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없는 탄생의 의의는 무엇이며, 또 의학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폭력없는 탄생의 의의는 무엇이며, 또 의학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권분만의 철학
2. 폭력없는 탄생의 의의
3. 의학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점
참고도서

본문내용

위에 엎어 장 소리를 들려 준다. 탯줄은 즉시 자르지 않고 5분 정도가 지난 후에 잘라 아기의 호흡 전환을 자연스럽게 도와 준다. (아직 우리나라의 의사들 중에서는 탯줄을 신속히 잘라야 한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탯줄을 자를 때 좋은 피를 공급해 주기 위하여 탯줄을 잡고 모체쪽의 혈액을 아기쪽으로 쭉 밀어주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peripheral resistance(말초 저항)가 높아져서 아기의 심장에 부담만 주는 것으로 밝혀져 미국과 유럽에서는 더 이상 시행하고 있지 않다) 엄마의 가슴에 엎어 주어 심장 소리를 들려 주고 엄마 젖을 빨린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아기를 37도의 물에 넣어 주어 아기가 눈을 뜰 때까지 기다려 준다. 아기가 눈을 뜨면 물에 넣었다 뺐다를 수십차례 반복하면서 중력에 적응시킨다. 아기를 물에서 꺼내 손발은 자유롭게 하고 몸만 따뜻하게 감싸준다. (우리나라의 아기들을 꽁꽁 싸두는 것은 분리불안을 줄여주기 위함인데 그것은 바로 이와 같은 적응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며 르봐이에 출산 과정을 제대로 시행하면 체온 보호를 위해 신체만 싸둘뿐 팔과 다리는 자유롭게 놀도록 하고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 아기는 자지러지듯이 울지 않는다. 평온하게 잠들거나 간혹 미소짖는 아기도 있으며 눈을 떠서 두리번거리며 세상을 구경할 뿐이다. 많은 의료진들이 가장 많이 충격받은 곳이 바로 이 부분이다. 신생아는 대부분 눈꺼풀이 부어 있고 이로 인해 하루 정도가 지날 때 까지 눈을 뜰 수 없다고 믿어 왔었는데 르봐이에 박사의 결과로 인해 신생아가 눈을 못 뜨는 것이 아니라 현대 의학이 신생아를 못 보도록 만들었다며 경고하고 있다.
르봐이에 철학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목욕 후 아주 자연스럽게 눈을 떠서 주위를 두리번 두리번 살핀다. 그리고 울기는 커녕 오히려 미소짓는듯이 보인다. 이제 국내에서도 토여의 캠페인으로 인해 완전하지는 않지만 많은 병원에서 르봐이예 출산 철학을 도입한 병원이 늘어나고 있다. 사실상 간단한 과정이지만 아기가 이 세상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을 존중한다는 큰 의미를 담고 있다. 그래서 이 방법을 특별한 분만법이라 부르지 않고 분만의 절대철학으로 전 세계가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미국와 유럽의 병원들은 르봐이에 방식을 산모가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 신청 항목에 포함시켜 두고 있다.
참고도서
평화로운탄생, 프레드릭 르봐이예, 샘터사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7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