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제국의 흥망과 진시황에 대한 역사적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제국의 흥망과 진시황에 대한 역사적 평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중국 최초의 황제, 진시황(秦始皇)에 대하여 》

※ 차 례 ※

Ⅰ. 서 론

Ⅱ. 본 론

{ⅰ} 시황제(始皇帝)의 출생, 진(秦)의 통일과 상앙의 변법
[1] 진시황(BC 259~210/209)의 출생에서 진의 통일까지
[2] 상앙의 변법과 진의 통일

{ⅱ} 시황제의 통일 정책
[1] 시황제의 호칭
[2] 중앙집권 제도의 확립 - 군현제(郡縣制)
[3] 무기의 몰수, 문자의 통일
[4] 사상통일정책 - 분서갱유(焚書坑儒)
[5] 흉노정벌 - 만리장성 구축
[6] 궁전과 분묘의 건설

{ⅲ} 시황제의 죽음

{ⅳ} 시황제의 평가

Ⅲ. 결 론

본문내용

한 자신의 행위에 무한한 자신감을 가졌던 듯하다. 이에 따라 그는 세계를 자신의 인위적 질서 아래 움직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시황제가 역사상 폭군으로서 영대(永代)에 걸쳐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기게 된 것은 극단적인 사상탄압정책 때문이다. 분서갱유는 오래도록 시황제를 비난하는 최대의 사건이 되었는데, 천하통일 후 이데올로기투쟁이 생겨나고 이에 대해 무언가의 대책이 요구되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해도 시황제가 취한 이 조치는 그 방법이 너무 가혹하였고 무수한 전적을 재로 날리고 귀중한 문화유산을 잃었을 뿐 조금도 진의 강화와 연결되지 못했다는 것은 그 후의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또 만리장성 축조나 아방궁과 능묘의 건설은 분명 중국의 통일과 그 유지를 위한 대사업이었지만 겨우 10년이라는 단기간에 강행되었던 것은 이에 대한 저항을 가져오게 했다. 전국 시대 이래 오랫동안의 전란에 시달려 온 백성은 평화를 갈망하고 통일을 염원하고 있었으나 통일 후의 진 왕조가 백성에게 베푼 것은 과중한 조세와 부역, 가혹한 법과 형벌, 굶주림과 죽음뿐이었다.
이상과 같이 시황제의 사업은 매우 강제적인 통일화정책이었고 강권에 의한 정치였다고 할 수 있다. 시황제가 죽자 이세황제의 재임 첫해에 진승(陳勝)오광(吳廣) 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반란을 발단으로 전국적으로 농민반란이 급속히 확대했던 것도 정치적인 강한 억압과 경제적인 과중한 부담이 한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 론
중국 최초의 통일왕국을 이룩한 진시황제. 그 정도의 위력을 갖춘 황제지배의 출현은 중국 고대는 물론 동아시아 역사에도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그는 만대로 이어지는 자신의 왕조에서 제 1대 황제가 되었다고 믿었지만 그의 제국은 다른 독재자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그의 후계자 대에 이미 종언을 고했다.
불과 37년으로 끝나는 진 제국의 창시자 시황제는 다소간의 지나침은 있었지만, 중국에 최초의 통일을 가져왔고 외적을 물리쳐 중국민족의 국경을 확립하였고, 관료제 국가의 조직을 만든 공적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참고문헌 ※
1. 中國歷史硏究. 『中國歷史.』上. 서울:도서출판 新書苑, 1993. pp.184-195
2. 강영수. 『재미있는 중국사 여행 1권.』 하유상 감수. 서울:예문당, 1994. pp.207-226
3. 葛劍雄. 『中國統一中國分裂.』 淑史硏究會 역. 서울:도서출판 新書苑, 1996. pp.33-39
4. 앙리 마스 페로. 『고대중국.』 김선민 역. 서울:도서출판 까치, 1995. pp.148-159
5. 김영진. 『중국오천년사.』上. 서울:대광서림, 1993. pp.270-279
6. 볼프강 에버하르트. 『중국의 역사.』 최효선 역. 서울:문예출판사, 1997. pp.88-97
7. 마쯔마루 미찌오 외. 『중국사개설.』 조성을 역. 서울:한울아카데미, 1989. pp.76-84
8. 伯贊. 『中國全史.』 이진복김진옥 역. 서울:학민사, 1990. pp.103-109
9. 안정애양정현. 『중국사 100장면.』 서울:도서출판 가람기획, 1993. pp.56-60
10. 徐連達 외. 『중국통사.』 중국사연구회 역. 서울:청년사, 1989. pp.141-155
11.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서울:청아출판사, 1986. pp.305-328
12. 中國歷史硏究會. 『중국사 103장면.』 서울: 오상출판사, 1995. pp.114-123
13. 佐伯富. 『세미나 중국사.』 서울:민족문화사, 1982. pp.65-70
14. 斗山東亞 百科事典 硏究所.『두산세계대백과사전.』 株式會社 斗山 東亞, 1996.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