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플라톤의 인간관, 정산종사의 인간관, 순자의 인간관, 동양의 인간관, 서양의 인간관, 불교의 인간관, 성리학의 인간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플라톤의 인간관, 정산종사의 인간관, 순자의 인간관, 동양의 인간관, 서양의 인간관, 불교의 인간관, 성리학의 인간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플라톤의 인간관
1. 인간존재의 근원과 한계
2. 인간의 특성
1) 인간의 구조
2) 인간과 이데아
3. 이성적 인간관
1) 이성적 인간은 비인격적이다
2) 이성적 인간은 개인주의적 · 평등주의적이다
3) 이성적 인간은 자연정복적이다

Ⅱ. 정산종사의 인간관

Ⅲ. 순자의 인간관

Ⅳ. 동양의 인간관
1. 유교
2. 불교
3. 도교

Ⅴ. 서양의 인간관
1. 자연주의적 인간관
1) 인간관
2) 발전
2. 합리주의 인간관
1) 인간다운 사람
2) 인간 평등사상
3) 이성의 역할
3. 기독교적 인간관
1) 신의 모사(模寫)로서의 인간
2) 영적(靈的) 본성으로서의 인간
3) 세계관

Ⅵ. 불교의 인간관
1. 인간은 영혼이 없다 아나타(Anatta), 곧 영혼이 없다는 교리를 가지고 있다
2. 그 같은 원인-결과의 생성과정 가운데 서도 사람의 의지는 자유롭다
3. 생성과정을 이어나가는 것은 원인-결과의 무형적 물체가 유전됨으로써 윤회를 이어나가는 것은 아니다

