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개인에 대한요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의 개인에 대한요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공동체주의 시민성
    1. 공동체에 부담을 가진 자아
    2. 샌델의 구성적 공동체
Ⅲ. 공화주의 시민성
    1. 덕목으로서의 시민성
    2. 덕행의 공동체
Ⅳ. 자유주의 시민성
    1. 반완벽주의와 개인 권리의 우선성
    2. 계약주의와 좋은 질서를 가진 공동체
Ⅴ. 민주 시민성의 함의
    1. 자기 정향을 지닌 선택하는 인간
    2. 자기 이익의 조정
    3. 비판적?합리적 시민
    3.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서의 균형
Ⅵ. 결어

본문내용

화에 하는데 보다 더 주목할 만한 비전을 제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자유주의는 개인들이 상이한 취미와 선호와 이익을 지니고 있고 공적 영역에 헌신하기보다는 사적 영역에 충실하고자하는 개인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현실적인 측면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 과거의 권위주의 시대에서처럼 국가에 대한 무조건적인 충성심과 애국심을 내세워 시민적 덕목에 의존하여 시민성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기에는 우리의 사회가 너무 개방화, 다원화되어 있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 공적 영역은 인간 활동의 일정 부분은 될 수 있을 지언정 인간 활동의 전 영역을 포괄할 수 없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자유주의는 좋은 시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공동체주의나 공화주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여하는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유주의에서 상정하고 시민성을 주로 하여 우리가 논의하고자 하는 좋은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유주의가 주는 중요한 시사, 즉 모든 개인들은 자기 정향을 지닌 선택하는 인간이라는 전제는 자유 민주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보여주는 지극히 현실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는 점, 공동체주의와 공화주의에서 비판하는 자기 이익의 개념을 상이한 성향을 지니고 있는 각 개인의 이해 관계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한다면 긍정적으로 볼 여지가 있다는 점, 좋은 시민이란 단지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국가의 이념과 정책에 대해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합리적?비판적 성격을 지닌 존재이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참고문헌>
노영란, “시민성과 시민 윤리”, 『철학 연구』, 제83집(서울: 대한철학회, 2002), p.187-209.
박효종, 『국가와 권위』, 서울: 박영사, 2001.
, 『한국 민주 정치와 3권 분립: 사법 심사권 확충을 중심으로』, 서울: 자유기업센터, 1998.
,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Ⅰ』, 서울: 인간사랑, 1994.
,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Ⅱ』, 서울: 인간사랑, 1994.
박효종 외, "공동체주의와 정치적 복종의 의무", 서울사대논총 69권, 2000. 8.
이용필, 『사회과학연구와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주성수,『한국 시민사회와 지식인』, 서울 : 아르케, 2002.
정수복, 『시민의식과 시민참여』, 서울: 아르케, 2002.
정윤석, “아렌트와 공화주의의 현대적 전개( Hannah Arendt and republicanism today)”,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철학연구회 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서울: 철학연구회, 1999.
한태선, 『21세기 한국시민사회론』, 서울: 經文社, 2000.
Barber, B. R. Strong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for a New A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Flathman, R. E., "Citizenship and Authority", In R. Beiner, ed., Theorizing Citizenship.(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Galston, W. A., Liberal Purpose(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MacIntyre, A., After Virtues(Notre Dame: Notre Dame University Press, 1981)
Montesquieu, Persian Letters, Trans. C. B. Betts.(Harmondsworth: Penguin, 1973)
Oldfield, A., Citizenship and Community: Civic Republicanism and the the Modern World,(London: Routledge, 1990)
Pateman, C., The Problem of Political Obligation(Cambridge: Polity Press, 1970)
Pitkin, H., "Fortune is a woman: Gender and Politics in the Thought of Niccolo Machivelli,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Rawls, J.,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 “Justice as Fairness: Political not Metaphysical", Philosophy and Purblic Affairs 14, 1985.
, Political Liberalism(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Raz, J., "Authority and Consent", Virginia Law Review 67, 1981.
Sandel, M. J.,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Taylor. C., Philosophy and the Human Sciences: Philosophycal Papers, vol.2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Tiebout, C.,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 Joural of Politiacl Economy 64, pp.416-24.
Tocqueville, A., Democracy in America(New York : New American Library, 1956)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