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주거,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무속신화,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구비서사시,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제주도 구비서사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주거,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무속신화,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구비서사시,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 제주도 구비서사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역사

Ⅲ.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주거

Ⅳ.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무속신화

Ⅴ.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고산족
1. 체질의 특성
1) 아이누족
2) 고산족
2. 인구
1) 아이누인
2) 고산족

Ⅵ.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의 구비서사시

Ⅶ.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1. 명칭
1) 본풀이
2) 유카르
2. 분화
1) 본풀이
2) 유카르
3. 전승 법칙
1) 본풀이
2) 유카르
4. 서술 방식
1) 본풀이
2) 유카르
5. 세계관
1) 본풀이
2) 유카르
6. 갈래
7.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아버지의 전통을 계승했으며, 그녀의 이모 역시 金成マツ 칸나리마츠 역시 유카르 계승자이다. 이 신의 서사시는 올빼미 신이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하는 이른 바 1인칭 시점의 구술담인데, 아이누 말로 kamui isoitak라고 한다.
올빼미 신의 서사시가 지니는 핵심은 다음과 같다. 니쉬파라고 하는 가난한 아이가 올빼미를 사냥해서 잡자, 부자집 아이들이 비웃는다. 니쉬파는 집에 와서 올빼미 신에게 정성스럽게 대접을 하자, 올빼미신이 니쉬파의 집에 온갖 은금보화로 장식하게 된다. 그러자 니쉬파는 이웃사람에게 소식을 전하고 커다란 잔치를 벌인다. 이 잔치 끝에 올빼미신에게 술, 비단, inau 등을 대접하자, 올빼미신이 신의 나라에 와서 이러한 자랑거리를 늘어놓는 것이 바로 인용한 대목이다.
사실은 신의 서사시가 현실적으로 반대의 말을 전개하고 있다. 아이누민족이 소중하게 여기는 신인 올빼미를 소년이 화살로 잡아 죽였다. 죽인 대가로 소년은 집에다 모셔놓고 올빼미의 죽은 영혼을 위해서 제사를 지냈다. 사람이 올빼미를 간절하게 위하는 것은 다음에도 사냥을 할 때에 잡혀 달라는 뜻이고, 그렇게 해서 올빼미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이다. 올빼미는 아이누민족에게 대단히 소중한 사냥감이자 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이 아이누민족의 기본적인 영혼관이자 신관이라 이해해도 그릇되지 않다. 모든 자연물이나 인간의 창조물에까지도 영혼이 있다고 믿어서 이처럼 다양한 신이 섬겨지고 있으며, 카무이유카르도 이러한 전통 위에서 나온 것이라고 이해된다. 신의 서사시이기 때문에 신의 관점에서 1인칭 서술이 이루어지고, 신이 인간에게 어떠한 복락을 누리게 하는가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다.
니쉬파가 쏜 화살이 올빼미에게 맞은 것을 올빼미 자신이 잡았다고 하는 점에서 사실과 서사시가 명확하게 갈라진다. 다른 아이들이 쏜 금빛 화살을 버리고, 가난한 아이인 나무 화살만을 올빼미신이 선택해서 잡았다고 전하는 것은 인간의 기원이자 신의 선택이기도 하다. 가난한 사람이 잘살게 되는 것은 신의 선택인 동시에 축복이며 인간에게 올빼미신은 부자로 살게 하는 신으로 숭앙 받는다. 신은 인간에게 잡혀 주어서 부를 제공하고, 인간은 신에게 술, inau, 비단 등으로 답례하고 있다. 이것은 신과 인간의 계약을 성립시키는 것이다. 올빼미신은 다음에도 날아와서 인간에게 “Shirokanipe ranran pishkan, Kon kanipe ranran pishkan. 은의 물방울 내리고 내리는 주위에, 금의 물방울 내리고 내리는 주위에” 노래를 부르면서 인간을 위해서 신의 축복을 내리고 있는 셈이다.
아이누민족의 카무이유카르는 신의 서사시이고 자신의 서사시이지만 구비서사시의 특징으로 반드시 Sakehe가 반복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Sakehe는 영역자도 burden이라고 했으나, 반드시 후렴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사케헤는 본디 마디 節의 뜻으로 카무이유카르를 결정짓는 요긴한 요소로 간주한다. 사케헤는 본래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던 전승적 요소가 개인적 카무이유카르가 되면서 남겨진 현상으로 추정되는데, 주인공이 바뀜에 따라서 바뀌기도 하고, 달리 앞에 오기도 하고, 뒤에 오기도 하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다. 신의 특성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사케헤가 설정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사케헤는 다음과 같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예사이다.
anna hore hore hore
a=kor kotanpo 나의 마을이
anna hore hore hore
an=esikarun 둘러싸고 있는
anna hore hore hore
이러한 사케헤가 규칙적으로 말 한마디에 붙기도 하지만, 이보다 더 많은 사설 끝에 붙기도 해서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치리마시호는 사케헤를 정의하기를 사케헤가 있어야만 카무이유카르라고 말하고 있으며, 카무이유카르의 서사시가 반드시 1인칭으로 서술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Ⅶ. 아이누(아이누민족, 아이누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1. 명칭
1) 본풀이
근본을 풀다 ⇒ 내용적 측면
2) 유카르
본디라는 뜻이나 ‘노래하다’의 의미로 전용 ⇒ 형식적 측면
2. 분화
1) 본풀이
조상본풀이, 당본풀이, 일반본풀이 등이 파생
2) 유카르
카무이 유카르, 오이나, 아이누 유카르, 맛 유카르로 파생
3. 전승 법칙
1) 본풀이
지역적 고립성
구비문학이 절대적으로 우세하고 기록문학이 없음
2) 유카르
아이누민족도 문자는 없었고, 유카르를 통해 역사적 경험과 신앙의 상상세계를 펼쳐왔다
4. 서술 방식
관 계
지 역
제 주 도
아 이 누 민 족

