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두커피시장의 현재와 미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게 만들어야 한다는 기준 자체가 없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의 입맛에 맞는 에스프레소를 찾기 위해 로스팅부터 다시 시작했습니다. 조금씩 로스팅의 단계를 낮추면서 손님들의 입에서 “아! 맛있다.” 라는 말이 나올 때 까지 그 작업은 계속되었습니다.
종류는 중요하지 않다 맛이 중요하다 -<커피미학> 나가하마요시꼬 대표
지금의 젊은 세대는 어릴 때부터 우유를 마시고 자랐기에 에스프레소의 진한맛과 우유가 잘 조화를 이룬, 드립커피로서는 흉내 낼 수 없는 카푸치노, 카페라떼 등을 즐겨 마십니다. 또한 저같은 중년세대의 경우도 식후에 위속에 있는 맛있는 음식을 감싸주는 듯한 에스프레소 한잔은 아주 각별합니다. 하지만 드립커피 역시 그만의 매력이 있는 음료라고 생각합니다. 마음에 드는 책을 읽을 때, 무슨 생각을 골똘히 하고 싶을 때, 좋은 음악을 들을 때 등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때는 맛있는 드립커피 한잔이 생각나지요. 음식도 경우에 따라 여러 나라 음식을 선택해서 먹고 싶은 것과 같이 커피역시 에스프레소 또는 드립커피를 골라 마시고 싶을 때가 있는 것입니다. 커피를 좋아하는 이라면 어느 쪽이라도 다 좋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양한 맛의 에스프레소가 시장 주도할 것 -<테이트 컴퍼니> 전중식 대표
같은 원두를 사용한다면 드립보다는 메뉴가 다양한 에스프레소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드립은 드립만의 매력이 있고 그것을 즐기는 마니아들이 있기 때문에 그 또한 어느 정도의 시장성은 유지될 것입니다. 간편하고 저렴한 장점도 있지요. 하지만 드립에는 다양한 메뉴가 없습니다. 커피 보관상의 어려움도 있고요. 아직은 좁은 원두커피시장이 조금씩 활기를 얻고 있는 것은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 한 대형 프랜차이즈 숍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소비자들이 다양한 메뉴 속에서 자기입맛에 맞는 커피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두커피 업계 종사자들은 한국 원두커피 시장의 확대를 시간문제로 본다. 하지만 분위기에 편승한 막연한 낙관론만큼 위험한 것이 또 있을까. 세계 커피시장의 추이와 한국 원두커피시장의 변화, 커피 문화의 측면에서 한국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해본다. 한국의 커피 산업은 세계인이 감탄하는 한국경제 발전만큼이나 놀랍게 성장하였다. 한국은 세계 11번째의 커피 소비국으로 국민 1인당 연간 300잔의 커피를 마시고 있다. 커피 연구가의 눈에는, 커피를 알게 된 것이 100년도 안된 나라, 세계에서 커피가 가장 늦게 전래된 나라의 하나로 밥을 주식으로 하는 국민이 어떻게 세계 11번째로 많은 커피를 마시고 있는지 흥미로운 현상이다. 커피 마시는 사원들에게 ‘커피 마시는 돈으로 우동 한 그릇 더 먹어라’ 권하던 어느 원로 경제인의 말이 아직 생생하게 기억되는 필자에게는 한국의 경제 기적만큼이나 커피 산업의 성장도 놀라울 따름이다. 커피 소비가 경제 발전과 연관이 있는 것인가? 그러한 관심은 사회학자나 경제학자의 몫으로 남겨 두고 커피 시장의 성장에 관한 필자의 생각을 정리하여 본다.
한국 커피 산업의 놀라운 발전은 첫째, 한국 전쟁을 통하여, 미국 생활 문화의 영향이 커피를 알게 하였으며 둘째,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인들은 서구 문명의 생활 패턴을 빠르게 받아들이므로 커피 소비가 확대되었으며, 셋째, 우수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의 한국 인스턴트 커피로 인해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한국은 매년 약 80,000톤의 커피콩을 수입, 가공하여 약 1조원의 국내 커피 제품 시장을 창출하고 약 6,000만 불 실적을 올리고 있으며 수년 후에는 커피콩의 수입액보다 가공 커피의 수출액이 더 커질 것으로 믿고 있다.
한국인은 왜 원두커피를 즐겨 마시지 않나
서울의 중심가에서 스타벅스나 커피빈 같은 외국계 커피 하우스를 거리마다 쉽게 발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원두커피를 마시는 비율은 5% 내외로 세계 커피 시장 중에서 가장 미진함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커피 하우스(茶房)에서 인스턴트 커피를 사용하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현상도 지속되고 있다. 왜 한국의 커피 소비자들은 원두커피를 즐겨 마시지 않나?
세계의 커피 시장은 어디로 가고 있나?
우리나라의 생활 문화에 영향이 큰 미국과 일본의 커피 시장과 소비 패턴을 비교해 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원두커피 시장의 미래를 가늠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일본 커피 시장은 또한 연간 400,000만 톤의 커피콩을 사용하는 세계 3위의 커피 소비국으로 커피 시장은 지난 20년 간 약 2배로 성장하였다.
◎ 성장율지수
일본 커피 시장의 변화 중 주목되는 부분은, 1) 인스턴트커피는 정체된 반면, 원두커피는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2) 원두커피는 더 진하게 볶는 경향이며, 스페셜티 커피는 증가하고 있다. 3) 1회용 Drip bag 커피 시장이 급속히 신장하고 있다(2002년 가정용의 22%). 4) 커피하우스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2002: 89,000점, 종업원 329,000명).
한국의 원두커피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
세계 커피 시장을 살펴보면 한국의 미래 커피 시장도 20,000불 소득 증가를 넘어서면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 의하여 고급 원두커피 시장으로 변할 것은 쉽게 예상된다. (중략) 세계화 추세에 따라 10년 후에는 국민 소득이 최소한 2 만 불을 초과할 것이며, 국민 1인당 연간 소비잔 수가 360잔(현재보다 20% 증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인스턴트커피 vs 원두커피의 소비 비율도 최소한 85:15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한다.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원두커피 시장은 지금의 약 5 배로 성장할 것이다.
세계화의 흐름에 적극적인 우리 국민의 커피 소비 패턴도 새로운 커피(고급 추출 커피, 에스프레소)와 다양한 커피 음료를 선택할 것으로 생각한다. 고급 원두커피의 열풍은 한국에도 이미 스타벅스 커피 등이 상륙하여 커피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다. 고급 원두커피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하는 근거는 첫째, 고급화를 추구하는 소비자 추세, 둘째, 커피 기계의 발전으로 신장되는 서비스의 질, 셋째, 정년의 변화에 따른 창업 붐 등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