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안전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안전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외공간
* 통로
- 통로란 사람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통과하는 공간을 의미
- 놀이 영역과 구분된
- 통로는 폭이 넓고 전체 놀이 공간을 서로 연결하면서 실외놀이 공간 어디에서 보아도 잘 보일 수 있게
구성
- 놀이 기구간 사이의 통로는 1.5m ~ 2.5m 정도의 폭이 적당함
- 직선 보다는 곡선 형태가 유아의 뛰는 속도를 조절하기 쉬움
- 유아간에 충돌의 위험이 있는 곳에는 통로와 놀이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에 낮은 관목을 설치함
* 바닥
- 바닥은 흙, 모래, 자갈, 잔디, 시멘트, 진흙, 아스팔트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
- 배수가 잘 되는 시설이 중요
- 바닥은 건물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함
- 실외 놀이 공간에서 1/3~1/2 정도는 잔디밭으로 구성
- 대근육 기구가 있는 곳은 모래나 모래가 섞인 황토, 톱밥을 까는 것이 안전
- 바닥의 표면은 높이를 같게 해야 유아들이 걸려 넘어지지 않으며 경사는 완만하게 됨
- 놀이 공간의 바닥에는 뾰족한 돌멩이나 유리 조각, 깡통 등이 없어야 함
- 장미와 같은 가시가 많은 관목은 안전 사고의 원인
* 울타리
- 실외 놀이 공간이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가 반드시 있어야함
- 유아들이 오를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 돌출부나 계단없이 120cm 이상의 높이로 쌓아야 함
- 문 위쪽에 걸개 장치를 두어 교사가 관리하도록 함
- 담장너머가 안전지대라면 자동차 타이어나 관목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시선을 가리지 않아서 좋음
* 미끄럼틀
- 폭이 너무 좁지 않고, 경사는 31도~33도 정도가 내려오는 속도로 인한 낙상의 위험을 피할 수 있음
-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올라가는 계단, 미끄럼틀, 올라서서 기다리는 발판의 면이 안전하게
설계
- 상단을 기다리는 유아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추락 방지를 위한 보호벽 설치
- 올라가는 사다리나 계단은 난간이 필요함
- 미끄러지는 면의 양 옆에는 8~15cm 높이의 난간 필요
- 미끄럼 끝부분에의 40cm 정도는 편편하게 유지해야 속도를 줄일 수 있음
- 미끄럼틀이 스테인레스인 경우 여름철에는 복사열로 뜨거워지므로 타기 전에 체크하여 물을 뿌려
온도를 조절함
- 나무 미끄럼틀의 경우도 결이 일지 않았는지 갈라진 곳이 없는지 점검
- 미끄럼틀은 전체의 안전사고 중에서 35.7%로 가장 높은 사고율
- 손잡이를 잡고 한 계단씩 올라감
- 앞 사람이 올라간 다음에 올라감
- 미끄럼 판으로 거꾸로 올라가지 않고 꼭 계단을 이용하며 올라감
- 내려 올 때는 발이 먼저 내려와야 함
- 엎드려서 또는 서서타지 않음
- 내려온 뒤 후 다른 사람과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
* 그네
- 받침대는 A자 형태가 좋으며, 받침대는 2개의 그네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함
- 양쪽 받침대에서 최소 70cm 간격을 띄워 매달고, 두 그네의 사이도 70cm 정도를 띄워서 설치함
- 높이는 땅에서 40cm정도가 적당하며, 그네의 앉는 부분은 가죽이나 고무 타이어 등의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좋음
- 그네의 줄은 위쪽 받침대에 고리나 완전히 감긴 S자식으로 단단히 매야 하고, 줄의 고리는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8mm 이하로 작게 해야함
- 타이어 그네일 경우에는 타이어 밑에 15cm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물이 빠지도록 함
- 그네의 2개 줄로 균형을 잡아 안전하게 설치함
- 그네의 주변은 타고 내리는데 필요한 2개의 출입구를 각각 그네 옆쪽으로 설치
- 모든 다른 부분은 낮은 관목을 심어 보호벽을 만듬
- 바닥은 톱밥이나 모래를 깔아 추락 했을 때의 충격을 줄임
- 그네는 전체의 안전사고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23.0%를 차지함
- 그네가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타고 내림
- 움직이는 그네와 떨어져서 안전선 밖으로 만 다님
*시소
- 무게의 균형이 정확하게 잡히고 흔들거림이 없도록 안전하게 설치해야 함
- 시소가 닿는 부분에는 타이어가 반쯤 보이도록 묻어서 유아의 뇌나 척추의 충격을 줄임
- 반드시 손잡이를 부착하여 안전하게 시소를 탈 수 있어야 함
- 시소의 안전사고는 세 번째로 높은 9.7%를 차지함
- 시소 위에 서 있거나 뛰지 않음
- 내릴 때는 상대방에게 미리 알림
*물놀이 시설
- 콘크리트 등과 같이 물기가 빨리 마르고 단단한 바닥이 좋음
- 물놀이 시설 주변에는 고무 매트를 깔아 미끄러움을 방지함
- 물놀이 장의 깊이는 바닥에서 70cm를 넘지 않으며, 배수가 용이한 곳에 설치함
- 물놀이장 주변에 그늘을 마련하여 휴식을 취할수 있도록함
- 물놀이 용품중 공기를 주입하는 튜브 종류는 안전검사를 거친 규격을 구입하여 관리해야 함
* 모래놀이 시설
- 곰팡이 등의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양지 바른 쪽에 설치
- 강한 햇빛을 막아주는 그늘 시설을 만들어 줌
- 배수가 잘되는 모래놀이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맨 밑에 자갈, 그 위에 벽돌을 느슨하게 깔며, 그 위
45~60cm 정도의 모래를 깔아 완성
- 모래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용품들은 플라스틱 재질로 모서리가 둥근 것을 선택
- 모래는 자주 위험물질을 골라내고, 부족해지면 첨가
- 한 학기에 한번은 모래를 세척
- 모래놀이 기구 정리함을 준비하여 실내로 모래가 유입되지 않도록 지도
- 적당하게 물을 뿌려 모래가 날리지 않도록함
- 모래를 입에 넣거나 사람을 향해 던지지 않도록 지도함
- 모래놀이 도구를 수시로 점검하고 교체함
* 목공놀이
- 목공놀이 시설은 다른 놀이 장소와 약간 떨어진 곳에 설치하되 격리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거리에
설치
- 사용될 연장은 장난감이 아닌 실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안전하고 튼튼한 것을 준비함
- 망치의 무게는 310g~370g 정도가 적당하며, 망치머리가 넓적한 것이 좋음
- 망치 손잡이는 나무재질이 적합함
- 손잡이의 길이와 굵기는 유아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선택
- 톱은 나무를 자를때 사용, 길이는 약 40~50cm 가 안전
- 못은 머리가 둥글고 넓적한 것이 안전
- 못 박을 때 손으로 잡은 것보다 뺀찌로 잡은 것이 안전
- 못질을 할때는 보안경을 반드시 착용하도록함
- 드릴은 나무에 구멍을 뚫을때 사용
- 드릴의 크기와 무게는 유아에 적합한 것으로 준비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