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 [鹿屯島]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섬, 우리 땅 녹둔도 [鹿屯島]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녹둔도 영속문제의 발단과 과정
녹둔도의 역사, 지리적 상황
국제법 측면에서의 녹둔도 속령문제
맺는 말 ; 녹둔도 영토 회복을 위한 우리의 대응책

본문내용

수 있는 곳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향후 녹둔도 영유권 논란을 대비, 우리 땅의 근거를 지속적으로 확보해야 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선조들의 흔적〓지난 2월 23일 이교수 팀은 출입이 엄격히 통 제된 녹둔도에 도착했다. 2000년 11월 1차 조사에 이어 2번째다. 탐사팀은 선조들이 탈곡등에 사용하던 연자방아를 반경 1㎞내에서 7개나 발견했다. 사각형 모양 집터에는 깨진 놋쇠 밥솥과 수 레바퀴 테두리 등 생활도구도 나왔다. 논이랑 터도 4곳이 발견돼논농사 위주의 정착생활을 짐작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 여진족을 막기위해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 토성지(土城址)는 일부 흔적 만 짐작할수 있었다.
◈녹둔도는 어떤 곳〓두만강 하구 한가운데 위치하며, 동쪽으론 두만강 건너 함경북도 경흥군이 바라 보인다. 러시아 연해주 최 남단 도시인 핫산시에서는 남쪽으로 7㎞ 밑에 있다. 모래언덕과 갈대밭등이 펼쳐져 있는 녹둔도는 1800년대 중반 전후 퇴적작용 이 진행되면서 현재는 연해주와 닿아있다. 녹둔도는 고려사 지리지 편에 난도(卵島)라는 이름으로 첫 등장한다. 대동여지도의 근 간인 산경표(1769년 편찬)에 우리 땅임이 마지막으로 명시됐다. 구한말 강대국들의 이해다툼속에 맺어진 베이징 조약에 의해 러 시아 영토로 귀속됐다. 1985년 체결된 북한과 소련간 국경조약에는 녹둔도 관련 내용이 있지만 미공개 상태다.
◈녹둔도의 가치〓녹둔도는 사실상의 3국 접경지역으로 군사적 요충지이며, 현재도 군사구역으로 지정돼 출입이 엄격히 통제돼 있다. 녹둔도를 포함한 두만강 하구는 퇴적평야와 발달된 해안선을 지니고 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또 100년 이상 사람의 손길이 닿지않아 전세계에서 몇 손가락안에 드는 천혜의 상태 를 간직하고 있다. 유엔(UN)에서 추진하고 있는 두만강개발계획의 주요 대상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북한은 러시아와의 분쟁을 의식한듯 녹둔도 관련 언급을 하지 않고 있으며, 영유권 등에 대한 입장도 분명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2】
-연도별 녹둔도의 변화
▶1445년 세조때부터 녹도, 녹둔도로 명명
▶1583년 둔전 설치
▶1587년 여진족 침입 이순신과 이경록 살아남.---조정에서 처벌 요구
▶약 300년 간 기록이 많지 않음
▶하류지역의 유로 변경으로 기존 섬에서 연륙된 것으로 추정
▶1860년 청로간 북경조약과 홍개호 계약에서 속령 문제 결정
▶1883년 고종이 녹둔도 귀속 문제 제기
▶1957년 북.소간 협약 있었음: 언급 유무 확인 할 길 없음.
▶2000년 10월 24-25일 이기석 교수팀 현지 답사 / 윤곽 확인
▶2002년 2월 27일-28일 이기석 교수팀 현지 답사(현재 공동연구 중) 거주지 확인
연자 방아와 집터, 논터 등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history21.netian.com/history4/history4-1-43.htm
http://news.yahoo.co.kr/headlines/so/20020722/mw/mw2002072206228.html
『북경조약과 녹둔도 영속실황에 대한 고찰』, 양태진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16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