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일반학 요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일반학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커빌리티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시멘트의 성질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일수록 점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컨시스턴시도 적어진다.
분말도가 지나치게 적은 시멘트는 시멘트페이스트의 점성이 낮아져 컨시스턴시는 크게 되어도 재료분리가 생겨 결국 워커빌리티도 나빠진다.
2) 단위시멘트량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플라스티시티는 증가
부배합(350㎏/㎥ ↑)의 경우가 빈배합(350㎏/㎥ ↓)의 경우보다 워커빌리티가 좋음
3) 사용수량
사용되는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크게 된다.
묽은비빔의 경우 단위수량이 약 1~2% 증가하면 약 1cm의 슬럼프가 증가
4) 골재의 입도 및 형상
골재 중에 세립분이 많게 되면 점성이 높아져 컨시스턴시가 적게 됨
조골재의 최대치수는 건축공사에서 일반적으로 25mm 미만
자갈의 형태가 구형의 것 : 워커빌리티가 좋음
자갈의 형태가 편평하고 긴 모양의 것 : 골재분리가 생기기 쉬울 뿐만 아니라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깬자갈이나 깬모래 : 워커빌리티가 강자갈의 경우보다 나빠짐
잔골재율 및 단위수량을 크게하여 조정
5) 공기량
AE제나 AE감수제를 혼화함으로써 연행된 미세한 공기포 : 볼베어링 작용을 함으로써 워커빌리티를 현저하게 개선
공기량 1%의 증가에 따라 슬럼프값이 2cm 정도 증가
슬럼프값을 일정하게 한 경우 단위수량을 약 3% 저감
6) 혼화재료
포졸란계의 혼화재, AE제 및 AE감수제 등의 혼화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
감수제 : 컨시스턴시를 크게 증대
8~15% 정도의 단위수량을 감소
7) 비빔시간
비빔시간이 너무 길면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게 되어 워커빌리티가 나빠짐
너무 짧으면 콘크리트가 균질하지 못하기 때문에 워커빌리티가 나빠짐
8) 온도
비빔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저하
사용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슬럼프값은 커짐
18. 콘크리트 동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동해
콘크리트 중의 수분이 동결팽창하고 이것이 반복됨에 따라 콘크리트조직이 파괴되어 균열, 표면층의 박리, popout 등이 생기는 것
콘크리트에 흡수된 물이 동결하여 어름이 될 때 체적이 팽창
팽창압에 의해 콘크리트 조직이 이완
융해되고 다시 동결되는 상태를 반복 ⇒ 콘크리트가 박리되어 붕괴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생기면 현저한 피해
동해방지방안
AE제 혹은 AE감수제를 첨가 : 콘크리트 중에 분산된 미세한 기포가 어름에 의한 팽창압을 흡수함에 따라 내동해성을 크게 개선
한중콘크리트로서 시공
흡수성이 큰 골재나 연석 등의 사용배제
물시멘트비의 절감(W/C 55% 이하)
적정공기량의 확보(4~5%)
19. 한중 콘크리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콘크리트 타설 후의 양생기간 중에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배합계획 및 양생방법 등에 특별한 주의 필요
물시멘트비 60% 이하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 중 한 종류를 반드시 사용
낮은 온도하에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지연 ⇒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발현이 지연
콘크리트 타설 후, 초기재령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동결하면 콘크리트는 초기동해를 받아 그 후 적당한 양생을 행하여도 강도저하, 균열,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 불가피
초기동해 등의 방지에 필요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5MPa 정도
콘크리트의 배합강도 및 그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결정방법
1. 콘크리트 강도의 기온에 따른 보정값 를 사용하는 방법
2. 적산온도 방식에 의한 방법
예상평균 양생온도를 적용
한중콘크리트의 시공에 있어서 유의할 점
1. 시멘트 및 골재는 되도록 차갑지 않게 저장한다.
2. 타설 시의 콘크리트의 온도는 10~20℃ 정도로 한다.
3. 타설에 앞서 콘크리트의 이어붓기면, 철근, 거푸집 내부에 부착된 얼음과 눈을 제거한다.
4. 동결한 지반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타설하거나 거푸집의 받침기둥을 세우지 않는다.
5. 온도유지를 위하여 시트, 매트, 단열거푸집에 의한 보온양생을 실시한다.
히타 등의 가열설비에 의한 가열양생으로 0~5℃이상 유지한다.
초기 양생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0㎏/㎠으로 될 때까지 계속 양생한다.
20. 서중 콘크리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기온이 높고 콘크리트의 슬럼프 저하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높은 온도 하에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촉진
운반중의 슬럼프 저하
타설시의 응결촉진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수부의 급격한 증발 등에 의해서 콜드 조인트나 플라스틱 균열발생
장기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 발생
대 책
1. 고온의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2. 혼화제는 AE감수제지연형 등 지연성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3. 재료선정, 배합설계는 되도록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이 적게 되도록 정한다.
4. 콘크리트의 비빔시부터 타설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90분 이하로 한다.
5. 콘크리트 타설 시의 온도는 35℃ 이하로 한다.
6.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물을 분무하는 등에 의해서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를 방지한다.
7. 타설 후에는 수분의 급격한 증발 또는 일사에 의한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양생한다.
21. 매스 콘크리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부재단면의 최소치수 80cm 이상
수화열로 인한 콘크리트의 내부최고온도와 외기온도와의 차이 25℃ 이상
열적 요인에 의한 균열의 우려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따라 수화열이 발생
부재의 중심부와 표면에서는 온도상승량이 다르기 때문에 부재의 응력 발생
온도상승시에는 중심부 쪽이 열팽창이기 때문에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
내부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 또는 감소하기 위한 대책
1. 시멘트는 수화열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2. AE감수제지연형 또는 감수제지연형을 사용한다.
3. 슬럼프는 될 수 있는 한 작게 한다.
4. 설계강도를 얻는 재령을 보통의 28일로부터 91일을 한도로 연장한다.
5. 골재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시멘트량을 감소시킨다.
6. 콘크리트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시기는 표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양생을 실시한다.
7. 거푸집널을 제거한 후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를 피하기 위하여 살수 등에 의하여 양생한다.
  • 가격8,4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3.26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