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 논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교 평준화 논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고교 평준화란?
 2) 고교 평준화 등장 배경

Ⅱ. 본론
 1) 고교 평준화 전개 과정 (단계적)
 2) 고교 평준화의 성과·한계
 3) 고교 평준화 쟁점에 대한 찬·반 논리
 4) 고교 평준화 주요 쟁점에 대한 찬·반 논리

Ⅲ. 결론

 * 느낀 점

본문내용

역학을 제고해야 한다고 하며 최근 설립 신청 러시를 이루고 있는 미니고교(자동 차고, 디자인고, 영상미디어고, 대중음악고, 패션코디네이터고)는 수월성 교육의 기준을 단순히 지 적 교육만이 아니라 학생의 재능에 바탕한 능력 위주의 선발까지도 암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Ⅲ. 결론
* 느낀 점
고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나의 의견은 찬성이다.
먼저, 위에서 다루지 않은 고교 평준화 반대론자들의 주장을 몇 가지 살펴보자.
위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지만 고교 평준화 반대론자들의 주된 주장 중 하나는 학생의 학교 선 택권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인문계 고등학교가 대학진학이라는 동일한 교육목표, 동일한 교육과정과 교육 방법, 비슷한 수준의 교사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선택권을 보장할 만한 학교 간 차별 은 존재 하지 않는다고 본다. 또, 성적에 따라 모든 학교가 서열화 된 조건 하에서 학습자의 선택권 보장이라는 것은 우수한 일부 학생에게만 한정된 선택의 자유일 것이다.
고교 평준화 반대론자들의 또 다른 주장 중 하나는 평준화로 인해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의 실력 차 이로 인해 교육의 질 감소나, 교사의 수업분위기 저하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반대로 비평준화 되어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 각각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한다면, 그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길이 될 수 없다. 수업의 방식에 차이를 주는 것은 오히려 교육의 차별로 인해 학생들의 교육의 기회를 빼앗 는 것이다. 이는 하위권 학교의 학생들보다 상위권 학교의 학생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보장될 것을 의미한다. 즉, 하위권 학교의 학생들은 자유로운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는 현재 일어나는 "고X대 특혜"와 같이 불공정한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반대 의견으로 고교 평준화 정책이 학교선택권을 제한 한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평준화 로 인해서 교육방식이변하거나 나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 중요한 것은 교육의 차이를 줄이는 것이 다. 남자와 여자의 지적능력의 발달 차이가 있기 때문 에 그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 상위의 학생과 하위의 학생들의 격차를 줄이는 것, 그리고 학생들이 얼마나 흥미 있는 교육을 받게 해야 할지 고민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될 때이다.
그렇다면 고교 평준화 정책이 유지되면 어떠한 장점들이 있을까? 먼저, 중학교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성 교육과 창의적 사고를 가능케 하는 다양한 특기 신장 교육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 중학교 시절부터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평 준화 정책은 하위권 학생들의 박탈감을 상당 부분 완화 될 것이다.
또, 고교 평준화 정책이 유지되면 하위학교에 진학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충분히 많은 인재가 존재 할 수 있고 상위 학교의 학생보다도 더 많이 발전 할 수 있다. 하지만, 비평준화로 나눠지고 교육의 차이가 생기게 되면 그 인재의 발전 가능성을 낮추게 되고 만다. 따라서 비평준화 제도의 고수는 교 육 주체들의 민의를 위반한 것으로 오히려 교육개혁을 거꾸로 돌리는 구실을 할 것이다.
따라서 나의 의견을 정리하면, 고교 평준화 정책은 교육여건이나 교육내용 및 방법, 학교운영 등 교 육의 제반 영역에 걸쳐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조건이다. 따라서 고교 평준화 정책은 골격을 유지하며 단점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고교 평준화 정책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먼 저 공교육을 내실화 한 뒤 다양한 형태의 고등학교를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유형화하고, 학교 운영의 자율을 제고하며, 학교 수준을 투명하게 국민에게 공개한다면 평준화 논란은 자연스럽게 해결 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2.0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