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건강과 체력현황 및 영양실태와 안전증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청소년의 건강
1. 청소년의 체격
2. 청소년의 체력

Ⅱ. 청소년의 영양
1. 식품섭취 실태
2. 청소년의 영양소 섭취실태
3. 청소년 식사실태

Ⅲ. 청소년의 안전
1. 수난사고 및 등반사고
2. 산업재해
3. 아동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본문내용

11)
제 조 업
34,919
(100.0)
23
(0.07)
2,862
(8.20)
3,998
(11.45)
5,214
(14.93)
5,223
(14.96)
5,893
(16.88)
4,690
(13.43)
7,016
(20.09)
건 설 업
19,925
(100.0)
3
(0.02)
350
(1.76)
792
(3.97)
1,532
(7.69)
2,166
(10.87)
3,418
(17.15)
3,553
(17.83)
8,111
(40.71)
전기가스
142
(100.0)
0
(0.00)
4
(2.82)
19
(13.38)
28
(19.72)
28
(19.72)
24
(16.90)
14
(9.86)
25
(17.61)
운수창고
4,917
(100.0)
1
(0.02)
170
(3.46)
447
(9.09)
660
(13.42)
712
(14.48)
772
(15.70)
761
(15.48)
1,394
(28.35)
기 타
20,740
(100.0)
77
(0.37)
1,550
(7.47)
2,588
(12.48)
2,670
(12.87)
2,258
(10.89)
2,511
(12.11)
2,220
(10.70)
6,866
(33.11)
주 : ( )은 비율임
자료 : 노동부
3. 청소년의 안전증진 시책
1984년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는 전반적인 감소추세[재해율 : 3.60% (1984) → 0.77%(2002)]를 지속하고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추정액도 2002년 GDP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산업재해가 높은 이유는 사업주의 산재예방에 대한 투자기피, 근로자들의 기초질서의식 결여 등 복합적인 원인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생산활동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는 물론 사업주들이 산업초기단계에서부터 경제성장 일변도의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사고와 재난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이 안전에 관한 철저한 의식을 갖고 사고예방을 위해 자발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특히 감수성이 예민하고 지식이나 가치관, 태도의 형성과정에 있는 초중고교학생들에게 안전의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고 관련지식을 갖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일선학교에 교사용 안전보건 교육지도안을 배포하고 중등교사에게 안전보건 직무교육을 실시하였고, 안전교육용 자료를 개발보급하여 학생을 지도토록 함으로써 어린시절부터 체계적인 안전교육으로 우리 사회의 안전여건을 조성토록 하였다. 특히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어린이들이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부딪칠 수 있는 안전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용지도서, 활동지, 그림CD로 개발배포함으로써 학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그리고, 학교안전의 실질적인 현장적용을 위하여 상곡초등학교 등 64개 학교와 보육시설을 대상으로「안전교육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범국민적 안전의식 활성화 방안으로 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안전공단에 안전문화추진본부를 설치하고 매월 4일을 안전점검의 날로 정하여, 가정학교교통공공시설산업현장 등에 대하여 자율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재해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재해를 예방토록 하고 있으며, 재해예방을 위한 캠페인 등 홍보활동을 전개하여 전국민들이 안전문화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
<표 10〉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산업안전보건 교육내용
초등학교:국민생활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안전보건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갖도록 아동의 발단단계에 맞는 안전보건사례 및 생활중심으로 교육내용 편성
중학교:초등학교 교육의 기초위에 안전보건에 대한 개념의 이해와 예방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고, 노동 및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습관이 형성되도록 교과내용 편성
고등학교:중학교 교육의 기초위에 안전보건에 관한 확고한 인식을 갖도록 하고 안전보건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과 기술을 기르도록 과목별 특성에 따라 내용 편성
3. 아동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최근 가정해체 증가 등의 사회추세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아동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와 더불어 아동의 건전육성 및 권리증진을 도모하고자 아동복지법을 개정(2000.1.12)한 바 있다.
주요개정 내용으로는 아동학대1)‘아동학대’라 함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아동복지법참조)
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긴급전화 및 학대받는 아동의 발견, 보호, 치료 및 예방 등을 담당하는 아동학대예방센터 설치근거 등 규정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같은 해 10월 전국에 17개소의 아동학대예방센터를 설치하고 아동학대신고전화(국번없이 1391)를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01년 10월부터는 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를 설치운영하여 지방센터를 총괄 관리하고 있다.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는 24시간 긴급전화(국번없이 1391)를 운영하여 아동학대로 의심되는 사례를 접수받아 신속하게 대처하고 있으며, 응급상황으로 판별되는 사례는 신속히 현장조사를 실시, 피해아동에 대한 응급 보호조치를 한다. 또한 사례판정위원회를 운영하여 아동학대 사례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학대받는 아동에 대하여는 상담치료 및 보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하여 학대행위자에 대한 상담,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 주민, 신고의무자 등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여 아동이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표 11> 아동학대 발생유형 및 발생장소(2002년)
(단위 : 건)

아동학대 유형
아동학대 발생장소
신체적
정서적
성적
방임
유기
중복학대
가정내
학교
친척집
이웃집
기타
2,478
(%)
254
(10.3)
184
(7.4)
65
(2.6)
814
(32.8)
212
(8.6)
949
(38.3)
1,990
(80.3)
28
(1.1)
82
(3.3)
24
(1.0)
354
(14.3)
주 : 2002. 1~12월 발생 자료임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11.2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