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돼지 심장의 해부를 통한 심장구조 관찰 - 인간의 심장과 비슷한 형태를 지닌 돼지 심장의 외부형태와 내부형태를 관찰하여 심장의 기능에 대해 숙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과) 돼지 심장의 해부를 통한 심장구조 관찰 - 인간의 심장과 비슷한 형태를 지닌 돼지 심장의 외부형태와 내부형태를 관찰하여 심장의 기능에 대해 숙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돼지 심장의 해부를 통한 심장구조 관찰


1.목적

2.실험방법
(1)실험재료
(2)실험방법

3.결과

4.고찰

5.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심장 좌편의 심실과 심방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우편과 마찬가지로 잘라내야 하는데 중격에 막히고, 좌심실의 근육은 우심실보다 두꺼워 쉽지 않았다. 그래서 대동맥의 혈관의 끝부터 심장의 겉부분을 잘랐다.
대동맥과 심실 사이에서 반월판을 관찰할 수 있다. 폐정맥을 통해 좌심실로 들어온 동맥혈은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을 지나 체내를 순환한다. 그림 8에서 실 뭉텅이 같은 이첨판을 기준으로 동맥들과 근접한 곳은 좌심방이며, 밑 부분이 좌심실이다.
즉, 심장 좌편의 순환과정은 ‘폐→폐정맥→좌심방→(이첨판)→좌심실→대동맥→체내’이다.
심방과 심실 사이, 동맥과 심실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판막은 판 모양의 근육이 아니라 실모양의 것이다. 이는 혈액의 역류를 막는 것이며,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판막은 ‘삼첨판’,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판막은 ‘이첨판’, 동맥과 심실 사이의 판막은 ‘반월판’이다.
앞서 해부했던 대합조개의 순환계와 비교해보자면, 대합조개와 같은 어폐류는 1심방 1심실을 가진 하등한 심장 구조를 보여준다. 심실 뒤로 연결된 후대동맥을 통해 여러 갈래로 나뉜 동맥들을 거쳐 전달하고, 정맥혈의 경우에는 일정한 혈관 없이 체강이나 조직들의 빈틈을 통해 지나갈 때 깨끗이 되어 심방을 거처 심실로 간다. 그와 반대로 돼지와 같은 포유류는 2심방 2심실로 나뉘고, 동맥과 정맥의 역할이 명확히 정해져 수행하기 때문에 혈액 속의 노폐물 교환 수준이 높다.
5.참고문헌
http://wnsghd401.blog.me/110141471905
http://blog.naver.com/hoilim204/20162576549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3.27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