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녀와 나무꾼의 다양한 결말과 금기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녀와 나무꾼의 다양한 결말과 금기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설화란?
2. <선녀와 나무꾼> 설화에 대해.

Ⅱ. 본론
1. <선녀와 나무꾼> 설화의
유형별 전승 양상
2. <선녀와 나무꾼> 설화 속의 금기
1) 금기의 종류
2) 금기의 성격
3) 금기의 의미

Ⅲ. 결론
-<선녀와 나무꾼>으로 알아본
설화의 의미와 가치-

본문내용

하는 모습이다. 이 모든 것을 포함한 네 번째 금기는 나무꾼의 신성성 유지와 궁극적으로는 선녀와 나무꾼의 신성혼 유지를 위해 제시된 것인데 이를 어긴 나무꾼은 신성성을 잃고 선녀와 영영 이별하여 닭이 되거나 죽음을 맞이하고 만다.
Ⅲ. 결론
-<선녀와 나무꾼>으로 알아본 설화의 의미와 가치-
어렸을 때 읽은 선녀와 나무꾼 동화는 닭이 지붕에 올라 하늘을 향해 우는 까닭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하나의 설화에 얼마나 다양한 이념과 의미가 담겨 있는지, 설화가 얼마나 복잡하면서도 규칙적이고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문학인지를 생각해본다. 어떤 사람은 이 이야기를 읽고 나무꾼이 선녀를 강제로 묶어둔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어떤 사람은 선녀가 하늘로 올라간 것이 고부갈등 때문이라고 보기도 하며 서은아, 《<나무꾼과 선녀>의 인물갈등 연구》, 국회도서관, 2005
, 어떤 사람은 사슴을 모든 사건의 근원으로 보고 원망스럽게 생각하기도 한다. 한 가지 이야기를 보고도 이렇게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인간의 다양한 시선과 사고의 방향. 이것을 비교해보고 서로 공유하며 우리는 더 깊고 넓게 문학을 감상할 수 있다. 이렇게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과 사상을 반영하는 문학은 설화로 대표될 수 있다. 설화는 누구의 입으로 전해내려 오느냐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지고 결말이 달라진다. 우리는 이것을 보며 서사 문학이 사상의 예술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설화 중에서 특히 <선녀와 나무꾼> 설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 이야기가 인간 본연의 존재에 대해 근원적인 통찰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입에서 입으로, 할머니에서 어머니에게로 또 손녀에게로 전해져 살아왔던 것이다. 또한 우리는 이 설화에 나타난 천상 지향 의식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신화에서는 천상의 존재가 지상을 지향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민담에서는 이와는 반대다. 현실이 아닌 이상의 추구 태도인 것이다. 그러나 민담에 속하는 <선녀와 나무꾼>속 나무꾼은 천상에 살면서도 지상을 잊지 못한다. 그래서 지상의 어머니를 만나러 왔다가 승천하지 못하고 죽는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이 이야기 속에 녹아 있는 것이다.
설화문학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이후에 문자로 정착된 문학이다. 전승 방식이 직접 이야기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운 단순한 구조의 문학이기도 하며 흥미성과 교훈성의 문학이다. 또한 여러 사람이 공동 창작한 민중적 문학이고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 감정을 담은 문학이다. 이러한 설화는 교육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고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옛날 옛적에….”로 시작하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모습과 가치관이 담긴 소중한 옛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앞으로도 우리 설화를 계속 연구하고 지켜나가는 노력이 끊이지 않는 한, 예부터 내려오는 우리 소중한 이야기들을 후손들에게도 물려줄 수 있을 것이고 우리의 조상들의 아름다운 얼은 역사 속에서 살아 숨 쉴 수 있을 것이다.
Ⅳ.참고문헌
곽정식, 《구비문학의 이해: 설화를 중심으로》, 신지서원, 1999
서은아, 《<나무꾼과 선녀>의 인물갈등 연구》, 국회도서관, 2005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배원룡,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집문당, 1993
임철호, 《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 집문당, 1989
조희웅, 《이야기 문학 모꼬지: 설화·전설류》, 박이정, 1995
최철, 《설화, 소설의 연구》, 정음사, 1984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0.04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