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예방치학] 예방치학의 개념과 치아우식병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01.예방치학의 개념

1.구강건강의 개념

1)건강 개념의 발달

2)구강건강의 개념

3)구강건강관리의 필요성

2.구강상병의 관리원리

1)구강병 발생원인

2)구강상병의 관리원리

3)필요요인과 충분요인

3.구강역학

1)역학의 정의

2)질병 발생잉태에 따른 분류

3)역학현상

4)구강역학 연구과정

4.구강상병 관리원칙

1)구강병 진행과정의 구분

2)구강상병 관리원칙

5.구강건강 관리과정

1)기본 구강상병 관리과정

2)개인 구강상병 관리과정

3)집단 구강상병 관리과정

4)건강관리

6.보건진료제도

1)보건과 진료

2)1차진료와 2차진료

3)구강보건진료제도

4)현대 구강보건진료제도의 요건

7.치학의분류

1)치학의분류

2)치의사와 양의사

02.치아우식병

1.치아우식병이란? (Dental Caries)

1)치아우식병의 종류

2.치아우식병의 발생과 분포

1) 치아우식의 발생

2) 치아우식 발생율의 급격한 증가

3) 치아우식발생 입증 설탕요인

4) 분포와 발생현상

3.치아우식병 발생요인

1) 숙주요인

2) 환경요인

3) 병원체요인

4.발생요인작용기구

1)발생이론의 종류

2)광질이탈

5.치아우식병의 예방법

1)불소의 이용(치질 내산성 증가법)

