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턴 호텔 (Hamiltio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밀턴 호텔 (Hamil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 선정 이유

2. 가설 제기

3. 해밀턴 호텔 분석

4. 환경 분석 및 이론 적용

5. ACTION PLAN

6. 결론

본문내용

확실성은 그리 높지 않으나, 신라호텔의 벤치마킹을 통한 객실 리모델링 등 오래된 객실을 변화시켜 다른 호텔에 맞춰가려고 하고 있다.
환경의 분석과 이론적용을 통해 우리는 세 가지 이론을 적용시켜보았다. 환경상황의존이론, 자원의존이론, 제도화이론에 의해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해밀턴 호텔을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환경 요소들 중 거시적인 환경, 즉 법적,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환경의 통제를 막기가 힘들고 이에 따른 자원의 반대적 의존성을 높여야 해밀턴 호텔이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해밀턴 호텔이 중요도와 희소성이 높은 자원을 만들지 않고 있다라는 것이었다. 즉, 해밀턴 호텔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특별한 promotion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국내/국제적인 환경의 영향이 크게 미친다고 하더라도 호텔 내에서의 노력이 없다는 점이 의아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몇 가지 Action plan을 아래에 제시해 보았다.
5. ACTION PLAN
1. 옥상을 이용한 스카이 라운지형 클럽 설계
(호텔 구조의 변화를 통한 의존성 완화 전략)
해밀턴 호텔이 거시적인 환경에 의해 통제받고 제한적인 의사결정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요인을 넘어설 수 있을 만한 promotion을 통해서 더 많은 고객이 해밀턴 호텔을 찾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었다. 우선 해밀턴 호텔은 현재 옥상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옥상의 높이가 이태원 일대에서 가장 높은 위치이고, 한강을 바라다 볼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었으나 옥상이 쓸모없는 공간으로 방치되고 있었다. 우리는 옥상을 스카이 라운지형 클럽을 만드는 것을 생각했다. 기존 호텔에도 있는 스카이라운지가 아닌, 트렌드 세터들을 위한, 수영장 이용 고객 (계절에 한정된)을 계절에 관계없이 클럽을 찾게 되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다. 이태원 일대는 클럽문화가 유명하고 많은 국내외 사람들이 이태원을 방문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해밀턴 호텔이 스카이 라운지형 클럽을 신설시키면 클럽을 이용하는 고객과 더불어 객실을 이용하는 고객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태원의 상권이 다시 살아날 수 있었던 클럽, 레스토랑 등의 주변적인 환경에 편승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2. Travel planner의 도입
스카이 라운지형 클럽이 물리적인 변화였다면, 'Travel planner'는 구조적인 promotion이다. 일단, 호텔 마케팅 전문성을 꾀하기 위해 마케팅 부서가 신설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해밀턴 호텔의 조직도에서는 호텔의 마케팅을 위한 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몇 가지 action plan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전략을 위해서는 새로운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바로 'Travel planner'를 도입하는 것이다. 'Travel planner'는 해밀턴 호텔을 찾은 관광객들을 위해 맞춤형 여행코스를 짜주는 사람을 의미한다. 많은 호텔이 이미 비슷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자유여행을 원하는 개개인이 원하는 특별한 여행 코스를 짜는 것이다. 연령대별, 또는 관심사별 여행지를 선정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Travel planner'들은 젊은 연령의 대학생들을 아르바이트생으로 뽑고, 그들에게 PDA를 지급하고 그들과 연락을 취할 관광객에게도 PDA를 지급하여 그들이 언제, 어디서든 contact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별 Promotion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를 해밀턴 호텔과 연계되어있는 여행사 또는 유명 여행책자에 실고, 또한 젊은 여행객들을 겨냥하여 호텔 관련 인터넷 사이트에도 홍보를 한다면 많은 관광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우리가 처음에 세웠던 가설인 ‘이태원 상권의 변화가 꼭 해밀턴 호텔의 조직에 영향을 미칠까?’는 결국 ‘그렇지 않다.’ 라는 것이 판명 되었다. 여러 가지 이론적용을 통해 우리가 생각했었던 지리적인 환경보다 더 큰 환경적 요인들이 해밀턴 호텔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가 해밀턴 호텔의 조직을 선정했던 이유는 수업시간에 다뤘던 제조업이나 유통업체와는 다른 서비스업의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서였다. 이론 적용을 통해 서비스업, 특히 호텔업, 관광산업은 국내 환경보다도 환율이나 세계경제 등 국제, 사회적 요인들, 법적 환경, 문화적 환경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해밀턴 호텔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우리가 생각 했던 주변 환경(1차원적인) 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거시적인 환경이었고, 이러한 환경이 호텔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는 해밀턴 호텔 조직에 이론을 적용하던 중, 또 다른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호텔의 안정적인 환경에 의해서 호텔 내 조직이 기계적인 구조를 띠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조직의 유연함과 창의성이 결여된 상태라는 것, 해밀턴 호텔만의 차별화된 전략을 쓰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조직부서의 부재하다는 것이 었다. 해밀턴 호텔이 규모적인 부분에서의 제한을 지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구조의 문제가 더 클 것이라는 판단 하에 기업의 창의성을 불어넣어, 차별화 전략을 취하고 환경에 대한 의존성 완화 정책을 쓴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에 따라 나온 것이 위에서 논한 두 가지 action plan, 스카이라운지형 클럽과 Travel planner였다. 실제로 호텔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현실가능성과 수익부분 등 고려해야할 것들이 더욱 많지만, 우리가 action plan을 통해 얘기하고자했던 것은 해밀턴 호텔이 환경을 넘어설 수 있는 자원을 개발하여 고객을 좀 더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이태원이라는 특수한 지역 내에 위치한다는 지리적 우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자는 것이었다. 거시적인 환경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는 해밀턴 호텔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반대적 자원의존성을 가지게 된다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도 성공할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4.0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