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윤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사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생명의료윤리의 이해
 1. 생명의료윤리의 의미
 2. 생명의료윤리의 역사
Ⅲ. 생명의료윤리의 원칙과 추론
 1. 생명의료윤리의 원칙
 2. 생명의료윤리의 추론
Ⅳ. [의사윤리지침]의 내용과 논쟁점
 1. 의사윤리지침의 내용
 2. 의사윤리지침의 논쟁점
 3. 의사윤리의 방향
  (1) 안락사
  (2) 뇌사
  (3) 인공임신중절시술
  (4) 인공수정
Ⅴ. 맺는말

본문내용

몰라도 의사협회의 입장에서 이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가족제도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근 2-3년간 친인척 대신 가난한 여성이나 중국 교포 등이 돈을 목적으로 대리모로 나서는 사례가 늘고 있어 ‘비인도적 행위’란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대리모에 의한 탄생보다는 오히려 입양하는 방법이 미래세대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고전환이 요청된다 하겠다.
Ⅴ. 맺는말
의료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의사가 윤리적 판단을 해야 할 상황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런 복잡다단한 윤리적 상황에서 의사의 판단은 개인적인 가치관, 생명관에 따라 결정되기 쉽다. 그러나 의사도 불완전한 인간인데 매 상황에서 개인적으로 최선의 선택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지나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의사협회가 윤리원칙들을 반영하여 제시한 의사윤리지침은 문제점보다는 긍정적인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현행법의 규정과 무관하게, 순수한 의학적 관점에서 윤리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행위와 그렇지 못한 행위를 판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의사윤리치침의 내용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회원들의 의료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는 것을 고려해볼 때 논란의 여지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데도 의사윤리지침의 내용 가운데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는 부분은 안락사 외에도 낙태, 뇌사, 대리모 등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쟁점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의료윤리원칙들을 살펴보고, 의료윤리지침의 내용, 논쟁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나아갈 바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했다.
의사윤리지침은 의료계 내부의 지침에 불과하다고 하나 사회에 대하여 의사들이 말하고자 하는 의사표시라는 점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일부조항은 의사들의 책임회피나, 낙태에 관한 조항 등은 잘못된 의료계의 관행을 정당화하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그렇긴 해도 의사윤리지침 그대로를 순수하게 보는 관점도 필요할 것 같다. 낙태, 인공수정이 일상화되어있는 사회적 현실을 인정하고 논의해야 할 것이며, 뇌사, 안락사 문제도 의사들이 전문가라는 점을 인정하고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의사윤리지침 중에서도 회복 불가능한 환자(혹은 임종환자)에 대한 조항들이 사회적 논란을 계속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국민의 여론에 맡기기보다는 전문가 그룹에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의 여론은 이성적이고 숙고 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고 즉흥적이기 쉽다. 임종환자의 정의, 의미 없는 치료, 중환자실 치료, 뇌사자 치료, 심폐소생술에 관한 논란은 쉽게 끊이지 않을 것이다. 의사, 환자, 환자가족의 입장에 따라 서로 배치되는 설득력 있는 주장들이 나올 수 있다. 생명의료원칙들에 따르되, 일률적으로 적용시킬 것이 아니라 개별 의료상황에 따라 최선의 도덕적 추론과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판례들을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 고 논 문
대한 의사협희의 [의사윤리지침]에 대한 고찰
김 대 군(진주보건대학교 강사)
논문에 관한 참 고 문 헌
구영모 엮음, 『생명의료윤리』(서울 : 동녘, 2000),
그리스도교 철학연구소 편, 『현대사회와 정의』(서울 : 철학과 현실사, 1995),
김일순, N 포션 지음 『의료윤리』(서울 : 현암사, 1993),
김일순, 손명세, 김상득, 『의료윤리의 네원칙』(서울 : 계축문화사, 1999),
김춘태, 이대희 공저, 『서양 근세 윤리학』(서울 : 형설출판사, 2002),
Robert Nozick, 강성학 역, 『자유주의의 정의론』(서울 ; 대광문화사, 1991),
대한의사협회, “의사윤리지침” 2001.11.15. 공포자료(Mimemo)
대한의학회, “임종환자 의료윤리지침”, 2002. 5. 3. 발료자료(Mimemo)
바루흐 브로디 지음, 황경식 옮김, 『응용 윤리학』(서울 : 종로서적, 1988),
박장호, 『윤리의 응용과 교육』(부산 :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2),
C. D. 브로드 지음, 박찬구 옮김, 『윤리학의 다섯가지 유형』(서울 : 철학과 현실사, 2000),
윌리엄 슈바이커 지음, 문시영 옮김, 『책임윤리란 무엇인가』(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0),
이상철, 김대군 공저, 『주제중심 직업윤리』(대구 : 정림사, 2002),
카렌 레바크 지음, 이유선 옮김, 『정의에 관한 6가지 이론』(서울 : 크레파스, 2000)
F, 카울바하 지음, 하영석, 이남원 옮김,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서울 : 서광사, 1995),
폴 테일러 지음, 김영진 옮김, 『윤리학의 기본원리』(서울 ; 서광사, 1988),
황경식, “윤리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 편, 『임상윤리학』(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황경식, 『개방사회의 사회윤리』(서울 : 철학과 현실사, 1996),
황상익, “생명의료윤리의 역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 편, 『임상윤리학』(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Beaucham, T., and J. Childre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4th e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Jonson, A. R. & A. Jameton, "Belmont Report" in W.T. Reich(Ed.), The Encyclopedia of Bioethics, 2nd ed., (New York : Simon & Schuster-Macmillan, 1995),
Rawls, J., The Theory of Justice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Reich, Warren Thomas(ed.), Encyclopedia of Bioethics (New York: Simon & Schuster Macmillan, 1995),
http://blog.naver.com/noesis204?Redirect=Log&logNo=26567452
  • 가격3,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3.04.1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