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과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과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의 형성
2. 주요 이론적 관점
1) 가족은 인간의 기본적 체계이다.
2) 가족의 하위체계
3) 가족구조 내의 경계선
4) 역기능적 가족
3. 가족 항상성과 삼각관계
1) 가족 항상성(family homeostasis)
2) 삼각관계(triangulation)
4. 치료목표
5. 치료기법
1) 치료과정
2) 가족교류기법
6. 구조적 가족치료의 적용사례
1) 부모의 이혼 위기로 인해 방황하는 P의 가족
2)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는 L의 가족

참고자료

본문내용

으로 인해 책임감과 의무감으로 우울해하며, 말이 없어졌다. c) 동생은 현재 중학교 2학년으로 누나의 지나친 간섭으로 불만이 많다. 어머니가 누나만을 의지함으로 소외감을 느낀다.
(4) 가족진단: 각 하위체계별로 진단을 해보면, a) 부모하위체는 모와 IP의 밀착관계를 보이고 있다. b) 형제하위체계는 형제간에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전체적으로 L의 가족은 각 하위체계 간에 혼동된 경계를 보이는 밀착된 가족형태이다.
(5) 가족도표: 위의 진단을 가지고 구조적가족치료이론의 기호를 사용하여 가족도를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6) 치료목표를 설정해보면, a) 어머니와 부모역할을 하는 L 사이의 경계선은 분명해야 한다. 즉, 어머니와 L사이의 경계선은 동생이 어머니에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져야만 한다. b) 부모역할 하는 L은 지도적 위치와 제 2인자의 권한을 유지하면서도 형제하위체계로 되돌아가야 한다. 치료목표에 따른 가족도를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7) 치료과정
a) 초기과정
① IP와 모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IP는 “ 요즘 우울해요. 저도 친구들과 어울리고도 싶은데, 가족을 먼저 생각해야 해요. 이런 생각이 들 때 마다 슬퍼져요”라고 힘없이 얘기했다. 이에 IP의 모는 “네가 그런 생각이 들면 엄마는 어떻게 해. 엄마는 너만 의지하고 사는데...”라며 울먹였다. 필자는 모-자녀간의 제휴를 증진시키기 위해 모에게 재조직화(Reframing)의 기법을 사용하여 “모의 입장에서만 생각하지 말고 자식의 입장에서도 생각해 보자.”고 말하여 IP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가 인식하도록 유도하였다. ② 형제 하위체계 내에서 IP와 동생간의 상호교류형태(Transactional patterns)를 관찰하였다. 동생은 “누나가 엄마야? 아빠야? 왜 사사건건 참견하냐고, 답답하단 말이야. 그리고 엄마는 누나만 좋아하잖아. 나한테 신경꺼.” 라고 IP에게 화를 냈다. IP는 “그럼 아빠도 안 계시고, 엄마랑 우리끼리 사는데, 엄마는 바쁘잖아. 니가 잘만 해봐. 내가 왜 널 답답하게 해. 너는 너를 위해 애쓰는 누나 말을 잘 들으면 안되냐?” 라고 하면서 같이 화를 냈다. 필자는 IP와 동생에게 현실도전(Reality challenging)의 기법을 써서 동생에게는 “엄마가 식당 일로 바쁘셔서, 누나한테 너를 잘 돌봐주라고 한 것 아닐까? 누나가 너를 위해 많이 관심을 가져주는데 너도 누나를 도와주면 누나도 힘들지 않을 텐데. 그리고 엄마는 누나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야. 엄마가 너를 사랑하니까 네가 걱정되니까 누나한테 널 부탁한 것이지”라고 말해주면서 왜곡된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했으며, IP에게는 “네가 장녀니까 엄마랑 동생을 돌봐야 하지 안겠어? 네가 엄마를 도우면 엄마의 일이 훨씬 가벼워지고, 부모님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동생을 네가 잘 돌봐주므로 동생도 외롭지 않고,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동생한테는 엄마가 필요해. 엄마의 자리까지 네가 차지하면 동생은 엄마를 너한테 빼앗겼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 않겠어? 동생 스스로가 너를 도울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보지 않겠어?” 라고 말하여 긍정적인 현실 파악을 유도했다.
b) 중반기
① 가족전체를 개입시킴으로써 부모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간이 혼동된 경계(Diffused boundary)를 명확하게 하려고 시도했다. IP와 동생과 모가 앉아 그 동안 담아왔던 모든 불만을 다 털어놓았다. 필자는 가족 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호보안(Complementarity)의 기법을 사용하여 무엇 때문에 힘이 드는지,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모두 적극적으로 마음에 있는 말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도록 지지(Support)하였다.
c) 후반기
① IP의 위치회복과 IP와 모의 밀착관계가 어느 정도 완화되었는지 알아보았다. IP는 “제가 엄마를 돌봐야 하고, 동생에게는 부모의 역할을 다하려고 하다보니 저도 힘들고, 동생도 힘들었던 것 같아요. 이제는 제가 할 수 있는 부분까지만 엄마를 도와드려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제가 너무 제 한계를 넘어서는 일까지 해결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 또 동생한테는 엄마의 자리까지 제가 빼앗으려고 했던 것 같아 미안해요.”라고 말했다. IP의 모 또한 “내가 너무 딸에게 무거운 짐을 지웠던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하며, 다 자기 때문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IP의 동생 또한 “누나한테 못되게 굴어서 미안하다”며, “앞으로 같이 집안 일을 돕겠다”고 말했다.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필자는 장점탐색(Search for strength)의 기법을 활용하여, 면담과정에서 가족이 인식하지 못했던 가족
의 장점을 발견해서 그것을 인식하도록 했다. “이 가정은 서로를 사랑하며, 아껴주는 마음이 강한데, 단지 그것을 표현하는 것이 조금 서툴렀던 것 같다”고 말하면서 가족의 긍정적인 반응을 적극 지지(Support)해주면서 모자 간의 제휴를 증진시키고자 했다.
(8) 평가
이 가족은 부모역할을 하는 L의 가족으로 각 하위체계간의 혼동된 경계를 보이는 가족이다. 연구자는 모자간의 제휴를 통해 재 조직화을 사용하므로 경계선을 분명하게 하였으며, 부모역할을 하는 L은 상호보완적 기법과 현실도전 기법을 사용하여 형제하위체계로 돌아온 사례였다. 신정아, "위기가족 청소년의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2001.
참고자료
1. 김유숙,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1998.
2. 정영숙.김영희.김명숙.정민자, "가족상담과 치료", 서울: 영서원, 1997.
3. 신정아, "위기가족 청소년의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2001.
4. 김유숙, "구조적 가족 치료 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8권 제1호, 2000.
5. 김유숙,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998.
6. 김소은,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을 통해 본 군인 가족치료", 2001.07.
7. 심혜숙, "현대상담ㆍ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5.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0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