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환경][가정환경 개념][가정환경 분류][가정환경 구성][가정환경과 아동발달][가정환경과 식생활][아동발달]가정환경의 개념, 가정환경의 분류, 가정환경의 구성,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가정환경과 식생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환경][가정환경 개념][가정환경 분류][가정환경 구성][가정환경과 아동발달][가정환경과 식생활][아동발달]가정환경의 개념, 가정환경의 분류, 가정환경의 구성,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가정환경과 식생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가정환경의 개념

Ⅲ. 가정환경의 분류
1. 지위환경
1) 양친의 상태
2) 주거지의 생태적 환경
3) 사회경제적 지위
4) 가택의 상황
2. 작용환경과 아동이 지각한 작용환경
1) Dave(1963)
2) Kellaghan(1977)
3) Shea와 Hans(1977)
4) Iverson과 Schiller(1980)
5) Taylor(1976)

Ⅳ. 가정환경의 구성

Ⅴ. 가정환경과 아동발달

Ⅵ. 가정환경과 식생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결과는 남아 또는 여아에 따라 달라지는 부모의 성역할 사회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 요인으로 부부관계 만족도를 들 수 있다. Howes와 Markman(1989)은 아동의 특성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는 반대로 부부관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자녀 출생 전과 출생 후 기간 동안의 부부 만족도와 갈등을 추적 조사하였다. 자녀 출생 전 부부관계의 질은 그 후 자녀의 유친행동과 자율성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현재 모가 지각하는 부부관계 만족도 및 갈등은 아동의 현재의 안정성 및 사회성과 상관관계를 가졌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의 행동은 가족구조와 가족관계의 영향을 받으므로 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정환경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겠으며, 그 중 성적인 행동은 가정환경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Ⅵ. 가정환경과 식생활
아침식사의 규칙성은 형제수와 생활정도에 대하여는 유의성이 없었고, 남녀 학생간에는 남학생이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더 높았고(P<.01), 어머니 직업유무는 직업을 갖고 있는 가정에서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더 높았으며(P<.05),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가 없는 쪽보다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유의작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아침식사의 내용은 성별과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고, 형제수에 따른 차이는, 형제수가 3명인 경우, 밥으로 식사하는 비율이 제일 높았고, 4명인 경우가 밥으로 식사하는 비율이 형제수가 3명 이하인 경우보다 낮아 집단간에 유의성이 있었다(P<.05).
생활정도에 따른 차이는 중 이상의 가정이 아침식사를 밥으로 하는 비율이 높고, 미수가루나 콘프레이크로 식사하는 비율이 낮아 집단간에 유의성이 있었다(P<.05). 또한,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는 아침식사를 밥으로 하는 비율이 동거 가족이 없는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5).
저녁식사의 규칙성은 성별이나 생활정도, 동거가족 유무와는 차이를 볼 수 없었고, 형제수가 많을수록 저녁식사를 더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고(P<.01)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식사의 규칙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P<.05).
하루 간식의 회수는 형제수나 생활정도와의 관련에서 아무 차이를 볼 수 없었고, 성별로 보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회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P<.01) 어머니 직업유무와 간식회수는 직업이 없는 경우가 더 높았다(P<.05). 또 동거가족이 없는 경우가 간식의 회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P<.05).
간식의 주된 내용은 생활정도와 동거가족 유무와는 아무 차이를 볼 수 없었고, 성별로 보아 여학생은 우유빵류를 가장 많이 이용한데 비해 남학생은 라면튀김류가 가장 높았고(P<.05) 형제수와의 관련은 1명과 2명의 경우 우유빵류가 가장 높았으나 3명과 4명의 경우 라면튀김류가 제일 높아 형제수 집단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P<.01).
음식선택의 기준은 형제수와의 관련에서 차이는 볼 수 없었고, 성별로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비율에 차이는 있었으나 기호를 가장 높게 선택하고 여학생은 영양이 가장 낮은데 비해 남학생은 모양을 가장 낮게 선택하는 차이를 보였다(P<.05).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는 기호, 모양, 영양, 가격의 순으로 높았으나 직업이 없는 경우는 기호, 가격, 영양, 모양의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01). 생활정도와의 차이는 유의성을 보였고(P<.01), 동거가족의 유무도 음식선택 기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P<.05).
조사대상자의 전통음식과 외래음식의 선호도는 일반적으로 외래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전통음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이스크림, 돈까스, 햄버거, 피짜, 핫도그 등 외래음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높았다.
참고문헌
김소야자(1982), 가족환경에 대한 지각의 불일치와 정신질환자 발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논문
김필식(1985),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자녀의 문제행동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순형 외(1995), 가정 환경과 청소년 비행, 한국형사 정책 연구원
성은현 외 2명(2011), 가정환경과 창의성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조창호(1987), 가족환경과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형, 황인창, 황의록(1974), 가정환경의 제 변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행동과학 연구소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