주 인 공 / 청 자
주 인 공 / 구 연 자
인 간
구 연 자 (3인칭)
구 연 자
1) 본풀이
신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인간이 신의 이야기를 살펴보도록 하고 있다.
반신반인의 심방 또는 당맨심방이 3인칭으로 서술
2) 유카르
신의 입장에서 인간 세상에 다녀온 신이 다른 신에게 잔치를 베풀면서 보고하는 식이므로 1인칭 자술의 서술 방식 ⇒ 인간의 구연자인 유카르 서사시인이 신을 모방해서 하는 것이므로 3인칭이 1인칭으로 가탁
5. 세계관
1) 본풀이
천상세계, 산의 세계, 인간의 세계, 바다의 세계 ⇒ 다자간의 결합
2) 유카르
신의 세계, 특정한 신의 세계, 생명의 세계, 인간의 세계, 땅속의 세계 ⇒ 다양하게 실현
6. 갈래
<본풀이> <유카르>
조상신본풀이 카무이 유카르
당본풀이 오이나
일반본풀이 아이누 유카르
맛 유카르(메노코 유카르)
7. 의의
① 아이누 민족의 유카르는 전세계 구비서사시의 변천 단계를 범례로 갖춘 것이다.
② 제주도 본풀이와 아이누 서사시는 둘다 풍부하고 다채롭다.
③ 현존한다.
④ 제주도와 아이누 민족의 구비서사시는 갈등의 씨앗이 아니라 화합의 열매이다.
참고문헌
◎ 가야노 시게루 저, 심우성 역, 아이누 민족의 비석, 동문선, 2007
◎ 갱과원장 저, 이경애 역, 아이누 신화, 역락, 2000
◎ 메리어트문인 동인회, 아이누의 슬픔, 정은문화사, 2002
◎ 박정임, 아이누민담 연구 강원대학교, 2009
◎ 조아라, 아이누 민족문화 관광실천의 공간정치, 국토지리학회, 2011
◎ 정태수, 불씨를 살려라 아이누여, 교학사, 2006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