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의 문제점과 대응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해 볼 만하다.
끝으로 우리의 역사인식을 재정립해야 한다. 가령 다민족국가인 고구려나 발해를 우리의 온전한 고대역사의 범주 속에 귀속시키려면, ‘단일민족사관’과 단일민족의 역사체계를 극복해야 한다. 단일 민족사관으로 다민족국가인 고구려나 발해의 역사
적 계승성을 주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동북공정은‘중국의 고구려사 빼앗기’차원을 넘은 중국의‘동북아전략’이라는 점을 명심하면서 우리의 지혜를 짜내야 할 때다. 중국의 동북공정은 우리의 과거 및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와도 직결된 중차대한 문제이다. 동북공정에 제대로 대응
하지 못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동북공정의 해법과 관련해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역사분쟁을 역사적인 양보의 방식으로 해결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역사는 역사적 사실만을 근거로 존재하는 것이지 타협의 대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역사사실을 날조하거나 양보해서 역사분쟁을 해소한다면, 그것은‘역사의 죄인’이 되기를 자초하는 짓이다.
동북공정의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해법은 중국이 한국의 역사체계를 인정하고 한국의 역사적·민족적 정체성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대신에, 한국은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고민과 우려를 해소시켜주는 상생(相生)의 원리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정부에 대한 항의와 시정요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민들(즉 동북공정을 추진하게 만든 요인)이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파악하고 거기에서 야기된 중국의 우려를 해소시켜주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
출처 : www.sejong.org (세종연구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