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훈이야기 사례]교훈이야기 사례1(명상), 교훈이야기 사례2(자주), 교훈이야기 사례3(교수잡사), 교훈이야기 사례4(생명), 교훈이야기 사례5(초등학교교육), 교훈이야기 사례6(고전), 교훈이야기 사례7(위인)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훈이야기 사례]교훈이야기 사례1(명상), 교훈이야기 사례2(자주), 교훈이야기 사례3(교수잡사), 교훈이야기 사례4(생명), 교훈이야기 사례5(초등학교교육), 교훈이야기 사례6(고전), 교훈이야기 사례7(위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교훈이야기 사례1(명상)
1. 잃어버린 편지 찾기
2. 오늘은 내거야
3. 함정에 빠진 호랑이
4. 스카이 콩콩
5. 까마귀와 여우
6. 피를 먹게 된 동기
7. 거짓말 하지 않기
8. 우리 어머니
9. 사람이 지켜야 할 14가지 덕목
10. 주인을 살린 개
11. 황금색 연못
12. 진주조개의 교훈

Ⅲ. 교훈이야기 사례2(자주)
1. 마음의 법
2. 나는 나다
3. 8기통 엔진의 신화
4. 절제하는 마음
5. 사막의 꽃
6. 기다릴 줄 아는 사람
7. 언제나 청춘
8. 엘레노어 루즈벨트
9. 25㎝ 짜리 아이디어
10. 그 사람의 빈자리
11. 인내하는 법
12. 300개의 태극기
13. 자유와 행복
14. 질투
15. 플러스 파워
16. 10분의 소중함
17. 자격증 시대
18. 쓰임새 차이
19. 양송천과 해송자
20. 알묘조장(揠苗助長)
21. 가능을 향한 도전
22. 지성과 감천이(至誠感天)
23. 간절하면 죽은 사람도 감동한다
24. 갈매기의 죽음
25. 감사하는 마음
26. 게조의 꽁지털
27. 겸손한 마음
28. 계관시인이 된 열등생
29. 고독한 경주
30. 감사하는 마음
31. 교포 의사의 훈장

Ⅳ. 교훈이야기 사례3(교수잡사)
1. 지부만도
2. 염상도처
3. 음양수장

Ⅴ. 교훈이야기 사례4(생명)
1. 소금장수 이야기
2. 어떤 개미 이야기
3. 순이와 달팽이
4. 불꽃이 된 학두루미

Ⅵ. 교훈이야기 사례5(초등학교교육)
1. 다람쥐와 민들레
2. 통일 말하기 대회
3. 두더지가 된 며느리
4. 물에 빠진 매
5. 벼룩의 이사
6. 아기 따오기
7. 이에 물린 혀
8. 씨없는 수박도 있는 거 아니

Ⅶ. 교훈이야기 사례6(고전)
1. 불효막심(不孝莫甚)
2. 노래자(老來子) 이야기
3. 추운 겨울에 낚시질 한 젊은이
4. 효자(孝子) 박구(朴矩)선생 이야기 1
5. 효자(孝子) 박구(朴矩)선생 이야기 2
6. 효자(孝子) 박구(朴矩)선생 이야기 3
7. 카나리아의 울음
8. 석청(石淸)을 찾아서 1
9. 석청(石淸)을 찾아서 2
10. 효자와 겨울 개구리 1
11. 효자와 겨울 개구리 2