2)치면열구전색

3)치면세균막 관리

4)음식물 관리

본문내용

ans streptococci
Lactobacilli
26%
10%
72%
40%
유전적 과당과민증 환자의 우식유발률, 치면세균막 상태, 설탕섭취량 및 세균총 (↑)
3. 바이페홈 연구(Vipeholm study)
-연구결과
1. 설탕소모의 증가는 우식발생을 증가시킨다.
2. 설탕이 찐득찐득한 형태로 공급되면, 우식발생의 위험은 증가한다.
3. 설탕이 찐득찐득한 형태로 간식으로 공급되면, 우식발생의 위험은 가장 크다.
4. 음식물 중 찐득찐득한 성분을 제거하면 우식발생의 증가는 중단된다.
5. 정제된 설탕이나 천연설탕이나 혹은 탄수화물성분이 음식물 중에 들어있지 않더라도 우식병은 발생한다.
6. 구강 내 정체성이 높은 발효성 당질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간식으로 섭취할수록 치아우식병 발생률이 높다.
7. 식사 중 수용액 상태로 설탕을 섭취하면 치아우식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육아성 우식병(nursing bottle caries)
우유병 우식병(BBTD, baby bottle tooth dacay)이라고도 하며 주로 1~3세에 발생하고 대개 가당음료(sweetened drink)를 담은 우유병을 아이에게 물려주기 때문에 발생한다.
-영양요인(nutrition factor)
비타민 A의 부족은 치아와 구강조직 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영양부족이 심한 곳에서는 오히려 치아우식병은 거의 없다. 많은 영양소 중 유일하게 불소는 우식병을 방어하는 영양소이다.
3) 병원체요인
1882년 밀러(Miller)는 화학세균설(세균이 음식물을 분해하여 만든 화학 물질, 산이 치아를 파괴한다는 설)을 주장했고, 이 설은 오늘날까지 인정받고 있다. 윌리엄스(Williams)는 치면에 세균막이 형성되어 세균이 붙어서 살고 있고, 이것이 우식병의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그 세균막을 dental plaque라고 이름하였다. 프라크(plaque)는 본래 자연에서 단단한 물질에 붙어있는 이끼를 뜻하는데, 치면세균막에 붙어서 사는 세균들은 음식물을 분해하여 산을 만들고, 분해된 산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작용한다. 이 세균막에는 치아우식병을 유발하는 세균인 뮤탄스 연쇄상 구균(s. Mutans, 초기 우식 병소 형성)이 있으며, 오랫동안 호산성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lus, 치근-우식 유발)이 치아우식병의 원인균으로 의심되었으나, 현재는 원인균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학자들은 호산성 유산균(lacto-bacillus, 소와-열구 우식 진행)을 가지고 치아우식병을 유발하는 일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4.발생요인작용기구
1)발생이론의 종류
치아우식병 발생요인에 대한 이론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며, 현재 가장 옮다고 인
정받고 있는 이론은 화학세균설 이다.
①충 설:벌레가 우식병을 유발한다는 생각으로, 미개한 민속적 개념이다.
②체액설:질병은 체액의 균형이 깨어져서 생긴다고 하는 고대 그리스의 학설이다.
③생기설:우식병은 치아 내부에서 생긴다는 주장(18세기)이다.
④화학설:우식병은 화학물질로 생긴다는 주장이다 당시에는 황산과 질산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⑤세균설(또는 부패설):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균이 발견되었고, 이를 통해 세균이 치아를 파괴시켜 우식병이 된다는 주장이다.
⑥화학세균설:화학설과 세균설을 결합한 것이다.세균이 만든 화학물질, 즉 산(acid)성분에의해서 치아가 파괴 된다는 설이며, 밀러 가 주창 하였다.
⑦단백용해설:유기질이 먼저 파괴되고나서 무기질이 떨어져 나간다는 설이다. 이는 우식병소가 황색,갈색으로 변하는 점을 설명하려고 한것이며, 산에의한 우식유발 실험으로는 백목양의 흰 탈회만 생긴다는 점을 들어 산에의한 무기질 파괴설을부정한 것이었다.고틀리프가 주창 하였다.
2)광질이탈
스테판(stephan)곡선이란?
-포도당 용액 양치후 나타나는 치면 세균막 PH의 변화 곡선을 말한다.
즉,산에 의한 탈회(=광질이탈)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 구강 내 산 생성현상을 측정하여 기록한것!
-광질이탈이 가능한 수소이온 농도(pH):약 5.0~5.5 내외 이다.
이를 임계 pH(critical pH)라고 한다
-일반인의 경우, 보통 당을 섭취한 후 당에의한 치면세균막의 산 생성은 수 분 내에 이루어지고 타액에 의한 자정작용으로 pH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는데.약!20~30분이 소요된다.
-타액감소증 환자의 경우에는 타액분비가 적기 때문에 치면세균막 pH는 쉽게 회복되지 못하여 우식 발생이 급격히 심해진다.
★치면세균막 내부에서 세균에 의해서 산이 발생되어 오래 저류되면 치질(범랑질)로부터 광질이 이탈되어 우식병이 발생하기시작한다
-초기의 광질 이탈 현상은 상당히 가역적인 현상이며, 이 때문에 적극적인 우식 예방관리가 강조된다.
-초기 우식병소에는 광질 이탈 현상뿐만 아니라, 광질 침착현상도 가역적으로 지속된다.
광질침착현상:광질이탈현상보다 우세할 경우에는 법랑질 내부 우식병소는 치유된다.
광질이탈현상:광질침착현상보다 우세할 경우에는 치아우식병이 진행된다.
5.치아우식병의 예방법
대표적인 네 가지 방법을 4대 치아우식예방법이라고 한다.
1)불소의 이용(치질 내산성 증가법)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 가장 효과적이며, 불소배합 세치제의 이용, 불소용액양치사업
그리고 전문가불소도포가 있다.
2)치면열구전색
-교합면의 좁고도 깊은 소와 열구 우식에 예방효과가 크다.
3)치면세균막 관리
-기계적 혹은 물리적 방법으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여 치아우식병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4)음식물 관리
-치아우식병,치주병 모두 치면세균막에 의해서 발생하며,음식물이라는 환경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치아우식병을 예방하기위한 음식물관리의 네 가지 방법*
(1)적극적인 구강보건교육
-치아우식병과 치주병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탕의 소비와 식음을 제한.
(2)대체당의 개발과 살용화
현재 실용되고 있는 대체당
1.솔비톨
2.아스파탐
3.자일리톨
4.사카린
5.아세설팜-K
6.전화당
(3)설탕소비 억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설탕소비세 실시)
-설탕소비세나 혹은 건강증진기금 부과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4)다발성 우식병 아동에 대한 식이요법
-식이조절법이란, 다발성 치아우식환자에 대한 특수 예방법이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