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자유발도르프 교육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인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대의 비인간적인 교육 현실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발도르프 교육 --- P.~2

2. 본론 -
발도르프 교육의 여러 가지 특성들, 그에 대한 나의 생각과
교사자체의 내적 성장에 대한 중요성--- P.3~6

3. 결론 -
새로운 교육관점을 시사해 주는 발도르프 교육과 나의 관점 - P.6~8

본문내용

로 돌아간다.'라는 것을 아동에게 쉽게 깨우칠 수도 있는 것이다.
발도르프 교육은 우리에게 새로운 교육경험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아동의 관점에서, 그리고 자연의 관점에서 교육적인 면을 볼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준다. 인지학적 교육론이라는 것은 실용적인 지식이나 기능의 교육에만 치우치지 아니하고 바람직한 인간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자질을 전면적, 조화적으로 육성하려는 교육을 의미하는 전인교육을 실천하고 또 더 나은 방향으로 가도록 이끌어 준다.
발도르프 교육을 완벽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물론 우리 교사교육에 많은 문제점들이 보인다. 지식 위주로 되어있는 교육적인 내용을 삭제한 후 새로운 교수방법을 도입한다던가하는 방법으로서는 근본적인 결점을 해결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보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는 발도르프학교가 공식적으로는 아직까지 유입이 안 되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발도르프 교육이 들어온다고 가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몇 가지가 있다. 먼저 발도르프 학교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긴 하지만 그 내용속에는 주로 기독교적인 면모가 많이 들어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가지 종교가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기독교적인 사상에는 그 종교가 아닌 사람들에게 부담스럽게 다가 올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도르프 교육이 우리나라에 유입될 경우에는 한국적인 발도르프 교육으로 먼저 우리나라에 맞게 조금 변형해서 한국인에게 맞게 토착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론에서도 말했듯이 발도르프 교육에서 말하는 교사의 역할이 말만으로 하기에는 쉬워보이지만, 직접 시행하기에는 쉽지 않다. 이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으려면 숙련되고 전문적인 발도르프 교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역할을 잘 할 수 있는 교사를 엄선하여 뽑아야 한다.
나는 이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이라는 주제를 선정하면서 특히 인지학적인 면에 주목을 하였다. 책을 읽으면서 계속적으로 생각했던 것이, 아동을 위한, 아동에게 최적화된 교육이라는 것이다. 인지학은 전인적인 교육이라고 많이 불리듯이 인본주의적인 면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내가 항상 생각하고 있던 것이 바로 학생을 위한 인본주의 교육이다. 4년 후 내가 교사가 되었을 때에 얼마만큼 학생을 위하고, 자유롭지만 방관적이지는 않은 분위기를 조성할 것인지에 대한 교사로서의 나의 역할이 크다. 그리고 인지학적 교육,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을 하는 것이 가장 나의 교사로서의 가치와 사명감을 높이는 것이라 생각하여 나는 이 주제를 택했다.
* 참고문헌
유아교육개론 (출판사 : 학지사) - 곽노의, 김경철, 김창복 공저
자유발도르프 교육 입문 (출판사 : 밝은누리) - 크리스토프 린덴베르크 지음
슈타이너 학교의 감정 교육 (출판사 : 밝은누리) - 고야스 미치코 지음
몬테소리 교육학과 발도르프 교육학 (출판사 : 밝은누리) - 마리엘레 자이츠 지음
발도르프 교육학 (출판사 : 아르케) - 요하네스 키르쉬 지음
발도르프 학교와 그 정신 (출판사 : 밝은누리) - 괴테아눔 발행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24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