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의 주체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의 주체사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체사상
2. 주체사상의 기본 개념
3. 주체사상의 역사적 발달
4. 북한 주체사상의 비판
5. 통치 이데올로기
6. 北 ‘만경대 가문’부각 3대세습 정당화 수순

본문내용

소문과 함께 지난달 8일 김정일이 노동당 조직지도부에 자신의 삼남 정운을 후계자로 결정한 ‘교시’를 내렸다는 보도도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신문이 계속해서 혁명전통 계승을 강조하는 것은 ‘3대 세습’의 정당성을 주민들에게 부각시키기 위한 사전 포석이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만경대 가문’을 언급한 것은 곧 ‘김일성-김정일-김정일 아들’로 이어지는 권력구도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부의 한 고위 소식통도 “당 기관지가 나서서 ‘만경대 가문’을 언급하는 것은 대를 이어야 혁명을 완수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김일성 민족’임을 강조해 왔던 것에 비쳐볼 때 후계자가 누가될지는 불확실하지만 ‘이(李)씨 조선’처럼 세습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유호열 고려대 교수는 “당 기관지가 연이어 ‘만경대 가문’을 강조하면서 대를 이어 혁명을 완수해야 한다는 것을 강변하는 것은 ‘3대세습’의 당위성을 암시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더 이상 ‘후계구도’를 미룰 수 없기 때문에 사전 정지작업을 통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2012년 ‘강성대국’을 목표로 하고 있는 북한이 ‘만경대 가문’의 지향과 북한의 미래를 동일시 한 것도 결국 김일성 100주년이 되는 2012년에 후계구도를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유 교수는 “3월8일 대의원선거 이후 김정일의 3남인 정운의 공식직함을 면밀히 주목해야 할 것”이라며 “과거 김정일의 권력 승계 과정 코스를 밟아가면서 후계자로서 위치를 다져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