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렵채취민의 주거
1) 부시먼(Bushmen)족
2) 부시먼(Bushmen)족의 주거
Ⅱ. 유목민의 주거
1) 마사이(Massai)족
2) 마사이(Massai)족의 주거
Ⅲ. 정착민의 주거
1) 도곤(Dogon)족
2) 도곤(Dogon)족의 주거
Ⅳ. 영화 속 아프리카 주택모습
1) 아웃 오브 아프리카
Ⅴ. 참고문헌 및 인터넷 자료
1) 부시먼(Bushmen)족
2) 부시먼(Bushmen)족의 주거
Ⅱ. 유목민의 주거
1) 마사이(Massai)족
2) 마사이(Massai)족의 주거
Ⅲ. 정착민의 주거
1) 도곤(Dogon)족
2) 도곤(Dogon)족의 주거
Ⅳ. 영화 속 아프리카 주택모습
1) 아웃 오브 아프리카
Ⅴ. 참고문헌 및 인터넷 자료
본문내용
아프리카,1991)
오두막의 배치는 두 집단 모두 원주처럼 이어지며, 양 끝에 마주 출입구가 설치된다. 가족을 거느린 장로의 그룹은 외적의 방어를 위해 울타리 주위에 가시가 있는 식물의 가지를 배치하여 내부의 가족이나 가축을 지킨다. 주거의 이동은 7,8년 마다 행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흰개미 등에 부식, 노후화라고 하는 오두막의 내용(耐用)연한과도 관련이 있다.
Ⅲ. 정착민의 주거
1) 도곤(Dogon)족
‘도곤의 나라’로 불리는 곳은 서아프리카 말리(Mali) 남동부 지역에 있는 도곤족의 거주지를 말한다. 도곤족은 말리의 종족중에서 가장 특이한 집단이라 할 수있다. 이들이 사는 곳을 유독 ‘도곤의 나라’라고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간단히 말하면 부족 우위의 개념 때문이다. 주로 농사를 지으며 금속세공을 하고 가죽을 다루는 소수의 장인들이 특권청을 이룬다. 중앙 집권화된 권력은 없으며 부계중심의 확대가족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공통 조상을 둔 후손 가운데서 가장 나이 많은 남자가 마을의 우두머리가 된다.
2) 도곤(Dogon)족의주거
국토의 대분분이 거대한 사암괴의 절벽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작할 토지가 별로 없는 탓으로 주거지는 반드시 암벽 위에 지어지며 마을 안이든 어디든간에 흙이 있는 곳에는 밭으로 경작되어 있어 평야의 목축인 페울족을 상대로 농작물을 팔고 그 대신 육류, 소금 등을 공급받는다. 반디아가라 절벽지대의 도곤족 (사진10) ▶
도곤족의 주거는 원통형과 정방형, 혹은 장방형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원통형 주거는 진흙으로 벽을 쌓고 초가를 얹은 오두막이며, 정방형, 혹은 장방형의 주거는 건조시킨 진흙 벽돌을 사용하여 만든 오두막이다. (사진11, 12)
▲ 반디아가라 사면에 펼쳐진 도곤족 마을 (사진11) ▲ 도곤족 주거공간 (사진12)
사괴암의 절벽을 이루는 암벽위에 원형과 정방형, 장방형의 주거가 혼재되어 있는 마을이다.
(출처 : Enrico Guidoni 1987. Primitive Architecture)
일렬로 밀집된 큰집의 부분들은 인체의 부분과 연관된다. (사진13) 그래서 머리는 부엌과 연관되고 노상의 돌은 눈을, 중심의 방은 배를, 옆에 있는 염소우리와 탑이 되는 창고가 사지를 이루고, 여자의 가슴은 물동이에 의해 상징된다. 전체적인 집은 출산중인 여자가 오른쪽으로 노워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곤족 집의 중요한 것은 비유적 용어로 된 위치가 아니라 각 부분이 갖는 의인적 상징체계인 것이다.
◀ 도곤족 농가와 인체의 부분(사진13)
사람과 신체와 상징적인 유사함을 갖는 도곤족 농가의 이상화된 평면이다
(출처 : Paul, Oliver 1986. Dwelling)
Ⅳ. 영화 속 아프리카 주택모습
▲ 아웃 오브 아프리카 DVD 캡쳐
“아웃 오브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케냐의 광활한 사바나 초원을 배경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아프리카의 낭만적인 아름다운 광경이 잘 나타나 있는 영화이다.
위의 사진들은 케냐의 키쿠유족(케냐공화국의 다수민족)이 사는 마을이다.
