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기독교와 현대사회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기독교와 현대사회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를 읽고

요약
Ⅰ. 교리가 없는 지혜
Ⅱ.공동체
Ⅲ. 친절
Ⅳ. 교육
Ⅴ. 자애
Ⅵ. 비관주의
Ⅶ. 관심
Ⅷ. 미술
Ⅸ. 건축
Ⅹ. 제도

소감

본문내용

알 수 있다. 인간은 권세를 얻으려한다. 이는 권세를 얻지 못 했을 때 자신과 자신 주변사람들에게 닥쳐올 불행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권세를 얻음으로서 자신에게 닥칠 수 있는 위기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그런데 종교는 인간에게 세속적 지위에 대한 집착을 버릴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가톨릭의 성당과 같이 가치가 다른 장소를 설정함으로 모두가 평등한 곳을 만들어 낸다. 그 특별한 장소에서 그 장소를 벗어나서의 외부조건들을 제하고 모두가 평등한 상태에서 사람들은 자신을 위협할 존재가 사라졌음을 느끼게 된다. 그로 인해서 인간은 두려움을 잊게 돼서 그로 인해 안도감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안정이 미사의 시작과 동시에 찾아오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안도감이라는 쾌락에 젖어 그 특별한 장소를 찾게 되고 결국 그 종교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나는 어찌 보면 한 가지 측면일 수도 있지만 작게나마 두가지 측면에서의 종교의 생성이유와 존재지속의 이유를 알아봤다. 내 생각이 조금 종교라는 것에 지나치게 공격적인 면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기는 하지만 이 책의 초기에 【하느님의 존재 유뮤가 아니라 창작된 이유가 중요하다】라는 구절과 성모마리아에 대해서도 비슷한 서술이 있었기 때문에 저자 ‘알랭 드 보통’의 생각과 논지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무신론자이지만 종교가 가진 비현실성만을 비판할 줄 밖에 몰랐었던 나지만 나름의 근거로 무신론을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종교가 가진 비현실성만을 가지고 종교를 비판하는 무신론자들에게 비판하며 종교존재의 이유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