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매거진과 뉴스매거진
Ⅲ. 매거진과 탐사저널리즘
Ⅳ. 매거진과 텔레비전
Ⅴ. 매거진과 시사다큐멘터리프로그램
Ⅵ. 매거진과 시사고발프로그램
참고문헌
Ⅱ. 매거진과 뉴스매거진
Ⅲ. 매거진과 탐사저널리즘
Ⅳ. 매거진과 텔레비전
Ⅴ. 매거진과 시사다큐멘터리프로그램
Ⅵ. 매거진과 시사고발프로그램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도 대부분의 인식이 텔레비전을 정보전달 매체로서보다는 오락 매체로서 인식하고 있는 현실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편성이 오락과 정보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편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지상파 텔레비전의 경우, 종합편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심층보도 프로그램에서도 사실 추구와 관찰자로서의 위치를 기본 목표로 하는 객관주의 저널리즘과 폭로와 비판을 상업적 이익 추구의 도구로 삼는 선정주의가 동시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Ⅵ. 매거진과 시사고발프로그램
시사고발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탐사 저널리즘은 심층보도, 폭로저널리즘, 시사고발프로그램, 탐사보도, 시사매거진, 시사다큐멘터리 등 동의어 혹은 유사 개념적 용어가 매우 많다. 보통 인쇄매체와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경우는 영어의 ‘investigative reporting’ 혹은 ‘in-depth reporting’을 우리말로 옮겨서 보통 ‘탐사보도’ 나 ‘조사보도’ 혹은 ‘심층보도’라고 부른다. 한편 이를 영상매체 한정시킬 경우 전통적으로는 다큐멘터리의 한 분야로 구분하고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시사고발프로그램이라는 명칭은 특정한 프로그램 형식보다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기능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폭로탐사 저널리즘은 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학계에서는 심층보도, 탐사보도 프로그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시사고발 프로그램이란 명칭은 제작 현장에서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용어를 정리할 수 있다.
시사고발프로그램이 갖는 사회적 의미는 그 명칭에 다 담겨져 있다. ‘시사’라는 용어는 시의성(timeliness)을, ‘고발’은 프로그램의 감시와 폭로의 책임을 강조한다. 결국 시사고발프로그램은 시의성 있는 내용으로 사회 환경을 감시하는 역할을 일차적 목표로 설정한다. 그리고 감시와 고발, 그것을 넘어서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명제와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 즉 사회에 의제(議題)를 설정하는 역할을 떠맡게 한다. 이렇듯 시사고발 프로그램은 뉴스, 다큐멘터리와 함께 방송 저널리즘의 3대 축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탐사 저널리즘의 연구는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저널리즘의 짧은 역사와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상대적으로 탐사 저널리즘의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의 탐사 저널리즘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탐사 저널리즘 프로그램으로 인해 빚어지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에 초점을 맞춘 비판이 있다. 가령 사생활 침해라든가, 초상권 침해에 대한 비판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흥미위주의 센세이션널리즘에 편승하여 사회의 좀더 근원적이고 커다란 문제를 고발하지 못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잘못이나 작은 문제들만 고발하는 피상적인 취재에 대한 비판이 있다. 마지막으로 탐사 저널리즘 프로그램의 내용과는 다른 측면에서 그것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제작 여건상의 어려움을 비판하는 입장도 있다. 한정된 인원과 한정된 제작비로는 충실한 취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 김지현, 탐사 저널리즘에서 조사 저널리즘으로 : 프랑스, KBS 한국방송, 2007
◎ 문규학, 인터넷 시대 IT 매거진은 어디로 갈것인가, 한국정보통신기자협회, 1999
◎ 성열홍, TV 매거진을 위한 데이터방송 솔루션 개발, 정보통신부, 2003
◎ 이우호,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 방송개발, 1997
◎ 이상기,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의 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2
◎ 임수환, 시사 다큐멘터리의 설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8
Ⅵ. 매거진과 시사고발프로그램
시사고발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탐사 저널리즘은 심층보도, 폭로저널리즘, 시사고발프로그램, 탐사보도, 시사매거진, 시사다큐멘터리 등 동의어 혹은 유사 개념적 용어가 매우 많다. 보통 인쇄매체와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경우는 영어의 ‘investigative reporting’ 혹은 ‘in-depth reporting’을 우리말로 옮겨서 보통 ‘탐사보도’ 나 ‘조사보도’ 혹은 ‘심층보도’라고 부른다. 한편 이를 영상매체 한정시킬 경우 전통적으로는 다큐멘터리의 한 분야로 구분하고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시사고발프로그램이라는 명칭은 특정한 프로그램 형식보다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기능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폭로탐사 저널리즘은 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학계에서는 심층보도, 탐사보도 프로그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시사고발 프로그램이란 명칭은 제작 현장에서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용어를 정리할 수 있다.
시사고발프로그램이 갖는 사회적 의미는 그 명칭에 다 담겨져 있다. ‘시사’라는 용어는 시의성(timeliness)을, ‘고발’은 프로그램의 감시와 폭로의 책임을 강조한다. 결국 시사고발프로그램은 시의성 있는 내용으로 사회 환경을 감시하는 역할을 일차적 목표로 설정한다. 그리고 감시와 고발, 그것을 넘어서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명제와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 즉 사회에 의제(議題)를 설정하는 역할을 떠맡게 한다. 이렇듯 시사고발 프로그램은 뉴스, 다큐멘터리와 함께 방송 저널리즘의 3대 축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탐사 저널리즘의 연구는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저널리즘의 짧은 역사와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상대적으로 탐사 저널리즘의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의 탐사 저널리즘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탐사 저널리즘 프로그램으로 인해 빚어지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에 초점을 맞춘 비판이 있다. 가령 사생활 침해라든가, 초상권 침해에 대한 비판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흥미위주의 센세이션널리즘에 편승하여 사회의 좀더 근원적이고 커다란 문제를 고발하지 못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잘못이나 작은 문제들만 고발하는 피상적인 취재에 대한 비판이 있다. 마지막으로 탐사 저널리즘 프로그램의 내용과는 다른 측면에서 그것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제작 여건상의 어려움을 비판하는 입장도 있다. 한정된 인원과 한정된 제작비로는 충실한 취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 김지현, 탐사 저널리즘에서 조사 저널리즘으로 : 프랑스, KBS 한국방송, 2007
◎ 문규학, 인터넷 시대 IT 매거진은 어디로 갈것인가, 한국정보통신기자협회, 1999
◎ 성열홍, TV 매거진을 위한 데이터방송 솔루션 개발, 정보통신부, 2003
◎ 이우호,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 방송개발, 1997
◎ 이상기,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의 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2
◎ 임수환, 시사 다큐멘터리의 설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