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내용 상세화 (5학년 읽기 - ⑺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며 글을 읽는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 내용 상세화 (5학년 읽기 - ⑺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며 글을 읽는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비유적 표현이란 무엇인가?
1. 비유적 표현의 필요성
2. 비유적 표현의 개념
3. 비유적 표현의 원리
4. 비유적 표현의 시적 효과

Ⅱ. 6, 7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1. 7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2. 6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Ⅲ. 7차 교육과정에서 비유적 표현에 관한 논의
1. 문학 영역 학년별 내용 및 타 영역의 시 관련 내용
2. 동시 학습 내용 요소와 수
3. 시 교육 실태 분석

Ⅳ. 창의적 지도전략
1. 패러디 쓰기
2. ‘표현기법 중심의 시’ 쓰기
3.생각그물 활용하기
4. 말꼬리 이어가기

본문내용

잡아라’를 패러디한 아동 작품 )
위 패러디에서 보듯, ( )안에 명사만 바꾸어 넣는 것이 아니라, 시 전체를 원전으로 주고, 아이들 마음대로 상상하여 쓰게 했더니, 원전을 창의적으로 재조직하고, 재맥락화하여 이처럼 훌륭한 패러디 시를 써낸 것이다.
연구자는 아동들에게 패러디를 쓰게 해 본 결과, 패러디에서의 텍스트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많이 알려진 원전일수록 패러디의 텍스트로 유효하다는 것이다. 앞에서도 잠깐 살펴보았지만, 어원적으로 보면, 패러디란 ‘반대’와 ‘모방’, 또는 ‘적대감’ 과 ‘친밀감’이라는 상호모순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극단적 감정은 가까이 있는 대상에서 느끼는 것이지, 전혀 생소한 데서 느낄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또한 패러디는 대개 ‘사회적 담론’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누구나 알고 있는 ‘원전’을 텍스트로 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며, 또한 효과적이다. 그리고 패러디된 작품을 보는 또 다른 독자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그 원전에 대한 사전 이해가 있어야만 원전과 그 원전을 패러디한 작품 사이의 문맥을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둘째, 패러디의 텍스트는 확실한 (또는 전형화된) 입장과 문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나 논어의 ‘술이부작(述而不作)’에서 보는대로 고전시학에서의 패러디는 ‘모방론’에 기울어 있으나 현대문학에서의 패러디는 원전에 대한 비평적 형식으로 ‘풍자적 왜곡, 또는 반발’에 가깝다. 따라서 원전이 어떤 입장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견지하고 전형적인 것일수록 패러디의 대립각 또한 확실하게 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원전의 입장이나 문맥이 모호할 경우, 이는 비평가의 평론이나 해석의 대상은 될지언정, 패러디스트가 노리는 패러디의 긴장된 효과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소설에서 인물의 성격이 서로 개성적일수록 갈등과 긴장 또한 더하여 극적 재미를 주는 이치와 같다.
셋째, 아동들이 쉽게 패러디할 수 있는 시는 형식이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말의 묘미를 살려 쓴 것일수록 좋다. 예컨대,
‘가갸 가다가 / 거겨 거렁에 / 고교 고기잡아 / 구규 국 끓여서 / 나냐 나하고 / 너녀 너하고 / 노뇨 노나 먹자 (국어 쓰기 3-1)
와 같은 시다.
앞에서도 검증한 대로 패러디가 동시 창작에서도 매우 유용한 방법이긴 하지만, 아동들에게 난해한 시의 문맥을 파악하여, 그것도 고난도의 창작기법인 패러디를 쓰게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문맥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말의 아름다움에 쉽게 친숙할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며, 그래서 텍스트의 범위는 굳이 교과서의 시, 그리고 장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패러디가 ‘원전의 풍자적 모방’ 또는 원전의 ‘희극적 개작’으로 정의되는 만큼, 그 자체가 풍자적 요소를 강하게 가지고 있고, 아이들에게 친숙한 알려진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서사구조도 비교적 단순한 ‘우화’는 매우 권장할 만한 패러디 텍스트이다. 시도 이러한 우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패러디 텍스트로서는 더할 나위 없이 제격이다.
동시의 수용·창작에 대한 연구, 오인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표현기법 중심의 시’ 쓰기
비유적 표현을 어려워하는 어린이들을 위해 비유적 표현법이 뚜렷하게 드러난 시 2편을 제시하여 비유적 표현법이 쓰인 곳을 찾아보고 왜 그런 표현법을 썼는지 그 이유도 짐작하게 해본다. ‘누나의 얼굴’이라는 시를 읽고 누나의 얼굴을 무엇에 비유했는지, 왜 그것에 비유했는지 알아본다. 또한 ‘벚꽃’이라는 시에서는 벚꽃을 무엇에 비유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활동을 통해 비유적 표현을 감각적으로 체득하게 한다.
감상활동에서 비유적 표현이 선명하고 풍부한 ‘이른 봄’이라는 시를 제시하여 어떤 대상과 어떤 상황에서 어떤 비유적 표현이 사용되었는지, 또 대상과 표현법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비교해 보고 탐색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시적 세계를 돋보이게 할 비유적 상상력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낼 수 있다.
누나의 얼굴
윤동주
누나의 얼굴은
해바라기 얼굴
해가 뜨자 금방
일터에 나간다.
해바라기 얼굴은
누나의 얼굴
얼굴이 숙어들어
집으로 온다.
벚꽃
허동인
벚꽃 나무 가로수가
솜사탕처럼 부풀어
뭉글뭉글
꽃구름이 되었다.
구름꽃이 되었다.
이른 봄
최춘해
암탉이 알을 품듯 조올졸 내리는 비는
봄님이 새싹의 젖줄
온 세상을 품고 있다.
안개 낀 아침
닭의 체온으로 새싹이 눈을 감고
보송보송한 예쁜 강아지처럼 빤다.
병아리가 깨이고
봄님의 품 안에서
병아리처럼 고렇게 예쁜
연두 빛 새싹들이 깨일테지
제재 시 ‘이른 봄’이라는 시를 읽고 비유적 표현이 들어 있는 부분을 상상하여 그림으로 나타내는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시의 내용뿐만 아니라 시의 표현에 관련된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 활동은 시에서 받은 감동이나 심미적 체험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데 큰 작용을 한다.
‘시로 시 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심미자, 춘천교대 교육대학원, 2005
3. 생각그물 활용하기
아버지
회-바다-여름-빙수-과일-경매-회사-직장인 무서움-회초리-나무-정원
-자상함-통장-은행-돈-빚
용돈-지갑-악어-옷-옷걸이-빨래-세탁기
여행-바다-호텔-비싸다-보석
∴ 아버지는 통장이다. ∴ 아버지는 회초리다.
- 문학 작품을 읽고 그 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할 때나 어떤 글을 쓰기 위해 소재 생성 때 쓰는 기법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는 상당히 익숙하여 적용했을 때 보다 능숙하게 은유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고 은유적인 표현의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말꼬리 이어가기
- 사랑은 아름다워 → 아름다우면 신데렐라 → 신데렐라는 유리구두
→ 유리구두는 투명해 → 투명하면 유리창
⇒ 사랑은 신데렐라다.
- 은유 표현 지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은유 표현을 위한 지도 가운데서 낱말이 가진 속성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을 점차 다른 단어와 연결시켜 확장해 나감으로써 사고의 확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은유표현 지도 방안 연구, 이기호, 한국 교원대학원, 2003.
  • 가격5,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2.10.0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