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파열(Rotator cuff rupture)과 수술간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회전근개파열(Rotator cuff rupture)과 수술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Shoulder anatomy
1. 뼈(bone)
2. 관절(joint)
3. 인대와 건(ligament & tendon)
4. 근육(muscle)
5. 신경(nerve)
6. 혈관(blood vessel)

Ⅱ.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
1. 정의
2. 회전근개 손상의 범주
3. 원인
4. 증상
5. 회전근개 증후군의 분류
1) 제 1기 회전근개 증후군
2) 제 2기 회전근개 증후군
3) 제 3기 회전근개 증후군
6. 진단
7. 치료
1) 회전근개 파열의 자가운동요법 (보존적 치료)
2) 회전근개 파열의 효과적 수술
8. 간호
1) 회전근개 증후군의 운동요법
2) 고무관을 이용한 회전 근개 강화법

Ⅲ. 회전근개수술(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1. 수술개요
2. 수술 전 준비
3. 수술절차: 1단계~11단계
4. 수술 후 합병증
5. 수술 전.후간호
6. 수술 후 재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면 N/S+Epinephrine mix해 irrigation하여 시야 를 확보한다. bursectomy가 끝나면 필요에 따라 acromioplasty를 시행한다.
㉠ Spinal needle로 AC joint를 marking한다.
㉡ Spherical bur(보라) 5.5mm or 6.5mm로 불필요한 acromion 밑의 뼈 돌기부분을 제거한다.
㉢ Rasp을 이용해 bur로 제거했던 부분을 다듬어준다.
⑧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Lateral, posteriolateral portal 사용하며 tear부분을 확인하고 shaver를 이용해 파열된 부위를 다듬어 준다. kingfisher grasper로 당겨보면서 anchor 박을 자리를 정하고 anchor 종류를 선택한다. anchor 박을 자리에 oval bur로 bone을 다듬는다. screw punch를 mallet으로 쳐서 punch 끝부분에 marking된 선까지 박아 넣은 후 tear가 있는 부분을 suture 해준다. suture를 다시 한 번 bone에 고정시켜 더 단단하게 할 때에는 Arthrex Bio-Pushlock을 이용한다.
⑨ PCA insertion
Accufuser kit 안에있는 needle을 shoulder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 후 needle의 내관을 제거 한 후 line을 관절 안으로 집어넣어 PCA pump와 연결한다.
⑩ Suture of wound
Vicryl 3/0로 subcutaneous suture하고 Nylon 3/0 로 skin suture를 한다.
⑪ Dressing
Betadine solution으로 wound 닦고 dressing을 한다.
4) 수술 후 합병증
수술의 합병증으로는 출혈이나 전신마취 마취방법에 따른 합병증이 있을 수 있으며 수술 후 신경손상, 감염, 삼각근분리, 수술 후 강직증, 회전근 재파열등의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다.
5) 수술 전. 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검사로 흉곽 X-선 검사, 심전도, BUN/Cr, 혈청전해질, 전혈구 검사를 실시한다.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보통 수술은 전신마취하에 이루어지므로 마취의로부터 전신마취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마취동의서를 작성하게 된다. 주치의로부터 수술에 대해 설명을 듣고 수술동의서를 작성하며 전날밤 자정부터 금식을 하게되며 수액주입을 한다. 항생제 투여위한 피부반응검사를 하게된다.
(2) 수술 후 간호
A. 가스교환증진 및 기도유지 증진
① 2시간마다 호흡음, 호흡횟수, 깊이, 양상, 불안, 흥분 등의 저산소증 증상과 징후, 종격동
의 위치를 완전히 사정한다.
② 처방에 의해 활력증상, 산소계측기, 동맥혈 가스분석검사를 한다. 비정상일 때는 보고한
다.
③ 처방에 의해 산소를 투여한다.
④ 흉관으로부터 공기누출과 출혈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보고한다.
⑤ 통증을 사정하고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마약진통제와 관련된 호흡억제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⑥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주의깊게 자세를 취하도록 처방을 확인한다.
⑦ 2시간마다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대상자의 신체적 활동이 가능하면 바로 incentive
spirometry를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⑧ 분비물이 나오면 효과적인 기침법을 교육한다. high-Flower 체위를 취해준다. 환자에게
최대한으로 흡기를 한 다음 2초 동안 참고 있다가 입을 벌리고 2회 기침을 하게 한 다
음 코로 들이 마시도록 한다.
⑨ 분비물이 적절하게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돕는다.
⑩ 처방이 있으면 활동상태를 사정하여 의자에 앉도록 돕는다.
B. 통증조절
①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한다.
② 심호흡, 체위변경, 기침 자극을 하는 동안 절개부위를 지지해 주도록 한다.
③ 적절한 체위, 위생, 부드러운 마사지, 이완술을 통해 적절한 안위를 증진시킨다.
④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의 효과가 최고에 도달할 때 활동을 하도록 계획
한다.
⑤ 적절한 전환요법을 사용한다.
⑥ 통증조절 섭생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하고 필요한 적응을 찾는다.
C. 감염위험성
① 매 근무시 마다 감염증상을 확인한다.
② 모든 침습적 과정은 무균술을 적용한다.
③ 1~2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심호흡으로 기도를 청결히 한다.
④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 활동지속성 장애
① 대상자에게 ‘어깨 강직’ 예방과 가능한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② 수술 후 팔과 어깨 움직임의 제한을 사정하고 보고한다.
③ 수술 후 다음날부터 수동적 관절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④ 외전보조기(ultra-sling) 착용부위 피부상태를 확인한다.
⑤ 운동에 참여하도록 필요하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⑥ 대상자의 예후에 대해 격려하고 지지한다.
6) 수술 후 재활
외전보조기(Ultra-sling)는 6주 사용하며 수술 다음날 견관절의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수동적 거상운동, 지속적 수동운동(shoulder CPM exercise), 외회전, 시계추운동을 함으로서 어깨 근육강화 운동을 한다.
수동적 내회전은 수술 후 3주에 시작하고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 후 6주까지는 시행하지 않는다. 수술 후 7주부터는 능동적 전방거상, 외회전, 내회전 운동을 하여 시계추 운동을 계속 시행한다. 수술 후 3개월부터 능동적 운동과 관절신장운동을 지속하면서 근력을 증강시키는 저항운동을 시작하며 세라밴드(theraband)를 이용한 외회전, 내회전, 전방거상 저항운동과 머리위로 팔을 미는 저항운동을 시행한다. 수술 후 3개월에는 일상적인 활동 및 가벼운 운동복귀를 허용한다. 이때 파열의 정동에 따른 회복단계에 따라 견관절 운동강도 및 빈도를 결정한다.
Ⅳ.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Ⅳ, 서문자 외, 2004, 수문사
2. 인체해부학, 신문균 외, 1998, 현문사
3. 임상정형외과학 개론, 박정태, 박윤기, 2002, 현문사 .
4. 학생을 위한 정형외과학, 김영민 외, 2003, 군자출판사
5. 수술실환자간호 개정2판, 윤혜상 저, 2004, 청구문화사
6. 제 4판 성인간호학, 전시자외, 2005, 현문사
  • 가격3,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4.03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