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보살핌윤리의 기원과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 보살핌윤리의 기원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려윤리와 보살핌윤리
2) 보살핌윤리의 심리학적 기원
3) 도덕적 정향과 성차
4) 정의윤리와 보살핌윤리의 상관성

본문내용

같은 정황들을 함께 고려한다.
프리드만에 따르면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이나 친밀한 인간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不正義한 사건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正義가 요청되고, 正義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헬드는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에서도 남녀차별, 부부간의 불평등한 관계 등을 시정하기 위해서 보살핌과 함께 정의가 함께 요청되고, 정의가 강조되는 국가 안에서의 빈민, 약자 등을 위한 복지정책을 실시할 때에도 정의와 함께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는 주장을 통해서 정의와 보살핌의 공존과 양립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플래나겐(Owen Flanagan)과 잭슨(Kathryn Jackson)은 두 정향이 양립하다는 길리간의 설명방식과 주장을 함께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길리간의 설명방법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길리간이 취한 두 윤리간의 관계에 대한 입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잘 지적해 주고 있다.
또한 클레멘트(G. Clement)와 재거는 두 윤리가 양립 불가능하다는 길리간의 주장과 상반되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정의와 보살핌이 상호 배타적이거나 독립적인 윤리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이면서 양립 가능한 윤리라고 주장하였다. 클레멘트에 따르면 토끼와 오리의 정향사이에는 연계 즉, 토끼 그림 속에 숨겨진 오리 그림이 있을 필요가 없지만 정의와 보살핌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재거는 오리의 형태가 토끼의 형태로도 보이고, 토끼의 형태가 오리의 형태로도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우연적인 사실에 불과한 반면에 특수한 상황들은 사회적 구조들로부터 그 의미를 얻고, 사회적 구조들은 오직 특별한 상황 안에서의 구체화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길리간은 최근 들어서 자신의 주장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길리간은 정의와 보살핌의 관계를 음악적 은유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대위선율(counterpoint), 하모니(harmony),조화로운 전체(harmonious wholes),이중 둔주곡(double fugue) 등의 용어들은 길리간에게 근대적 전통에서의 도덕적 영역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난 새로운 도덕적 영역을 기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주었다. 그녀는 남성의 발달 이론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었던 단계(s tages 혹은 steps)라는 언어 대신에 음악 용어인 대위법이나 주제(theme)라는 말을 대신 사용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대위선율에 비유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길리간은 보살핌과 정의의 관계를 초기의 형식화에서 내포된 함축을 피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자 했다. 즉, 정의와 보살핌은 이중 둔주곡과 같이 함께 연주되는 것으로서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공존과 조화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녀의 입장을 종합해 보면, 그녀는 두 관점이 서로 대립되고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이고 조화를 필요로 하는 상보적이고 공존을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 있는 것 같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0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