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역학] 탄성계수의 구분과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탄성계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료역학] 탄성계수의 구분과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탄성계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1 배경 및 필요성
1.2 목적

2. 본론
2.1 탄성계수의 개념
2.2 탄성계수의 분류
2.3 콘크리트에 적용한 탄성계수

3. 결론
3.1 후기

본문내용

일부를 경량골재 사용
1.38~1.60
1.49~1.74
1.78~2.08
2.06~2.40
2.30~2.68
3. 프와송비
콘크리트 공시체에 단순 압축력 또는 단순 인장력을 가할 때 공시체의 축방향 변형률()과 축과 직각방향 변형률()과의 비 를 프와송비라 한다. 프와송비의 역수 을 프와송 수라 한다.
프와송비는 탄성계수와 마찬가지로 사용재료, 배합, 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허용응력 부근에서는 1/5~1/7, 파괴응력 부근에서는 1/2~1/4정도이다.
한편 경량콘크리트의 프와송비는 보통콘크리트와 거의 같거나 약간 크다.
4. 전단탄성계수
Hooke's law가 성립하는 재료의 전단탄성계수 G 는
여기서, : 전단응력(㎏/㎠)
: 전단변형률
그러나, 콘크리트의 경우, 영계수와 마찬가지로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탄성계수 Ec와 프와송수 m 은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m = 5~7 정도이므로,
이 된다.
5. 동탄성계수
탄성재료로 만든 원형단면 봉의 공명진동수와 탄성계수와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 봉의 종공명진동수 (C/sec)
: 봉의 길이 (cm)
: 영계수(dyne/cm2)
: 봉의 밀도 (g/cm3)
봉의 모양, 크기 및 중량을 알면 공명진동수를 측정하여 위의 식에 의하여 탄성계수를 구할 수 있다.
보통재료의 종공명진동수나 초음파와 같은 파장이 짧은 펄스(pules)의 전달속도를 구하여 동탄성계수를 산출한다. 콘크리트의 동탄성계수()는 정탄성계수()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들 탄성계수의 관계 = 1.04~1.37정도로서 압축강도가 클수록, 장기재령일수록 이 비는 작아진다. 큰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 사이에는 다음 관계식이 있다
동탄성계수도 정탄성계수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의 강도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사용재료의 종류, 배합, 건습의 정도 등에도 관계가 있다.
그리고, 동탄성계수는 동결융해작용 등에 의한 콘크리트의 열화의 정도를 파악하는 좋은 척도로 사용된다.
3. 결론
3.1 후기
이번 기회를 통해 정말 많은 공부를 하였다. 처음의 주제는 이것이 아니었는데 공부를 하다보니 탄성에 관해서는 쓸 내용이 무궁무진하면서도 없었다. 그러므로 주제가 정해지던날 순간적으로 느껴졌던 막연한 쉬울거란 예상과는 달리 매우 어렵고 난해한 주제였던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만 이번기회에 여러 우리가 보지 못한 혹은 못할 책들을 빌려서 어렵더라도 전전긍긍하며 공부해 볼 기회가 있어 매우 개인적으로 의미 깊은 한 달이라는 시간이 되었고, 앞으로 재료 역학이라는 과목에 대해 내가 얼마나 깊게 공부하고 인생의 얼마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학문이 될지는 모르지만, 이 재료역학이라는 과목에 대해 조금은 친밀감, 자신감이 붙는 계기가 되는 시간이었고, 많은 학술적 공부, 인생적 공부를 할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참고문헌: theory of elasticity 3rd edition . Landau and Lifshitz
핵심 토목 산업 기사 응용역학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0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