Ⅴ. 참고문헌 및 인터넷 자료
세계의 주거문화,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 정공 대표저자 윤복자 교수, 2000
배질 데이비드슨, AFRICA KINGDOMS 아프리카, (주)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93
이계은, 세계의 여행 EGYPT, AFRICA, 마당출판사, 1983
http://100.naver.com/100.nhn?docid=52901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 두산세계백과사전
http://aap2000.net/aapprofile/data183/EGT-BEDO.htm
한국세계대백과 1997. 동서문화
오두막의 배치는 두 집단 모두 원주처럼 이어지며, 양 끝에 마주 출입구가 설치된다. 가족을 거느린 장로의 그룹은 외적의 방어를 위해 울타리 주위에 가시가 있는 식물의 가지를 배치하여 내부의 가족이나 가축을 지킨다. 주거의 이동은 7,8년 마다 행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흰개미 등에 부식, 노후화라고 하는 오두막의 내용(耐用)연한과도 관련이 있다.
Ⅲ. 정착민의 주거
1) 도곤(Dogon)족
‘도곤의 나라’로 불리는 곳은 서아프리카 말리(Mali) 남동부 지역에 있는 도곤족의 거주지를 말한다. 도곤족은 말리의 종족중에서 가장 특이한 집단이라 할 수있다. 이들이 사는 곳을 유독 ‘도곤의 나라’라고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간단히 말하면 부족 우위의 개념 때문이다. 주로 농사를 지으며 금속세공을 하고 가죽을 다루는 소수의 장인들이 특권청을 이룬다. 중앙 집권화된 권력은 없으며 부계중심의 확대가족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공통 조상을 둔 후손 가운데서 가장 나이 많은 남자가 마을의 우두머리가 된다.
2) 도곤(Dogon)족의주거
국토의 대분분이 거대한 사암괴의 절벽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작할 토지가 별로 없는 탓으로 주거지는 반드시 암벽 위에 지어지며 마을 안이든 어디든간에 흙이 있는 곳에는 밭으로 경작되어 있어 평야의 목축인 페울족을 상대로 농작물을 팔고 그 대신 육류, 소금 등을 공급받는다. 반디아가라 절벽지대의 도곤족 (사진10) ▶
도곤족의 주거는 원통형과 정방형, 혹은 장방형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원통형 주거는 진흙으로 벽을 쌓고 초가를 얹은 오두막이며, 정방형, 혹은 장방형의 주거는 건조시킨 진흙 벽돌을 사용하여 만든 오두막이다. (사진11, 12)
▲ 반디아가라 사면에 펼쳐진 도곤족 마을 (사진11) ▲ 도곤족 주거공간 (사진12)
사괴암의 절벽을 이루는 암벽위에 원형과 정방형, 장방형의 주거가 혼재되어 있는 마을이다.
(출처 : Enrico Guidoni 1987. Primitive Architecture)
일렬로 밀집된 큰집의 부분들은 인체의 부분과 연관된다. (사진13) 그래서 머리는 부엌과 연관되고 노상의 돌은 눈을, 중심의 방은 배를, 옆에 있는 염소우리와 탑이 되는 창고가 사지를 이루고, 여자의 가슴은 물동이에 의해 상징된다. 전체적인 집은 출산중인 여자가 오른쪽으로 노워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곤족 집의 중요한 것은 비유적 용어로 된 위치가 아니라 각 부분이 갖는 의인적 상징체계인 것이다.
◀ 도곤족 농가와 인체의 부분(사진13)
사람과 신체와 상징적인 유사함을 갖는 도곤족 농가의 이상화된 평면이다
(출처 : Paul, Oliver 1986. Dwelling)
Ⅳ. 영화 속 아프리카 주택모습
▲ 아웃 오브 아프리카 DVD 캡쳐
“아웃 오브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케냐의 광활한 사바나 초원을 배경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아프리카의 낭만적인 아름다운 광경이 잘 나타나 있는 영화이다.
위의 사진들은 케냐의 키쿠유족(케냐공화국의 다수민족)이 사는 마을이다.
Ⅴ. 참고문헌 및 인터넷 자료
세계의 주거문화,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 정공 대표저자 윤복자 교수, 2000
배질 데이비드슨, AFRICA KINGDOMS 아프리카, (주)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93
이계은, 세계의 여행 EGYPT, AFRICA, 마당출판사, 1983
http://100.naver.com/100.nhn?docid=52901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 두산세계백과사전
http://aap2000.net/aapprofile/data183/EGT-BEDO.htm
한국세계대백과 1997. 동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