Ⅶ. 성리학의 인간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성분과 분수에 따라 붙여진 사물의 명칭과 명의를 말한다. 따라서 사람의 삶이란 행위를 통해서 명분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까닭에 부분자적 속성을 지칭하는 \'分\'과 \'名\'이 곧 사람을 지칭하는 낱말로 통용될 수 있었다. 이 분, 저 분, 한 분, 두 분에서의 \'分\'은 부분자적 성분과 분수를 뜻하고 한 명, 두 명에서의 \'名\'은 명칭과 명의를 뜻한다.
이처럼 사람의 본모습이 부분자이기 때문에 사람이 갖는 부분자적 자격에는 아무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절대적 권위의 상징인 황제는 천자이고, 학덕의 상징인 성현은 부자이고, 도덕의 상징인 유덕자는 군자이다. 최고의 위치에 있는 황제, 성현, 군자가 모두 \'子\'로 불리는 것은 사람의 본모습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뛰어나고 출중해도 \'사람의 아들(-人子)\'이라는 부분자적 성격을 벗어날 수가 없다.
부분자인 사람은 통체에 대한 부분자적 직분을 지니고 있다. 사람은 자신이 처한 부분자적 위치에 따라 각각의 직분을 지니고 있으며, 사람이 살아가는 삶의 과정은 직분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부분자적 직분의 수행은 크게 직분을 배우는 과정과 배운 것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구분되어 진다. 직분을 배우는 과정을 \'修己\'라 하였고, 실천하는 과정을 \'治人\'이라 하였다. [大學]의 팔조목에서 성의와 정심과 수신은 \'修己\'에 해당하고 제가와 치국과 평천하는 \'治人\'에 해당한다.
부분자들이 직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분의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다음으로 이것을 어떠한 방법으로 실천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하늘은 \'나\'에게 직분을 깨닫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즉 명덕을 부여했을 뿐이지 구체적인 삶의 내용에 관해서는 관계하지 않는다. 그것을 깨닫는 것은 내가 갖고 있는 삶의 주재성을 발휘하여 명덕을 밝힘으로써 이루어진다. 명덕을 밝히지 못하면 무엇이 선하고 악한 것인지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직분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가 없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명덕, 즉 모든 이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삶의 과정이란 明德을 밝혀나가는 끊임없는 배움과 발견의 과정이다. 이러한 사람의 모습을 \'진실을 향하여 나아가는 것(-誠之者)\'이라고 하였다. 배움과 발견을 통한 인간의 가능성은 무한으로 열려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실현할 수 있는 인간의 주재성 또한 완벽하다. 인간이 주재성을 발휘하느냐 못하느냐 하는 것은 오로지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 하는 것에 달려 있다. 이렇기 때문에 사람의 참된 모습은 언제나 \'덕행이 닦여지지 않은 것과 학문이 강론되지 않는 것(-德之不修,學之不講)\'을 걱정하며 배움의 길에 정진하는 것에 있다.
部分子들이 배우고 발견한 것을 실천하는 과정은 부분자적 직분의 수행으로 나타난다. 부분자는 分數, 性分, 本分에 바탕 한 직분을 갖고 있다. 부분자적 직분이란 통체에 존재하는 性, 本, 職이 부분자에게 나누어진 分과 割을 말한다. 부분자는 자신에게 맡겨진 역할, 즉 본분과 직분을 수행함으로서 통체가 갖고 있는 본연의 과업을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부분자적 역할들이 모여 통체가 구현하고자 하는 완전한 職과 役이 실현된다. 이것이 부분자를 통한 통체의 실현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분자가 갖고 있는 의미 또한 실현되는 것이다.
사람이 부분자적 직분을 수행함에 있어 선하게 되거나, 악하게 되는 구별이 생기는 것은 사사로운 마음, 즉 利慾 때문이다. 부분자가 갖고 있는 욕구의 본질은 천리로서 순선한 것이다. 개체인 \'나\'는 개체에게 부여되어 진 천리, 즉 天分을 성분으로 하고 있다. 성분은 天理가 \'나\'에게 부여된 몫으로서 개체는 분수를 좇아 분수에 맞게 행동함으로써 善을 이루게 된다. 반면에 개체가 갖고 있는 개별자적 욕구는 사심으로서 이욕이다. 이욕은 분수를 벗어난 부정한 것으로 이욕의 추구는 악을 이루어 통체의 생명을 해치게 된다.
部分子적 직분의 구체적인 모습은 인륜 속에서 각자가 맡고 있는 역할로 나타난다. 부모에 대한 자녀의 직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직분, 임금에 대한 신하의 직분, 신하에 대한 임금의 직분, 남편에 대한 아내의 직분, 아내에 대한 남편의 직분 등이다. 이러한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녀의 부모에 대한 직분인 孝이다. 그 다음에 중요한 것이 신하의 임금에 대한 직분인 忠이다. 孝와 忠은 본가와 국가라는 삶의 중심이 되는 統體에 대한 部分子적 의무를 대표하고 있다. 모든 사람은 본가와 국가에 대한 자신들의 직분에 헌신함으로써 스스로를 실현하게 된다.
직분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들은 禮로서 규정되어 있었다. \'經禮三百, 曲禮三千\'이라고 할 정도로 수많은 禮가 존재하게 된 것은 직분이 禮를 통해서 실천되기 때문이었다. 禮의 본질은 名分에 있고, 禮의 내용은 명분에 입각한 질서의 정립에 있고, 예절을 생활화하는 사람들의 목표는 극기하여 부례하는 것에 있다. 극기부례란 공동체적 규범으로 설정되어 禮를 좇아 행동함으로써 인간, 즉 \'나\'와 \'너\'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우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것이 예를 통한 부분자적 \'家의 실현\'(-自家實現)이었다.
이처럼 개인은 그에게 주어진 삶의 주재성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부분자적 직분을 깨닫고 수행함으로써 개체의 실현, 즉 입신양명을 실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입신양명은 입지, 입신하여 스스로를 닦고, 立德, 立功, 立言하여 스스로를 펼쳐, 역사 속에 완전한 사람으로 입명하여 스스로를 不朽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사람에게 주어진 하늘의 命을 완성하는 입명이다. 이처럼 사람에게 부여된 직분을 완벽하게 수행함으로써 하늘의 경지를 구현하여 자신을 완성하는 것, 이것이 곧 조선시대의 유교적 삶이 이상으로 여기던 성인이요 현인의 모습이었다.
참고문헌
◇ 김종인(2006), 중생 개념에 투영된 불교의 인간관, 동양철학연구회
◇ 김방룡(1998), 정산종사의 인간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민황기(2011), 순자의 도덕적 인간관, 한국동서철학회
◇ 배경완(2000), 플라톤의 이상적 인간관과 그 의미, 계명대학교
◇ 장세호(2004), 동양의 이상적 인간관, 부산포럼
◇ 진교훈(1986), 서양의 자연과 인간관, 경향신문사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