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스타일링의 발전 방향 및 미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푸드 스타일링의 발전 방향 및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푸드 스타일링의 개념
a. 푸드 스타일링의 개념
b. 푸드 스타일링의 트랜드
2) 푸드 코디네이터의 역할

2. 본론
1) 푸드 스타일링의 역사
2) 식문화의 이해
a. 한국의 식문화
b. 일본의 식문화
c. 중국의 식문화
d. 이탈리아의 식문화
3) 푸드 스타일링의 예
a. 특정색을 이용한 테이블 셋팅
b. 잡지에서의 스타일링
c. 상품 패키지 스타일링
d. 테마별 테이블 셋팅

3. 결론
a. 푸드 스타일링의 발전 방향 및 미래

본문내용

에 많이 쓴다. 피자와 파스타가 발생된 곳으로 나폴리 피자는 도우가 얇고 토마토와 치즈, 약간의 향풀만을 이용하여 토핑이 매우 간단하고 맛이 담백하다. 바다에 접해 있으므로 해산물 요리가 발달 하였다.
* 시실리아
지중해상의 최대의 섬으로서 참치나 정어리, 패류, 갑각류 등의 풍부한 해산물을 원료로 한 음식이 발달하였으며 돼지고기, 어린염소와 양고기 요리를 많이 먹는 다.
* 베니스
이탈리아 북동부의 중심도시로 생선과 갑각류 요리가 발달하였으며 마늘과 양파,
허브 등의 향신료를 음식에 많이 사용한다.
* 밀라노
이탈리아 북동부의 중심도시이며 이탈리아 수도로서 낙농업이 발달하여 생크림과 버터의 사용이 많으며 치즈도 많이 생산된다. 특히 쌀 생산량이 많아 쌀음식이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음식
* 파스타 요리- 모든 파스타 요리는 파스타와 소스로 구성
(볼로냐식 소스 : 고기와 양송이, 양파를 다져넣고 볶다가 토마토를 넣어 만드는
붉은색 소스, 까르보나라 소스 : 베이컨과 생크림을 이용하여 만든 흰 색 소스,
봉골레 소스 : 봉골레란 이탈리아어로 조개를 뜻한다. 조개와 마늘을 주재료로
쓰는 담백한 나폴리식 소스, 해물소스 : 홍합, 오징어, 새우 등을 주재료로 하나 경우에 따라 연어, 조개, 패주, 생선 등 해산물을 듬뿍, 그리고 토마토를 넣은
소스, 아리오 에오리오 페페론치노 소스 : 마늘과 고추 올리브유만을 쓰는
소스로 담백하고 매콤한 소스)
* 스파게티: 얇고 긴 국수형태의 파스타이다.
* 라자냐 : 판형으로 넓고 얇게 민 것은 라자냐라고 한다. 라자냐와 소스, 치즈를
켜켜로 놓아 오븐에서 구워내는 음식에 쓰이는 파스타로 역시 들어가는 소스의
종류에 따라 미트소스의 라자냐, 참치소스의 라자냐 등으로 불린다.
* 라비올리(Ravioli; 속을 채운 파스타) : 판형의 파스타 사이에 치즈나 간고기, 새
우, 채소 등을 넣어 만든 파스타로 북부지방에서는 대개 건조하지 않은 생파스
타로 만들어 먹는다. 모양이나 만드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며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 피자 : 토핑과 도우로 이루어지는데 토핑의 재료에 따라 분류한다. 나폴리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피자도우: 이탈리아에서는 피자반죽을 가능한 얇게 놓아
구우면 바삭바삭해진다, 토핑: 토마토 소스와 치즈, 살라미(페퍼로니), 앤쵸비
(기름에 절인 멸치), 그리고 여러 가지 채소(가지, 피망, 블랙올리브)나 해물
(연어나 조개, 홍합 등) 등을 얹으며 도우에 비해 토핑재료가 많은편이다. 이탈
리아식 피자의 토핑은 미국식에 비해 맛이 담백하다)
* 리조또(Risotto)
농업이 발달한 북부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쌀요리로서 기름에 쌀과 채소 등을 넣
어 볶다가 포도주로 향을 내고 육수를 넣어 익히므로 많은 재료들이 어우러진
맛을 낸다.
* 해물 샐러드
삶아낸 파스타 위에 새우, 홍합, 오징어, 아스파라거스, 토마토, 마늘, 올리브오일, 파슬리, 바질등을 올리브 오일에 볶아 올려놓은 해산물 샐러드이다.
* 해산물 수프
올리브 오일과 마늘, 고춧가루를 넣고 해산물(조개, 새우, 홍합, 각종 생선 등)을
볶아 백포도주를 넣어 조린 후 생선 육수와 토마토로 국물을 만드는 음식으로
바질로 향을 내고 밀가루로 수프의 농도를 맞춘다.
* 커피,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
진하게 볶아 간 커피를 다량 넣고 끓는 물의 증기를 고압으로 만들어 추출하는
커피로서 매우 진한 맛을 내는데 대개는 설탕만 넣어 먹는다. 적은량을 먹게
되므로 에스프레소잔으로 작은 잔이 따로 제작되어 나오며 갓 받아낸 에스프레소 커피의 표면에는 미세한 거품층이 생긴다. 우유를 거품내 가며 뜨겁게 덥혀서 커피에 넣어 먹는 것은 카푸치노이다.
4. 푸드 스타일링의 발전 방향 및 미래
우리나라는 스타일링 개념이 들어 온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까지 분야가 세분화되지 않아 잡지나 단행본 요리서적, 광고, TV 요리프로그램 등에서 스타일링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스타일리스트 분야가 세분화된 미국과 일본의 경우는 조리사와 스타일리스트가 별도로 작업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요리를 하는 조리사가 스타일리스트의 일까지 함께 병행하거나 스타일리스트에게 조리사의 기능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스타일리스트란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는 걸까?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활동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우리나라는 스타일링 개념이 들어 온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까지 분야가 세분화되지 않았다. 점차 사회 전반의 문화 수준이 향상될수록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활동범위는 무궁무진 해 지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만 해도 할리우드에 거주하며 영화와 TV 드라마 속의 요리만 전문적으로 스타일링 하는 스타일리스트가 별도로 있고, 파티 테이블만 전문적으로 세팅하는 스타일리스트와 광고, 또는 잡지 등의 스타일리스트 등이 다양하게 세분화 되고 나뉘어져있다. 일본의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다. 일본에서는 제과 제빵 스타일링, 슈퍼마켓이나 백화점 등지에서의 요리관련 재료 디스플레이 스타일링, 테이블 세팅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직은미약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과나 디스플레이, 테이블 세팅등 점차 분야가 세분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에서도 삶의 질을 중심으로 현대인의 일상의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외국의 경우처럼 스타일리스트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즐기는 문화가 들어오면서 예전과 같지 않은 음식 문화적 현상이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외국 같은 파티문화의 확산이나 먹는 음식에서 즐기는 음식문화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지면서 주부의 손길로 만들어진 다양한 가족행사도 이제는 업체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아지기 시작 했다. 이것도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넓은 활동의 가능성을 만들어 준다.
또한 푸드 스타일리스트는 관광과 호텔산업, 그리고 외식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음식문화를 인의 스타일에 맞게 새롭게 재창조하는 사람들로써 고용의 증가가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하지만 아직 푸드스타일리스트라는 직업이 정착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전문성과 다양한 사업영역 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