Ⅷ. 교훈이야기 사례7(위인)
1. 맹사성
2. 황현
3. 김시습
4. 장지영
5. 최제우
6. 이순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 지방의 활동상황을 소상히 알렸으며,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한글동지 30여명과 함께 홍원과 함흥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1944년에 병보석으로 풀려났다. 광복 후에는 조선어학회 이사장(1946~1949)을 지낸 뒤 연희대학, 제주대학교, 이화여자대학 등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1962년 광복절에 대통령으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고 1977년에는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주요저서로는 「조선어전(1924)」, 「조선어철자법강좌(1930)」, 「국어입문(1946)」, 「옛글(1946)」, 「이두사전 1976」등이 있다.
5. 최제우
최제우(崔濟愚 : 1824~1864), 호는 수운(水雲) 동학의 교조
1824년 경주에서 아버지 최옥과 어머니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선생은 유림 출신인 아버지로부터 성리학을 배우고 성장하여 그리스도교적 영향과 유.불.선의 장점을 융합한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완성하고 동학을 창시한 문화인물이다.
당시 부정부패가 만연하던 왕조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과 동아시아 문명의 기성적 가치관이었던 유.불.선의 쇠퇴를 예감하고 전국의 명산대찰을 찾아 구도의 길에 나선 선생은 민족과 창생을 도탄에서 건져내기 위한 \"광제창생\"(廣濟蒼生)의 새길을 모색키로 하고 사람은 누구나 자신 속에 한울님을 모신 존귀한 인격이라는 시천주사상을 주창하였다.
선생은 서양에서 침투해오는 문물이나 군사적 침략보다 서학의 종교적 침략이 심각한 문명적 의식을 지배할 것이라고 믿고 이에 대한 대항의식으로 우리민족도 한울님인 천주의 천도(天道)를 깨우쳐서 민족부흥의 정신적 기초를 마련한다는 확신에서 자신의 \"천도\"를 동학이라 하고 이를 새로운 민족종교로 전파하였다.
동학사상은 왕조사회의 쇠망을 대담하게 예언하고 후천개벽의 새 시대가 도래한다는 지상신선적인 이상향을 제시하고 당시 서양과 일본의 침략에 대한 \"척양왜(斥洋倭)\"적인 민족자주적 저항의식을 서민들의 마음속에 불어 넣었다.
왕조 해체기에 피지배층인 백성들에게 신흥종교로 탄생한 동학의 교세가 날로 확장되자 당시 조정에서는 동학교문을 민중의 반란조직처럼 위험시하고 특히 나라가 이단시하던 서학으로 오인하여 교조인 선생을 체포하여 1864년 대구 장대에서 \"사도난정\"이란 죄목으로 처형하였다.
선생이 순교한 후 민족자주. 인간존중. 만민평등을 바탕으로 한 민본주의사상은 갖은 탄압과 박해속에서도 나날이 번창하여 갑오동학혁명에서 3.1독립운동에 이르는 우리나라 근대민족사의 정신적 주류가 되었고 동학교리를 담아 한문체로 엮은 『동경대전』은 오늘날까지 천도교의 경전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특히 한글가사로 쓰인『용담유사』는 우리 국문학사속에서도 사상표현과 역사예언을 담은 도참(圖讖)문학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6. 이순신
명장 이순신 장군(李舜臣 1545-1598) ; 장군은 조선조 인종 원년 1545년 음력 3월 8일(당시 양력 4월 28일) 서울 건천동(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아버지 이정(李貞)과 어머니 변씨(邊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576년에는 식년 무과에 병과로 급제, 여러 관직을 거쳐 1588년 조산보만호(造山堡萬戶)와 그 다음해 녹도둔전관(鹿島屯田官)을 겸하게 되었다. 그 곳에서 장군은 북병사 이일(李鎰)의 모함을 받아 첫 번째 백의종군을 하게 되었다. 1589년 정읍현감이었던 장군은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조방장(助防將)이 되었고 1591년 2월에는 서애 유성룡의 천거로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어 거북선을 만드는 등 임진왜란에 대비하였다.
1592년 4월 13일 왜적이 부산을 침략하자 장군은 5월 4일 첫 출전을 하여 <옥포대첩>을 시작으로 그 뒤 7월 8일 <한산대첩>, 9월 1일 <부산대첩>등 크고 작은 전투에서 연전연승하고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전세를 역전시켰다.
그 후 정유재란이 발발하기까지 해전은 거의 소강상태로 들어갔으나 왜구가 침략할 것을 대비하여 평소 전쟁준비를 하던 중 조정에서는 이른바 \'요시라 첩보사건\'에 연류되었다는 이유로 1597년 3월 4일 장군을 투옥시켰다. 그 뒤 장군은 많은 옥고를 치르고 4월 1일 출옥하여 두 번째 백의종군의 길에 오르게 된다. 한편 원균이 거느린 우리수군은 7월 16일 칠천량 싸움에서 거의 전멸상태에 이르러 조정에서는 7월 22일 장군을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하였다.
그 뒤 우리수군을 전폐하라는 조정의 밀지를 받고 \"아직도 배 12척이 있고 신이 죽지 아니하였으니...\"라는 장계를 올리고 또 그 유명한 \'한산섬의 노래(閑山島歌)\'를 지어 읊으면서 해전지휘관으로서의 책임감과 고독함을 달래곤 하였다. 9월 16일에는 단지 13척의 전선으로 10대 1의 열세 하에서 적선 31척을 크게 쳐부수어 세계 어느 해전에서도 그러한 전과를 찾아볼 수 없는 <명량대첩>을 거뒀다.
풍신수길의 유언에 따라 왜적이 철수하게 되자 한척의 배도 놓치지 않겠다는 굳센 각오로 11월 19일 남해 노량에서 적선 200여척을 부수어 <노량대첩>을 마지막으로 장식하였다. 이때 장군은 \"지금은 싸움이 한창 급하니 내가 죽었단 말을 내지 마라\"란 말을 유언으로 남기고 54세의 일기로 장렬하게 순국하였다.
장군은 임진왜란(1592~1598)으로 풍전등화와 같았던 나라의 운명을 구해낸 구국의 명장이었다. 또한 시문에도 탁월했던 장군은 전쟁의 와중에서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난중일기(亂中日記)』를 비롯, 장계(狀啓), 어머님을 찾아뵙기 위해 체찰사 이원익에게 휴가를 청하는 눈물겨운 편지인 \'상체찰사 완평 이공 원익서(上體察使 完平 李公 元翼書)\', \'한산섬의 노래(閑山島歌)\' 등 여러 편의 시와 시조를 남겼다.
이순신 장군의 전생애는 그 모두가 충(忠)과 효(孝)로 점철된 우리민족의 위대한 표상으로 현대인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신사강,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교훈 12송이, 도서관옆출판사, 2005
윤승준, 우언의 재미와 교훈, 월인, 2000
이득형, 인생. 교훈 유머보따리, 진리탐구, 1999
이원칠, 자녀에게 보내는 인생 최고의 교훈, 문학관, 2002
편집부, MQ 교훈동화, 한국셀로비, 2002
필립 체스터필드 저, 최준서 역, 인생 교훈, 스테디북, 2009
  • 가격10,0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