’, ‘-은’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ㄱ. 그 녀석 고마워하긴커녕(고마워하기는커녕) 아는 체도 않더라.
ㄴ. 밥커녕 죽도 못 먹는다.
‘새로에’라는 보조사도 있다. 이는 조사 ‘는’, ‘은’의 뒤에 붙어 ‘고사하고’, ‘그만두고’, ‘-커녕’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인데, 현대 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표준 국어 대사전>에는 “생각하면 비바람은새로에 벼락이 빗방울처럼 쏟아진다 하여도 원통할 것이 없으며”라는 용례가 나오는데, 근대 국어 시기인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에 나오는 말이다.
한편, (ㄱ)은 <표준 국어 대사전>에 제시된 용례인데, ‘아는 체하다’는 ‘알은체하다’ 또는 ‘알은척하다’가 되어야 한다. ‘아는 체하다’에서 ‘체하다’는 보조 용언으로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그럴듯하게 꾸밈을 나타내는 말” 즉, “나는 화장실에 가는 척하고 그 술집을 나오고 말았다.”와 같이 사용한다. 이에 비해 ‘알은체하다’ 또는 ‘알은척하다’는 ‘알다’의 어간 ‘알-’에 관형사형 어미 ‘-은’이 결합한 말이다. 이때 ‘안’이 되지 않는 것은 ‘알은체하다’ 또는 ‘알은척하다’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붙여 써야 한다. 그 의미는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다.”나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짓다.”이다. 즉, “복도에서 친구가 먼저 나에게 알은척했다.”로 사용한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국어 조사의 띄어쓰기를 조사와 의존 명사, 조사와 단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2> 국어 조사의 띄어쓰기
분류
용례
조사와 의존 명사
‘대로’, ‘만’, ‘만큼’, ‘뿐’
조사와 부사
‘같이’, ‘그래’, ‘더라’, ‘마저’, ‘보다’, ‘이야말로’
조사와 용언의 활용형
‘보고’, ‘치고’, ‘하고’, ‘하며’
단어로 혼동하기 쉬운 조사
‘-그래’, ‘-그려’, ‘-마는’, ‘-ㄴ/-는/-은커녕’, ‘-새로에’
이처럼 국어 조사의 띄어쓰기 복잡하고, 많은 문법적 지식을 요구하는 까닭은 의외로 단순하다. 즉, 조사를 단어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연규동(1999:192)에서도 문법에서 조사를 단어로 인정하지 않게 되면 제41항의 조항은 불필요하게 되는데, 이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한다. 이 중 ‘대로’, ‘만큼’, ‘뿐’은 허웅과 서정수에서는 어떤 경우나 의존 명사로 처리하기에 언제나 띄어 쓰면 된다.
하지만 조사나 의존 명사 또는 조사나 부사로 품사 통용하는 단어나 조사의 형태가 용언의 활용형과 동일한 경우에는 그것의 띄어쓰기에 많은 문법적 지식을 요구한다. 또한 조사의 형태가 단어와 혼동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문법에서 조사를 단어로 인정하지 않아도 여전히 조사의 띄어쓰기는 어렵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문화관광부, “국어어문규정집:, 1996, 대한서적주식회사
서정수, “국어 문법”, 1996, 뿌리깊은나무
연규동,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1999, 박이정
허웅, “국어학”, 1984, 샘 문화사
“20세기 우리말 형태론”, 2000, 샘 문화사
  • 가격100,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2.11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